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공통접지방식

제공

,
접지방법결정 (EM)

(목적에따른)
N 중성점 접지방법
R 유효접지와 비유효접지
B 배전계통의 접지(IEC 60364-3 )

(형태에따른)
O 단독접지와 공용접지
S 구조체 접지설계 시 검토사항
T 통합 공통접지방식
E 등전위 본딩
G 접지선 접지봉

T 접촉전압과 보폭전압

목차(통합 공통접지방식 EMT)

통합 공통접지방식

1️⃣정의(KEC142.6)

공통접지

1)공통접지

  • 등전위가 형성되도록 고압 및 특고압 접지계통과 저압 접지계통을 공통으로 접지하는 방식
통합접지

2)통합접지

  • 전기, 통신, 피뢰설비 등 모든 접지를 통합하여 접지하는 방식을 말하며, 건물 내의 사람이 접촉할 수 있는 모든 도전부가 등전위를 형성하여야 함

2️⃣접지저항값

공사계획신고 설계도서(전지계산서 및 설계도)의 접지저항 값이 다음 중 어느 나라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공통 통합 접지저항값으로 인정

  • 특고압 계통 지락사고 시 발생하는 고장전압이 저압기기에 인가되어 인체 안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인체 허용 접촉전압값이되도록 한 접지저항값인 경우
  • 통합접지방식으로 모든 도전부가 등전위를 형성하고 접지저항값이 10[Ω]이하인 경우

3️⃣공통 통합 접지저항값 검사

1)공통 통합접지저항 측정방법

  • 보조극(P, C)의 저항구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접지극 규모의 6.5배 이격하거나, 접지극과 전류보조극 간 80[m]이상 이격하여 측정

2)공통, 통합접지 부분검사 실시

  • 공사계획신고확인증에 공통 통합 접지공사에 대하여 접지공사 중이나 접지공사나 완료된 때 부분검사를 신청하도록 안내
  • 부분검사(공통,통합 접지공사에 대한 중간검사)는 접지저항 또는 대지저항률을 측정하고 공통,통합 접지공사가 신고한 공사계획에 적합한지 확인
  • 부분검사를 받지 않고 전기수용설비 전체 공사가 완료된 후에 사용전 검사를 신청하여 주변 여건으로 접지저항 측정이 어려운 경우에는 감리자료(접지저항 측정값, 대지저항률 측정값, 접지극 재료, 형상, 접속방법, 깊이 등)와 사진등 증빙자료를 제출 방사 접지저항 측정검사 갈음

4️⃣등전위 본딩 확인 및 전기적 연속성 측정법

  • 공통 통합 접지공사를 하는 경우에는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있는 범위(수평 방향 2.5[m], 높이2.5[m])에 있는 모든 고정설비의 노출 도전성 부분및 계통외 도전성 부분등 등전위 본딩을 하여야 함
    (관련 근거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1.전기설비 제19조제6항)
  • 다음과 같은 등전위 본딩의 전기적 연속성을 측정한 전기저한값이 0.2[Ω]이하일 것
    • 주접지단자와 계통 외 도전성 부분 간
    • 노출 도전성 부분 간 노출 도전성 부분과 계통 외 도전성 부분 간
    • TT계통인 경우 주 접지단자와 노출 도전성 부분간
    • TN계통인 경우 중성점과 노출 도전성 부분 간

5️⃣접지선 및 보호도체 및 등전위 본딩 도체 단면적

1)접지선 및 보호도체 단면적

\[S=\frac{\sqrt{I^2t}}{k}\]

이상, 차단 시간 5초 이하에 적용

k: 보호도체, 절연, 기타 부위의 재질 및 초기온도와 최종온도에 따라 정해지는 계수

설비의 상도체 단면적S[㎟]보호도체 최소 단면적Sp[㎟]
S<16S
16<S<3516
35<SS/2

2)등전위 본딩 도체

  • 주등전위 본딩 도체 단면적
재질 단면적[㎟] 낙뇌보호계통을 포함하는
경우 단면적[㎟]
구리616
알루미늄1625
강철5050
  • 보조 등전위 본딩 도체 단면적
구분기계적보호
있음
기계적보호
없음
전원케이블의 일부 또는 케이블
외함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2.5[㎟/Cu]
16[㎟/Al]
4[㎟/Cu]
16[㎟/Al]

