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베이터의 설계
1)대수 산정
- 적재하중과 정원의 산출
카 바닥면적 | 적재하중 |
---|---|
1.5[㎡]이하 | 1[㎡]당 370[kg] |
1.5~3.0[㎡] | (카바닥면적-1.5)×500+550[kg] |
3.0[㎡]초과 | (카바닥면적-3.0)×600+550[kg] |
승용이외 | 1[㎡]당 250[kg] |

- 평균 일주시간
- 러시아워에 카가 기준층을 출발하여 원층으로 다시 돌아와 문을 열때까지의 시간
- 평균 일주시간
\[RTT=∑(T_r+T_d+T_p+T_l)\]
Tr : 주행시간 Td : 일주 중 도어개폐시간
Tp : 일주 중 승객출입시간 Tl : 일주 중 손실시간
- 운전간격과 평균대기시간
- 운전간격=평균일주시간/1뱅크 운전 중의 대수
- 사무실, 빌딩, 호텔은 40초 이하, 병원60초 이하, 아파트 90초 이하의 운전간격이 바람직하다
- 평균 대기시간=운전간격*1/2 : 짧을수록 좋다
- 설비대수 산정
- 5분간 운반하는 인원수
\[P=\frac{60×5×0.8×정원}{평균일주시간}=\frac{60×5×0.8×C}{T}\]
- 러시아워 시 5분간 이용하는 인원수
\[Q=ϕ×M\]
- 설비대수
\[N=QP=ϕ×M60×5×0.8×CT\]
2)엘리베이터의 각종 용량 산정
- 변압기 용량
\[Pt≥(\sqrt3×V×I_r×N×D_{fe}×10^{−3})+(P_c×N)[kVA]\]
- 허용전압강하
\[e=\frac{34.1×I_a×N×D_{fe}×L×K}{1,000}[A]\]
- 전선의 허용 전류
\[I_t=(K_m×I_r×N×D_{fe})+(I_c×N)[A]\]
- 전동기 용량
\[P_m=\frac{L×V×F}{6,120η}\]
- 차단기 용량
\[I≥K_{m2}×[(L_r×N×D_{fe})+(I_c×N)]\]
일주시간(RTT : Round Trip Time)
1)정의
- 엘리베이터가 출발 기준층에서 승객을 싣고 출발하여 각층에 서비스한 후 출발 기준층으로 되돌아 다음 서비승 대기하기까지의 총 시간
2)일주시간
\[RTT=∑(T_r+T_d+T_p+T_l)\]
Tr : 주행시간 Td : 일주 중 도어개폐시간
Tp : 일주 중 승객출입시간 Tl : 일주 중 손실시간
- 주행시간(TR)
- 일주 중 도어개폐시간(Td)
- 일주 중 승객출입시간 (Tp)
- 일주 중 손실시간(Tl)
교통량
1)교통량 계산순서
- 교통량(러시아워 5분간 이용객 수)설정
- 건물의 종류나 규모를 감안하여 E/V의 기본사항을 가정
- 운행방식 가정
- 소요대수를 구한다
- 평균 운전 간격을 계산하여 서비스 기준을 초과 시 재검토
2)교통량(Rt)
\[R_t=Q×ϕ\]
3)교통량 계산 방법
구분 | 계산방법 | 시뮬레이션 방법 |
---|---|---|
계산방식 | 공식에 의한 이론계산으로 수작업으로 계산 | 컴퓨터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제상황과 같은 조건에서 계산 |
평가척도 | 서비스의 양 | 서비스의 질 |
결과치 | 5분간 수송능력 왕복주행시간 평균 운전시간 | 5분간 수송능력 왕복주행시간 평균운전시간 평균대기시간, 평균주행 시간 평균목적층 도달시간 로비 대기승객 수 |
장점 | 수작업 결과값 산출 용이 | 실제상황과 같은 오차 적음 |
단점 | 오차가 큼 그룹운전방식 대응이 난해 | 입력데이터가 불확실한 경우 결과값에 악영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