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 객실관리 설비는?
객실의 서비스, 도난방지, 에너지절약, 합리적인 경영을 위한 설비로 객실 설비, 중간서비스 설비, 중앙 및 프런트 설비로 구성된다.
호텔 객실관리 설비 설계
- 서비스의 규모를 상정한다
- 객실별 관리 대상을 설정한다
- 프런트에서 관리해야 할 대상을 설정한다
- 통신방식에 따른 배선시스템 및 호텔관리 프로그램을 선정한다
객실 설비
1)객실 설비
- 각각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에 설치한다
2)객실제어기(Control Box)
- 패널 형태로 내부의 현관 입구주변(옷장,창고 등)에 설치한다
- 객실 내 설치기기의 기능을 제어하고 기능에 대한 사항을 중앙설비로 전달한다
3)객실 온도제어기
- 객실 내 온도를 제어하는 기능으로 객실 내 기구 및 내장 재료에 영향이 없는 곳에 설치한다
- 객실제어기를 통해 중앙 및 프런트 설비에 연결한다
- 기본제어 : 팬코일 유니스 온돌밸브 등
- 중앙제어 : 예열 및 예랭 운전, 체크인 시 강제운전, 이상온도 시 경보 및 운전정지
4)객실 전기에너지 제어 장치
- 객실 내 전기에너지 제어는 키 센서를 사용한다
- 객실제어기를 통해 중앙 및 프런트 설비에 연결한다
- 재실 시에만 전기 에너지가 소비되도록 한다
- 상시 전원이 필요한 시설은 전기 에너지 제어설비에서 제외한다
- 키센서와 도어록 시스템을 일치시키는 경우에는 건축설계와 협조한다
5)객실 내 상황 표시설비
- 재실 유무표시 장치 설치한다
- 차임벨 스위치에는 입구 인티케이터 또는 방해금지 표시가 가능하도록 검토한다
- 프런트 데스크에서 보낸 메시지 표시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 비상시 프런트에 연락 가능한 비상호출 스위치를 설치한다
6)기타 설비
- 객실 내에는 리모컨을 통하여 객실 내에 설치된 기기(TV, 조명등, 온도제어기)를 동작 또는 정지시키는 설비를 검토한다
- 입구등은 타임스위치로 제어한다
중간 서비스 설비
1)중간 서비스 설비
- 각 층의 서비스실(메이드 룸)에서 객실을 관리(청소, 비품 등)하기 위한 FIP설비이다
2)FIP설비
- 중앙에 설치하는 CIP과 연결된다
- 프런트 데스크에서 객실의 공실여부를 판단하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 각층 서비스실(메이드룸)에 설치한다
중앙 및 프런트 설비
1)중앙 및 프런트 설비
- 각 층 객실의 상태를 파악하여 각 실에 대한 서비스를 실행한다
- 객실에 대한 영업 및 에너지 분석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설치한다
2)키랙 설비
- 키랙은 객실의 키를 수납하는 것이다
- 공실(체크인아웃)상태를 표시한다
- 키의 수납상캐에 따라 CIP FIP에 객실의 재실 유무를 표시한다
- 메시지 표시 기능및 비상호출 표시등의 부가를 검토한다
3)CIP
- 각층 객실의 서비스상태(공실여부, 청소유무 등)를 알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프런트데스크 또는 사무실에 설치한다
- 각층에 설치하는 FIP과 연결된다
4)중앙처리 설비
- 중앙처리설비
-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 키랙CIP, 예약관리시스템으로부터 정보를 받아 호텔 객실관리 업무를 수행한다
- 하드웨어
- 중앙처리장치, 기억장치, 입력장치, 출력장치로 구성된다
- 소프트웨어
- 서비스관리시스템, 에너지관리시스템, 경영관리시스템을 도입한다
배선설비
- 간선의 경우 ES내부에 설치한다
- 객실까지 지선은 배선변경이 용이한 공법을 검토하고, 유지보수 및 증설을 고려한다
- 배선은 통신장애가 없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