6️⃣SPD시설기준

spd

1)통합 접지계통의 건축물 내에 시설되는 저압 전기설비에는 과전압으로 인한 전기설비 보호를 위해 다음과 같이 SPD를 시설할 것

  • 22.9[kV-Y]계통으로 수전하는 건축물의 저압 배전반에는 공칭방전전류(In)5~20[kA]용량의 II등급 이상 SPD를 시설할 것
  • 분전반 등 기타 장소에는 그 장소에 적정한 SPD를 시설할 것(권장사항)

2)SPD보호장치(MCCB, 누전차단기, 퓨즈 등)시설기준

  • 단락고장이 상정되는 SPD에 흐르는 단락전류를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는 보호장치를 시설할 것
  • I등급SPD용 보호장치의 정격은 일반적으로 대용량을 시설할것
  • SPD를 누전차단기 부하 측에 설치하는 경우SPD에 흐르는 전류로 누전차단기가 동작할 수 있으므로 임펄스 부동작형 누정차단기를 시설할 것
  • SPD를 누전차단기의 전원 측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SPD가 고장을 일으킬 때 확실히 계통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차단능력을 가진 보호장치를 시설할 것

3)SPD연결도체 길이 및 접지선 단면적

  • SPD 연결도체의 길이는 상전선에서 SPD와 SPD에서 주접지단자(또는 보호선)까지 50[cm]이하일 것
  • I등급 SPD는 접지선 단면적이 16[㎟](구리)이상, 기타 SPD는 접지선 단면적이 4[㎟](구리)이상의 것으로 시설할 것

4)SPD는 국내외 표준에 따라 다음 중 어느 하나의 국내 공인시험기관의 인증제품사용(권장)

  • 산업표준화법에 따른 KS 표시제품
  • 전기용품안전관리법에 따른 KC마크 임의 인증제품
  • 국가표준기본법에 따른 KAS 인증

7️⃣TN계통에서 전원자동차단에 의한 감전보호방식

1)과전류차단기에 의한 감전보호방식

  • 고장루프 임피던스에서 고장전류를 확인하고, 과전류 차단기의 보호조건(차단시간)을 확인하여 규정된 차단시간 내에 전원을 자동 차단하는 전류-시간특성의 배선용 차단기를 시설할 것

2)누전차단기에 의한 감전보호방식

  • 콘센트 회로에 접속되는 코드 길이를 특별히 정할 수 없고 고장 임피던스 크기를 제시할 수 없는 경우에는 누전차단기에 의한 보호가 바람직함
  • TN-C계통에는 누전차단기(누전 전용)를 사용할 수 없음
  • TN-C-S계통의 TN-S에서 누전차단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기기보호도체는 누전차단기 전원 측에 접속하 것. 또한 다음 그림의 C점에서 단락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기기와 계통 외 도전성 부분 간에 접촉전압 Ut가 발생하기 때문에 계통 외 도전성 부분에는 주등전위 본딩을 할 필요가 있음

접지방법결정 (EM)

(목적에따른)
N 중성점 접지방법
R 유효접지와 비유효접지
B 배전계통의 접지(IEC 60364-3 )

(형태에따른)
O 단독접지와 공용접지
S 구조체 접지설계 시 검토사항
T 통합 공통접지방식
E 등전위 본딩
G 접지선 접지봉

T 접촉전압과 보폭전압

목차(통합 공통접지방식 EMT)

통합 공통접지방식

💯기출문제

●T04 통합접지시스템(공용화 접지설비, 겸용화 접지설비라고도 함)의 구축방안에 대하여 논하시오

모범답안(통합접지시스템 EMT04)

