송전선로
1.ACSR전선과 경동선의 비교
(1)코로나 발생 : ACSR전선은 바깥지름이 크므로 경동선에 비해 코오나 발생이 적다
(2)전선의 진동 : ACSR 전선은 경동선에 비해 가볍고 바깥지름이 크므로 진동이 많이 발생한다.
2.연선
(1)소선의 총수 N=3n(n+1)+1
(2)바깥지름 D=(2n+1)d
(3)연선의 단면적 A=Na
3.전선의 굵기 선정시 고려사항
①허용전류
②저압강하
③기계적 강도
④코로나
⑤전력손실및 경제성
⑥부하증가에 대한 예측등
4.경제적인 전선의 굵기 켈빈의법칙
5.이도

6.경간
(1)표준경간 : 건설비가 최소로 되는 경간
(2)장경간 : 표준경간에 250m를 가산한 경간으로서
7.전선의 실제길이

8.전선의 진동이 발생하기 좋은 조건
(1)가벼운 전선
(2)경간이 길 경우
(3)가선 장력이 클 경우
(4)전선의 바같지름이 클 경우
9.진동억제장치
①스톡브리지댐퍼
②토셔널댐퍼
③베이트댐퍼
④아머로드
10.오프셋 두는 이유
전선 도약에 의한 상부전선과 하부전선의 단락사고 방지
11.전압에 따른 현수애자의 연결개수
전압 | 66 | 154 | 220 | 345 | 765 |
수량 | 4~6 | 10~11 | 12~13 | 18~20 | 40~45 |
12.애자련의 전압분포
(1)최대 전압 분담 애자 : 전선에거 가장 가까운 애자
(2)최소 전압 분담 애자 : 전선으로부터 2/3(철탑으로부터 1/3)되는 지점에 있는애자
13.연효율

14.초호환 초호각의 설치 효과
(1)애자련의 전압분포가 개선되고
(2)선로의 섬락전압으로부터 애자련을 보호할수있다.
15.지중 케이블 고장점 탐지법
①머레이 루프법
②정전용량의 특정으로 발견하는법
③수색코일로 하는방법
④펄스로 하는방법
⑤음향으로 고장점을 측정하는 방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