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의 조명을 자동으로 감시 및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유지보수 및 신축, 증설이 용이하고 관리비용의 절감, 에너지 절약등의 장점이 있다
시스템에 조명설비 운영 계획을 설정하여 운영함으로서 인력 절감, 관리 효율 증대, 에너지를 절감하는 제어시스템이다.
비상시(화재 또는 정전 시)에는 자동으로 조명을 제어하는 안전기능과 CCTV용 감시 카메라 등과 연계하여, 침입자를 감시할 수 있는 방법 기은등 다양한 기능이 있으며, 프로그램 스위치, 포토센서, 재실센서의 각종 제어기들은 분산제어 기능이 있어 중앙감시장치 또는 타 제어기의 이상 발생 시에도 전혀 영향을 받지 앟고 정상 동작한다
조명상태감시 및 스케줄 제어를 CCMS(central Control Monitoring System)에 의해 다중 전송 방식에 의한 2심 전용 신호선(CCV-S)으로 다수의 조명기구를 개별또는 전체그룹제어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조명제어 패널, 프로그램 스위치로 구성된 운영시스템이다.
구성 및 원리
1)MCU(Main Control Unit)
MCU는 제어 회로 수에 따라 하나의 통신선에 병렬로 RTU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프로그램 설정이 가능한 독립제어장치이므로 중앙관제장치 이상 시에도 자체프로그램에 의해 정상으로 동작한다
최대 16개의 RTU와 PSW를 연결할 수 있으며 조도감지기, 재실감지기 CCTV등과 연동하여 제어할 수 있다.
2)CIU(Communication Interface Unit)
CCMS와 LCP사이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러 로부터 제어 또는 전송신호를 받아 LCP를 제어하고 LCP보부터 릴레이, 그룹 패턴등의 상태 자료를 받아 CCMS에 전송하는 역활을 한다
또한, 내부 데이터 메모리가 있어 한 대 이상의 CCMS와 동시에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타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프로그램 메모리가 내장되어 있다
3)RTU(Relay Terminal Unit)
RTU는 제어부와 릴레이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별도의 배선을 없으며 DIN Rail방식으로 손쉽게 취부할 수 있다
현재 릴레이를 한 번에 점등시킬수 있도록 All-on버튼이 내장되어 있다 4개의 릴레이를 탑재하고 있으며 최대 16개까지 MCU에 연결할 수 있다
4)PHS(Photo Sensor)
외부 주광의 영향을 받는 실내 창 측에 설치하여 실내 조도에 따라 창 측 회로를 단계별로 제어한다
MCU의 외부입력단자로 연결한다
5)OCS(Occupancy Sensor)
재실 여부를 감시하여 조명회로를 점등시키고 특정 관제점과 연동 제어할 수 있도록 접점출력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