통합접지시스템의 개요

  • 통합접지시스탬은 건물 내 모든 전기 설비, 통신 설비, 금속 배관 등을 하나의 접지 시스템으로 통합하여 운영하는 것
  • 각 설비의 접지 저항을 낮추고, 전위 차를 최소화하여 감전 위험을 줄이며, 전자파 자해를 감소시키는 효과

통합접지시스템 구축방안

접지 시스템 설계

  • 접지극 설계
  • 접지선 규격
  • 접지저항
  • 접지 연속성

접지 대상물 선정

  • 전기 설비
  • 통신설비
  • 금속배관
  •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접지 시스템 시공

  • 접지극 매설
  • 접지선 연결
  • 접지 연속성 확보
  • 검사

유지보수

  • 정기적인 점검
  • 부식방식

통합접지시스템 구축시 고려사항

  • 토양조건
  • 건물 구조
  • 법규 및 표준
  • 비용

1. 현황 분석 및 목표 설정

  • 현재 접지 시스템 분석: 기존 접지 시스템의 구성, 상태, 문제점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
  • 시스템 목표 설정: 안전성 향상, 전자파 장해 감소, 유지보수 편의성 증대 등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
  • 규정 및 표준 검토: 관련 법규, 규정, 표준(IEC 62305, KSC 7626 등)을 면밀히 검토

2. 시스템 설계

  • 접지망 설계: 건물 전체를 아우르는 효율적인 접지망을 설계
  • 접지극 선정 및 배치: 적절한 종류와 수량의 접지극을 선정하고 최적의 위치에 배치
  • 접지선 규격 선정: 접지선의 굵기, 재질, 연결 방식 등을 결정
  • 접지 저항 계산: 접지 저항 값을 계산하여 목표 값을 만족하는지 확인

3. 설비 구축

  • 기존 설비 개선: 기존 접지 설비를 통합 접지 시스템에 맞게 개선
  • 신규 설비 설치: 필요한 접지선, 접지극 등을 설치
  • 접지 연동: 각종 전기 설비를 접지망에 안전하게 연결

4. 시험 및 검증

  • 접지 저항 측정: 설치 후 접지 저항을 측정하여 설계 값과 비교
  • 절연 저항 측정: 절연 상태를 확인
  • 접지 연속성 시험: 접지 경로의 연속성을 확인
  • 기능 시험: 시스템의 전체적인 기능을 검증

5. 유지보수

  • 정기적인 점검: 접지 저항, 절연 상태 등을 주기적으로 점검
  • 보수 계획: 문제 발생 시 신속하게 보수할 수 있도록 계획을 수립
  • 기록 관리: 점검 및 보수 결과를 체계적으로 관리

통합접지시스템 구축 시 고려 사항

  • 안전성 확보: 안전 기준을 준수하여 설계 및 시공
  • 경제성: 초기 투자 비용과 유지보수 비용을 고려하여 최적의 시스템을 구축
  • 확장성: 시스템 확장이 용이하도록 설계
  • 유지보수 편의성: 점검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설계
  • 전자파 장해 고려: 전자파 장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

접지의 목적과 종류

☑️접지설계시 고려사항(토류저방위인안보)

●T18공통접지 및 통합접지 시스템의 도입 사유와 설치요건을 설명하시오

모범답안(공통접지 및 통합접지 도입사유 EMT18)
  • 안전성 향상:
    • 감전 위험 감소: 다양한 전기 설비 간의 전위차를 줄여 감전의 위험을 최소화합니다.
    • 낙뢰 보호 강화: 하나의 접지 시스템으로 통합하여 낙뢰 시 발생하는 고전압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킵니다.
  • 유지보수 편의성 증대:
    • 관리 효율성 향상: 여러 개의 접지 시스템을 하나로 관리하여 유지보수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 고장 진단 용이: 문제 발생 시 신속하게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할 수 있습니다.
  • 시스템 신뢰성 확보:
    • 전자파 간섭 감소: 다양한 전기 설비 간의 전자파 간섭을 줄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입니다.
    • 노이즈 감소: 전기 설비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설치 요건

