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률

제공

,
전기기초(소자) AB

전압, 전류 (AC1)
기준충격절연강도(BIL)
전압강하 (LMD)
변위전류 (AE)
패란티 현상 (QVF)
단락전자력 (LMMS)
이상전압 및 대책 (BS)
코로나 (AG)(LP)
코로나(임계전압식 유도⁕)
전력계통의 안정도 (AG)
저항 임피던스 리액턴()
특성임피던스 ()
전력 역률
무효전력
최대전력전달

목차(역률 ABP)

1️⃣역률

  • 역률(PF power factor)은
    유효전력과 피상전력의 비율로 전력 시스템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
  •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에 의해 역률이 발생하며, 이는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으로 나뉘어짐
  • 전기회로의 기본 구성은 R,L,C인데 🔗ABR
    • R은 전력을 모두 소비하지만 L,C는 저장 방출만 반복한다.
    • L(인덕터)은 전류의 위상을 90도 늦게 하고 C(캐페시터)는 전류의 위상을 90 빠르게 하므로 위상차가 발생
  • 일반적으로 전력부하는 저항과 유도성 리액턴스로 구성되어 지상역률에 의해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이 발생
역률 유효전력 무효전력(ABP)
역률 유효전력 무효전력(ABP)
\[pf=\cos\theta=\frac{kW}{kVA}\] \[=\frac{kW}{\sqrt{(kW)^2+(kVar)^2}}\times 100\]

2️⃣역율개선

1)역률개선방법

  • 전압, 전류의 위상차를 작게 한다
  • 피상전력에 대한 유효전력비를 크게 한다
  • 전 전류에 대한 유효전류비를 크게 한다
  • 임피던스에 대한 저항비를 크게 한다

2)역률개선원리

  • 무효전력량을 감소시켜 를 작게 하는것이 역률 개선의 기본
\[Q=P(\tan\theta_1-\tan\theta_2)[kVar]\]

3️⃣유효전력

🔗ABA

  • 유효전력은 실제 일(Work)에 사용되는 전력 또는 저항과 같은 회로소자에 의해서 열로서 소비되는 전력
  • 피상전결에 역률을 곱한값
\[P=VI\cos\theta[W]\]

4️⃣무효전력

🔗ABA

  • 무효전력은 실제로 아무 일도 하지 않고 열소비도 하지 않는 전력으로 인덕터 및 커패시터의 저장요소에서 에너지 저장과 방출을 반주기 마다 반복하는 전력
  • L은 전류의 위상을 90 늦게 하고 C는 전류의 위상을 90 빠르게 하므로 위상차가 발생
  • 피상전력에 무효율을 곱한 값
\[Q=VI\sin\theta[Var]\]

5️⃣피상전력(복소전력)

  • 전력에서 공급되는 전력
\[S[kVA]=P[kW]+jQ[kVar]\]

6️⃣유효전력 단위

  • 역률(cosθ)이 100[%]이면
\[전력P=VI=IR[W][J/\sec]\]
\[전력량W=VIt=IRt[Wh][J]\]
\[열량Q=0.24IRt[cal]\]

전기기초(소자) AB

전압, 전류 (AC1)
기준충격절연강도(BIL)
전압강하 (LMD)
변위전류 (AE)
패란티 현상 (QVF)
단락전자력 (LMMS)
이상전압 및 대책 (BS)
코로나 (AG)(LP)
코로나(임계전압식 유도⁕)
전력계통의 안정도 (AG)
저항 임피던스 리액턴()
특성임피던스 ()
전력 역률
무효전력
최대전력전달

목차(역률 ABP)

🌐V0503P25 / ABP

🔗ABR 저항 임피던스 리액턴스

🔗ABA 무효전력 유효전력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