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도전동기의 기동방식 선정 시 고려사항
1)전압변동의 허용치에 대한 시동 시 전압강하 확인
- 전동기 단자에 허용전압 강하는 시동 시에 10%, 정상 시 변동을 포함해서 15%한도로 하는 것이 좋다
- 시동 시의 전압강하가 허용치를 넘을 때는 감압시동을 하거나, 변압기 용량을 증가시키거나, 전압변동을 꺼리는 부하를 다른 뱅크로 하는 등의 대책을 세운다
2)부하소요 토크에 대한 시동 시 토크 확인
시동 시 조건에서 부하 토크를 알고 그것을 상회하는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는 시동방식을 선정한다
3)전동기 및 시동기의 시간 내량 확인
- 시동기는 각각 시간 내량을 갖고 있으므로 시동시간이 그 내량 이내인 것을 확인하여야 한다
- 기동시간
\[t=GD2(n2−m1)375T\]
- 기동방식별 시간 내량
- 직입기동 : 전자접촉기만으로 시동 내량이 결정되면 약 15초 이내
- Y-Δ기동 : t=4+2√P[sec]로 약 15초 이내
- 리액터, 콘돌퍼 가동 : t=4+2√P[sec]로 표준으로 1분 정격 리액터 또는 단권변압기 사용
- 기타 부하특성, 사용환경, 경제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동방식을 선정한다
기동방식
1)단상 유도전동기
- 분상기동
주권선과 보조권선이 있는데 보조권선에 가는선을 감고(저항R크게), 주권선의 코일(L성분이 크게)을 설치하여 교번자계 발생하여 기동하는 방식 - 반발기동
회전자 권선의 전부 혹은 일부를 브러시를 통하여 단락시켜 기동하는 방식 - 반발유도형
반발기동형의 회전자 권선(기종용)에 농형 권선(운전용)을 병렬로 설치하면 각 권선에서 발생하는 합성 토크로 기동하는방식 - 콘덴서 기동형
진상용 콘덴서의 90° 앞선 전류에 의한 회전자계를 발생시켜 기동하는 방식 - 영구 콘덴서 기동형
기동 시나 운전 시 항상 콘덴서를 기동권선과 직렬로 접속시켜 기종하는 방식 - 세이딩 코일형
자극에 슬롯을 만들어 단락된 세이딩코일을 끼워 넣어 기동하는 방식 - 모노 사이클
각 권선에 불평형 3상 전류를 흘려 기동하는 방식
2)3상 유도전동기
- 농형
- 직입기동
- Y-Δ기동
- 리액터기동
- 기동보상기법(콘돌퍼기동법)


- 권선형
- 2차저항기동(권선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