  • 법규 준수: 관련 법규 및 규정에 따라 설계 및 시공해야 합니다. (예: 전기설비기술기준)
  • 접지 저항: 접지 저항은 설비의 종류 및 용량에 따라 규정된 기준 값 이하를 유지해야 합니다.
  • 접지선 규격: 접지선의 굵기, 재질 등은 설비의 용량 및 접지 저항 값에 따라 적절하게 선정해야 합니다.
  • 접지 전극: 접지 전극의 종류, 매설 깊이, 간격 등은 토양의 종류, 설비의 규모 등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 등전위 본딩: 금속관, 금속덕트 등 도전성 부분을 서로 연결하여 등전위를 유지해야 합니다.
  • 정기적인 점검: 설치 후 정기적으로 접지 저항을 측정하고 접지 시스템의 상태를 점검해야 합니다.

설계 시 고려 사항

  • 시스템 규모: 설비의 종류, 규모, 배치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접지 시스템을 설계해야 합니다.
  • 토양 조건: 토양의 종류, 습도 등에 따라 접지 저항이 달라지므로 이를 고려하여 접지 전극을 선정해야 합니다.
  • 외부 환경: 낙뢰, 전자파 등 외부 환경을 고려하여 접지 시스템을 설계해야 합니다.

T23 인텔리전트 건축물 등에 적용되고 있는 공통접지와 통합접지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공통접지와 통합접지 EMT23)

인텔리전트 건축물은 다양한 전기, 통신 설비가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어 전자파 간섭, 노이즈 발생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접지 시스템의 설계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공통접지와 통합접지 방식은 인텔리전트 건축물에서 널리 활용되는 접지 방식입니다.

공통접지와 통합접지의 개념

  • 공통접지: 여러 개의 전기 설비를 하나의 접지 전극에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건물 전체의 전위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전위차에 의한 문제를 최소화하고, 접지 저항을 낮추는 효과가 있습니다.
  • 통합접지: 공통접지의 개념을 확장하여 건물 내 모든 전기, 통신 설비를 하나의 접지 시스템으로 통합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서지, 노이즈 등의 전자파 간섭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인텔리전트 건축물에서 공통접지와 통합접지가 필요한 이유

  • 다양한 전기, 통신 설비의 공존: 인텔리전트 건축물에는 조명, 난방, 환기, 통신 시스템 등 다양한 전기, 통신 설비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간의 전자파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효과적인 접지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 전자기 노이즈 감소: 통합된 접지 시스템은 노이즈 전류를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전자기 노이즈를 감소시키고,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킵니다.
  • 안전성 확보: 안전한 전기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접지가 필수적이며, 특히 인체 감전 방지, 기기 보호 등의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시스템 안정성 향상: 통합된 접지 시스템은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고장 발생 시 신속한 복구를 가능하게 합니다.

공통접지와 통합접지의 장점

  • 전위 균일화: 건물 전체의 전위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전위차에 의한 문제를 최소화합니다.
  • 접지 저항 감소: 접지 저항을 낮춰 접지 효율을 향상시킵니다.
  • 전자파 간섭 감소: 전자파 간섭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킵니다.
  • 노이즈 감소: 노이즈 전류를 분산시켜 노이즈를 감소시킵니다.
  • 유지보수 편의성: 통합된 접지 시스템은 유지보수가 용이합니다.

공통접지와 통합접지 설계 시 고려 사항

  • 접지 전극의 종류 및 배치: 건물의 규모, 토양의 종류, 주변 환경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접지 전극을 선정하고 배치해야 합니다.
  • 접지 저항: 접지 저항을 측정하여 접지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고,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접지 전극을 설치해야 합니다.
  • 절연 저항: 각 설비 간의 절연 저항을 유지하여 누전을 방지해야 합니다.
  • 접지 도체의 규격: 접지 도체의 규격은 접지 전류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로 선정해야 합니다.

