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베이터 소음은?
본체 내 소음과 승강로 주변소음으로 구분할 수 있고, 그것을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소음 원인 과 대책
1)승각기 본체 내 소음
- 공기 마찰음
- 정의 : 승강기 운행으로 카 본체와 공기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음을 말한다.
- 대책 : 단독승강기는 120[m/min], 2대 설치된 승강로 180[m/min]를 넘는 속도의 경우는 길이 1.4배 이상 등으로 승강로와 본체의 틈을 크게 설치한다
- 협부 통과음
- 정의 : 승강로에서 건축적인 부분이 매끄럽지 못하여 생기는 마찰음을 말한다
- 대책 : 승강로의 요철을 없애든지, 요철에 경사판 또는 막음판을 4~8도 각도로 설치하여 통과음을 축소한다
- Draft돌입음
- 정의 : 엘리베이터 상하운동시 공기의 흡입이 좁은 틈을 통과할 때 생기는 소음
- 대책
- 통풍구 설치(1.5~1.8[㎡])
- 승강로의 기본면적보다 40[%]확장필요 : 엘리베이터150[m/min]속도 이상일 경우
- 기계실 내 기기음
- 정의 : 기계실 릴레이 동작, 모터와 권상기 등의 소음 발생
- 대책
- 기계실 천장, 벽, 루프 구멍 등 흡음재 설치
- 기계실 바닥 콘크리트를 150[㎜]이상 설치
2)승강로 주위 소음
- 승강로에서 소음
- 원인 : 승강로에서 일어나는 소음
- 대책
- 계단 등 공유공간을 주위에 설이
- 승강로 벽을 이중 또는 두껍게 설치
- 드레프트 소음
- 원인 : 공기의 흡입에 의한 소음
- 대책
- 건축물 출입구에 이중문 또는 회전문을 설치하여 외기 차폐
- 엘리베이터 기계실에 공기조절 장치 등 고려
- 기계실 소음
- 환기설비 등 급배기구 방음대책
- 출입구 밀폐
- 기계실 격리
- ETT(중앙철심) 케이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