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IEC 62305-1 FLA)
IEC 62305-1
1️⃣KS C IEC 62305-1(일반원리)
1)목적
피뢰설비는 구조물내의 인체, 설비, 시설물을 뇌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적용범위 및 제외대상
- 적용범위
- 사람은 물론 설비 및 내용물을 포함하는 구조물
- 구조물에 접속된 인입 설비
- 제외대상
- 철도시스템
- 자동차, 선박, 항공, 항만시설
- 지중 고압선로
- 구조물에 연결되지 않은 배관, 전력선 또는 통신선
3)일반원칙(IEC 62305-1)
- 건축물 내의 인체, 설비, 인입설비 등의 뇌보호의 일반적 사항
- 뇌방전 유형에 따른 뇌격전류 분석
2️⃣구조물의 손상과 손실 유형
1)뇌격점에 따른 구조물의 손상과 손실

2)뇌격점의 위치
- S1 : 구조물 뇌격
- S2 : 구조물 근처의 뇌격
- S3 : 구조물에 접속된 선로 뇌격
- S4 : 구조물에 접속된 선로 근처 뇌격
3)뇌격에 의한 손상의 유형
- D1 : 감전에 인한 인축의 상해
- D2 : 뇌전류의 영향에 의한 물리적 손상(화재, 폭발, 기계적파괴)
- D3 : LEM로 인한 내부시스템의 고장
4)손상의 결과로 나타날 수 있는 손실의 유형
- L1 : 인명손실(영구상해 포함)
- L2 : 공공 서비스 손실
- L3 : 문화유산의 손실
- L4 : 경제적 가치의 손실(구조물과 그 내용물의 손실)
3️⃣구조물의 손상유형
1)구조물 직격뢰
- 외측 접촉전압 보폭전압
- 위험한 불꽃
- LEMP
2)구조물 근처 뇌격
- LEMP
3)인입설비 직격뢰
- 내측의 접촉전압
- 불꽃방전
- 전도성 과전압
4)인입설비 근처 뇌격
- 유도성 과전압
4️⃣보호대책
1)감전에 의한 인축 상해 줄이는 보호 대책
- 노출 도전성 부분의 적절한 절연
- 메시 접지 시스템을 이용한 등전위화
- 물리적 제한과 경고표시
- 뇌등전위 본딩
2)뇌전류의 영향에 의한 물리적 손상 보호 대책
- 적합한 수뢰부, 인하도선, 접지극 시스템 구축
- 피뢰 등전위 본딩
-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전기적 절연
3)LEMP로 인한 내부 시스템의 고장 보호 대책
- 접지 및 본딩대책
- 자기차폐
- 선로의 포설경로
- 전연 인터페이스
- 협조된 SPD 시스템
목차(IEC 62305-1 FLA)
IEC 62305-1
💯기출문제
●A13 전기설비와 통신설비에 발생되는 낙뢰 피해의 형태와 대책을 설명하시오
모범답안(낙뢰 피해형태와 대책 FLA13)
3️⃣구조물의 손상유형
1)구조물 직격뢰
- 외측 접촉전압 보폭전압
- 위험한 불꽃
- LEMP
2)구조물 근처 뇌격
- LEMP
3)인입설비 직격뢰
- 내측의 접촉전압
- 불꽃방전
- 전도성 과전압
4)인입설비 근처 뇌격
- 유도성 과전압
4️⃣보호대책
1)감전에 의한 인축 상해 줄이는 보호 대책
- 노출 도전성 부분의 적절한 절연
- 메시 접지 시스템을 이용한 등전위화
- 물리적 제한과 경고표시
- 뇌등전위 본딩
2)뇌전류의 영향에 의한 물리적 손상 보호 대책
- 적합한 수뢰부, 인하도선, 접지극 시스템 구축
- 피뢰 등전위 본딩
-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전기적 절연
3)LEMP로 인한 내부 시스템의 고장 보호 대책
- 접지 및 본딩대책
- 자기차폐
- 선로의 포설경로
- 전연 인터페이스
- 협조된 SPD 시스템
●D20 KS C IEC 62305-1에 규정된 피뢰시스템(LPS)에서 다음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적용범위
2)외부뇌보호시스템
3)내부뇌보호시스템
모범답안(피뢰시스템 FLA20)
2)적용범위 및 제외대상
- 적용범위
- 사람은 물론 설비 및 내용물을 포함하는 구조물
- 구조물에 접속된 인입 설비
- 제외대상
- 철도시스템
- 자동차, 선박, 항공, 항만시설
- 지중 고압선로
- 구조물에 연결되지 않은 배관, 전력선 또는 통신선
모범답안(외부 내부 뇌보호시스템 LFD20)
2️⃣뇌전자계 보호시스템(LEMS)의 계획
- 뇌전자계 보호시스템의 계획의 순서는
위험분석→LPZ구분→LPMS계획 및 설계→LPMS설치 및 시공→LPMS적합성확인
1)뇌보호영역(LPZ)
- 구조물의 각 구역별 뇌 위험 정도에 따라 LPZ영역으로 구분된다
- 외부구역
구분 | 특징 |
LPZ0 | 뇌자계가 감쇠되지 않는 위험 구역과 뇌서지 전류의 전체 또는 일부가 내부시스템에 흐를수 있는 구역 |
LPZ0A | 직격뢰에 의한 놔격과 완전한 뇌전자계의 위협이 있는 지역 외등, 감시카메라 등 |
LPZ0B | 직격뢰에 의한 뇌격은 보호되나 완전 뇌전자계의 위협이 있는 지역 옥상수전(큐비클)설비, 공조옥외기, 항공장애등, 안테나등 |
내부구역(직격뢰에 대하여 보호된 구역)
구분 | 특징 |
LPZ1 | 전류분배기 및 절연인터페이스 또는 경계지역의 SPD에 의해 서지전류가 제한된지역 수변전설비, MDF, 전화교환기 등 |
LPZ2.. | 전류분배기 및 절연인터페이스, 또는 경계지역의 SPD에 의해 서지전류가 더욱 제한된 지역 방재센터, 중앙감시시설, 전산센터 |
- LPZ 구분의 개념도