●T48통합접지의 설치요건과 특징, 건물 기초 콘크리트시공방법

통합접지의 설치요건과 특징, 건물 기초 콘크리트 시공방법


1. 통합접지의 설치요건

  • 접지저항 기준: 통합접지방식은 모든 도전부가 등전위를 형성하고, 접지저항값이 10Ω 이하가 되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또한 특고압 계통 지락사고 시 저압기기에 인가되는 고장전압이 인체 허용 접촉전압 이하가 되도록 해야 합니다
  • 접지선 및 보호도체 규격: 접지선과 보호도체는 설비의 용량, 접지저항에 따라 충분한 굵기로 선정해야 하며, 주등전위 본딩 도체는 구리 6㎟ 이상, 낙뢰보호계통 포함 시 16㎟ 이상이어야 합니다
  • 등전위 본딩: 건물 내 모든 금속 배관, 철골, 전기·통신 설비 등 도전성 부분을 등전위 본딩하여 전위차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본딩 도체의 전기적 연속성은 0.2Ω 이하로 유지해야 합니다
  • SPD(서지보호장치) 설치: 과전압 보호를 위해 저압 배전반에는 II등급 이상 SPD를 설치하고, SPD 연결도체는 50cm 이하, 접지선 단면적은 16㎟(구리) 이상이어야 합니다
  • 법규 준수: 전기설비기술기준, 한국전기설비규정(KEC), IEC 60364-5-54 등 관련 법규와 표준을 준수해야 합니다

2. 통합접지의 특징

  • 전위 균일화: 건물 내 모든 설비가 하나의 접지망에 연결되어 전위차가 발생하지 않아 감전 위험이 크게 줄어듭니다
  • 접지저항 저감: 여러 접지극을 병렬로 연결해 경제적으로 낮은 접지저항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전자파·노이즈 감소: 전기·통신·피뢰설비를 통합 접지함으로써 전자파 간섭과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습니다
  • 유지보수 편의성: 접지 시스템이 단일화되어 관리와 점검이 용이합니다
  • 경제성: 접지극 수를 줄이고, 시공비와 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 확장성: 건물 증축이나 설비 추가 시 접지망 확장이 용이합니다
  • 단점: 피뢰설비, 통신설비 등 민감한 설비는 사고 시 파급효과가 크므로 SPD 등 보호장치 설치가 필수입니다

3. 건물 기초 콘크리트 접지 시공방법

  • 기초접지극 선정: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주철근, 별도의 구리선(50㎟ 이상), 용융아연도금강대(90㎟ 이상) 등을 사용합니다
  • 매입 위치 및 깊이: 기초접지극은 콘크리트 기초 하부에 최소 50mm 이상 깊이로 매입하며, 방수층이나 절연재 아래에서 대지와 직접 접촉하도록 시공합니다
  • 길이 및 면적: 접지극은 수평으로 최소 6m 이상 연속적으로 설치하며, 철근 메시의 경우 10×10m 이내로 연결하고, 최대 20m마다 용접 또는 클램프로 접속해 전기적 연속성을 확보합니다
  • 연결 방식: 접지극과 접지도체는 발열성 용접, 압착접속, 클램프 등으로 견고하게 접속합니다
  • 부식 방지: 구리, 스테인리스 등 내식성 재료를 사용하고, 서로 다른 금속을 연결할 때는 전식 방지 대책을 마련합니다
  • 접지저항 관리: 시공 직후에는 접지저항이 높을 수 있으나, 콘크리트가 양생되고 수분이 침투하면 저항이 낮아지므로 일정 기간(약 2개월) 후 재측정이 권장됩니다
  • 점검 및 기록: 시공 후 접지저항, 대지저항률, 접지극 재료·형상·깊이 등을 기록하고, 정기적으로 점검합니다

4. 요약 표

구분주요 내용 및 기준
설치요건접지저항 10Ω 이하, 등전위 본딩, SPD 설치, 법규 준수
특징전위 균일화, 저항 저감, 노이즈 감소, 유지보수 용이, 경제성, 확장성
기초 콘크리트철근·구리선 등 사용, 50mm 이상 매입, 6m 이상 연속, 용접·클램프 접속
부식·점검내식성 재료, 전식 방지, 시공 후·정기적 접지저항 측정

통합접지는 건물 내 모든 설비의 안전과 신뢰성을 높이는 현대적 접지방식으로, 기초 콘크리트 접지 시공 시에도 관련 기준을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

https://blog.naver.com/omarcho2000/222766582967

https://22tomorrow.tistory.com/entry/%EC%A0%84%EA%B8%B0%EC%A0%84%EC%9E%90-%EC%A0%91%EC%A7%80%EC%8B%9C%EC%8A%A4%ED%85%9C-%EB%B6%84%EB%A5%98-%EC%A0%91%EC%A7%80%EC%97%90-%EB%8C%80%ED%95%B4%EC%84%9C1

https://www.midascad.com/cad_archive/electricity-cad-kec-4

http://journal.auric.kr/kieep/XmlViewer/f423022

https://saamy2.tistory.com/12

https://blog.naver.com/ok1659/222511266780

https://sunflower137.com/entry/%EC%A0%91%EC%A7%80-%EA%B3%B5%EC%82%AC-%EB%B0%A9%EB%B2%95

https://engineroom.tistory.com/157

https://blog.naver.com/somang8991/222650646902

https://www.keea.or.kr/head/wno/getWNO01R02View.do?bran_id=10&board_id=L01&seq=94

https://koreascience.kr/article/JAKO201625748321761.pdf

https://blog.naver.com/ohyes2139/221203936219

https://blog.naver.com/k8010314/221423336731

http://www.dosi7704.com/Roundconcreteearthing.pdf

https://www.keea.or.kr/j2ee/ebook/bulletin/old_zine/magazine/2003_10/images/iron.pdf

○T49공통, 통합접지의 접지저항 측정방법

공통·통합접지의 접지저항 측정방법

1. 기본 원칙

공통 및 통합접지의 접지저항 측정은 3전극법(전위강하법)이 표준적으로 사용됩니다. 이 방법은 접지저항계(Earth Tester)와 두 개의 보조전극(P: 전위극, C: 전류극)을 이용하여 측정합니다. 측정 시 보조전극의 위치와 이격거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2. 3전극법(전위강하법) 측정 절차

  1. 측정 준비
    • 측정 대상 접지극(E)에서 일직선상으로 보조전극 P(전위극)과 C(전류극)를 설치합니다.
    • 보조전극 간 이격거리:
      • 소규모 접지망: 접지극 규모의 6.5배 이상 또는 E-C 간 80m 이상 이격
      • 대규모 접지망: 접지망의 약 2.5배 이상(예: 91.44m×91.44m 접지망은 228.6~304.8m 이격)
  2. 보조전극 위치 선정
    • P(전위극)는 E-C 간의 61.8% 지점에 설치합니다.
    • 참값 확인을 위해 P를 51.8%, 61.8%, 71.8% 지점에 각각 설치하여 3회 측정합니다.
    • 세 측정값의 오차가 ±5% 이내면 평균값을 접지저항값으로 산정합니다. 오차가 크면 E-C 간 거리를 늘려 재측정합니다
  3. 측정기 연결 및 측정
    • 접지저항계의 E, P, C 단자에 각각 측정 대상 접지극, 전위극, 전류극을 연결합니다.
    • 측정기 전원을 켜고, 영점조정 후 측정 버튼을 눌러 값을 확인합니다.
    • 표시된 값이 해당 접지의 접지저항값입니다

3. 측정 시 유의사항

  • 저항구역 중첩 방지: 보조전극(P, C)은 접지망의 저항구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충분히 이격해야 합니다.
  • 측정 환경: 대지저항률이 높거나 주변에 금속 구조물이 많을 경우, 측정값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여러 위치에서 반복 측정이 필요합니다.
  • 정확성 확보: 참값 확인을 위해 여러 위치에서 측정 후 평균값을 사용합니다