2)뇌전자계 보호시스템(LPMS)에 의한 보호
- 접지와 본딩
- 접지계(뇌격전류 분산)+본딩계(전위차, 자계 줄임)
- 접지계
- A형 접지극
방사상 접지극, 수직 접지극, 판상 접지극 : 전력시스템만 보호 시 적합 - B형 접지극
환상 접지극, 메시 접지극, 기초 접지극, 구조체 접지극 : 전자시스템 보호 시 적합
- A형 접지극
- 본딩계
- 저압 임피던스 본딩망 구성

- 본딩바
- LPZ에 인입하는 모든 도전성 설비는 직접 도는 SPD통해 본딩바에 접속한다
- 저 임피던스로 가급적 짧게 설치(0.5[m]이하)
- 자기차폐와 배선
- 공간차폐 : 전자계, 유도 서지를 저감하기 위한 공간 차폐물 설치
- 내부선로배선 : 내부 선로 루프면적 최소화, 케이블 차폐, 케이블 덕트, 금속외함
- 외부선로배선 : 케이블 차폐, 케이블 덕트
- SPD의 동작 협조
- 전원선, 통신선은 보호전압, 용량, 설치위치 등을 고려 상호 협조된 SPD사용
- SPD 보호거리
SPD의 유효 보호레벨
\[\frac{U_p}{f}=U_p+Δu(v)\]
- 장비와 SPD 최대거리
\[L_p=(U_w−\frac{U_p}{f})/25\]
\[\frac{U_p}{f}\le\frac{U_w}{2}인경우피보호기와\]
SPD가10[m]이하인경우는무시
- 절연 인터페이스
상 케이블, 절연 TR, 포터 커플러
●A21 KS C IEC 62305-1 피뢰시스템에서 규정하는뇌격에 의한 구조물과 관련된 손상의 결과로 나타날 수 있는 손실의 유형을 설명하고 이를 줄이기 위한 보호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구조물손상유형과 보호대책 FLA21)
2️⃣구조물의 손상과 손실 유형
1)뇌격점에 따른 구조물의 손상과 손실

2)뇌격점의 위치
- S1 : 구조물 뇌격
- S2 : 구조물 근처의 뇌격
- S3 : 구조물에 접속된 선로 뇌격
- S4 : 구조물에 접속된 선로 근처 뇌격
3)뇌격에 의한 손상의 유형
- D1 : 감전에 인한 인축의 상해
- D2 : 뇌전류의 영향에 의한 물리적 손상(화재, 폭발, 기계적파괴)
- D3 : LEM로 인한 내부시스템의 고장
4)손상의 결과로 나타날 수 있는 손실의 유형
- L1 : 인명손실(영구상해 포함)
- L2 : 공공 서비스 손실
- L3 : 문화유산의 손실
- L4 : 경제적 가치의 손실(구조물과 그 내용물의 손실)
3️⃣구조물의 손상유형
1)구조물 직격뢰
- 외측 접촉전압 보폭전압
- 위험한 불꽃
- LEMP
2)구조물 근처 뇌격
- LEMP
3)인입설비 직격뢰
- 내측의 접촉전압
- 불꽃방전
- 전도성 과전압
4)인입설비 근처 뇌격
- 유도성 과전압
4️⃣보호대책
1)감전에 의한 인축 상해 줄이는 보호 대책
- 노출 도전성 부분의 적절한 절연
- 메시 접지 시스템을 이용한 등전위화
- 물리적 제한과 경고표시
- 뇌등전위 본딩
2)뇌전류의 영향에 의한 물리적 손상 보호 대책
- 적합한 수뢰부, 인하도선, 접지극 시스템 구축
- 피뢰 등전위 본딩
-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전기적 절연
3)LEMP로 인한 내부 시스템의 고장 보호 대책
- 접지 및 본딩대책
- 자기차폐
- 선로의 포설경로
- 전연 인터페이스
- 협조된 SPD 시스템
목차(IEC 62305-1 FLA)
IEC 62305-1
🌐1003Z24 / FLA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