4. 요약 표

단계주요 내용 및 기준
보조전극 이격접지망 6.5배 이상 또는 80m 이상(소규모), 2.5배 이상(대규모)
전위극 위치E-C 간 61.8% 지점, 51.8%/61.8%/71.8% 3회 측정 후 평균값 산정
측정기 연결E(접지극), P(전위극), C(전류극) 단자 연결
측정값 산정3회 측정값 오차 ±5% 이내 평균값, 오차 초과 시 거리 늘려 재측정

5. 기타 측정법

  • 2전극법: 현장 여건상 3전극법이 어려울 때 사용하지만, 정확도가 떨어지므로 보조적으로만 활용합니다.
  • 클램프형 접지저항계: 일부 통합접지망에서는 클램프형 측정기를 사용할 수 있으나, 접지망이 복잡할 경우 오차가 커질 수 있습니다

공통·통합접지의 접지저항 측정은 반드시 3전극법을 원칙으로 하며, 보조전극의 이격거리와 반복 측정에 의한 참값 확인이 중요합니다. 관련 기준과 절차를 준수하여야 신뢰성 있는 측정이 가능합니다

https://blog.naver.com/thesonlab/222636843963

https://blog.naver.com/kkd6904/222108720277

http://ftz.myds.me/wordpress/%ED%86%B5%ED%95%A9-%EA%B3%B5%ED%86%B5%EC%A0%91%EC%A7%80%EB%B0%A9%EC%8B%9D/

https://22tomorrow.tistory.com/entry/%EC%9E%A5%EB%B9%84%EC%84%A4%EB%B9%84-%EC%A0%91%EC%A7%80%EC%A0%80%ED%95%AD%EA%B3%84-%EC%82%AC%EC%9A%A9%EB%B0%A9%EB%B2%95-%EC%A0%91%EC%A7%80%ED%85%8C%EC%8A%A4%ED%84%B0%EA%B8%B0-%EC%82%AC%EC%9A%A9%EB%B0%A9%EB%B2%95

https://blog.naver.com/skp1659/222361683722

https://eec237.tistory.com/16

https://happinessfamily.tistory.com/entry/ground

https://blog.naver.com/lysung2014/221549634714

http://transducer.co.kr/uploaded/board/data2/00-%EA%B3%B5%ED%86%B5%ED%86%B5%ED%95%A9%EC%A0%91%EC%A7%80%EA%B3%B5%EC%82%AC_%EA%B2%80%EC%82%AC%EC%97%85%EB%AC%B4%EC%B2%98%EB%A6%AC%EB%B0%A9%EB%B2%95_2018_.pdf

135-02 한국전기설비규정에서 정의 하는 보호도체 단면적 선정 방법을 설명하시오

모범답안(보호도체 단면적 선정방법 EMT135)

5️⃣접지선 및 보호도체 및 등전위 본딩 도체 단면적

1)접지선 및 보호도체 단면적

\[S=\frac{\sqrt{I^2t}}{k}\]

이상, 차단 시간 5초 이하에 적용

설비의 상도체 단면적S[㎟]보호도체 최소 단면적Sp[㎟]
S<16S
16<S<3516
35<SS/2

2)등전위 본딩 도체

  • 주등전위 본딩 도체 단면적
재질 단면적[㎟] 낙뇌보호계통을 포함하는
경우 단면적[㎟]
구리616
알루미늄1625
강철5050
  • 보조 등전위 본딩 도체 단면적
구분기계적보호
있음
기계적보호
없음
전원케이블의 일부 또는 케이블
외함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2.5[㎟/Cu]
16[㎟/Al]
4[㎟/Cu]
16[㎟/Al]

접지방법결정 (EM)

(목적에따른)
N 중성점 접지방법
R 유효접지와 비유효접지
B 배전계통의 접지(IEC 60364-3 )

(형태에따른)
O 단독접지와 공용접지
S 구조체 접지설계 시 검토사항
T 통합 공통접지방식
E 등전위 본딩
G 접지선 접지봉

T 접촉전압과 보폭전압

목차(통합 공통접지방식 EMT)

통합 공통접지방식

🌐2809C242 / EMT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