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 그리드

신개념에너지(MN)

G 스마트 그리드
M 마이크로 그리드
R 전기자동차 전원공급설비
V V2G
J 전력저장장치
E ESS의 제어기술
D 이차전지를 이용한 전기저장장치의 시설
F ESS의 안전강화
T 리튬이온 축전지
S SMES(초전도 에너지 저장장치)
C 초고용량 커패시터
B 이차전지
A 압축공기 에너지 저장장치(CAES)
N 분산형 전원
L 분산형 전원 배전계통 연계기술

목차(마이크로 그리드 MNM)
  • 소규모 지역에서 자체적으로 전기를 생산, 저장, 소비는 새로운 개념의 전력 시스템
  • 어떠한 형태의 에너지원도 마이크로 그리드에 연결이 가능해야 하고 계통에 영향을 주어서는 안된다
  • 기존 전력 계통과 연계 또는 독립 운영이 가능

1️⃣마이크로 그리드

1)독립형 마이크로 그리드

  • 전남 가사도에 설치 운영
  • ESS를 이용 시 계통연계보다 경제적일 경우에 해당
  • 소규모 전력망에 적용

2)연계형 마이크로 그리드

  • 중간규모 전력망에 적용
  • 독립형보다 안정적

2️⃣마이크로 그리드 구성

1)계통 연계형

2)마이크로 그리드 EMS(제어시스템)

  •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
  • 독립형 마이크로 그리드의 경우
    • 안정적 운영이 목표
    • 전압 주파수 관리
  • 연계형 마이크로 그리드의 경우
    • 연계선로 제어
    • 통합적 에너지 생산 제어

3)에너지 저장장치(ESS)

  • 생산 수요 시간의 불일치로 이하여 에너지 저장장치필요(주파수보상등에 사용)
  • 전지형태 리튬, 수소 등
  • 열형태 : 빙축열, 흡수식 냉동기

4)전력품질 보상장치

  • 전압, 주파수를 제어

5)분산 발전원

  • 신재생 에너지 : 풍력, 태양광, 연료전지,소수력 등
  • 디젤, 가스터빈 : 열병합

6)PCU(PowerConditioningUnit)

  • 인버터에 의해 DC-AC 변환
  • 배전선로의 전압과 공급되는 전압의 동기화
  • 계통연계 보호장치를 포함

7)통신시스템

  • 각 구성 요소 간의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

3️⃣마이크로 그리드 기능

  • 에너지 이용 극대화 : 신재생, 저장장치
  • 신재생 에너지 이용 : 송전손실 경감
  • 전력 품질개선 : 전압, 주파수 보상, 무정전 공급
  • 계통 연계 단순화 : 어떤 에너지원도 1점 접속
  • 에너지 거래 : 잉여전력 판매
  • 통합 정보망 이용 : 수용가, 전력사업자, 기기 제작사

마이크로그리드의 장점

  • 재생에너지 활용 증대: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의 비중을 높여 환경 보호에 기여합니다.
  • 전력 공급 안정성 향상: 중앙 전력망의 문제 발생 시에도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합니다.
  • 에너지 효율 향상: 에너지 소비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 블랙 스타트 기능: 대규모 정전 발생 시 마이크로 그리드가 먼저 복구되어 지역 사회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4️⃣마이크로 그리드 구현방안

1)마이크로 그리드 Islanding상황 시

  • 신재생 에너지에 의한 전력공급
    • 주파수 유지
    • 중부하 시 부하공급 여부
  • 고장전류 발생시 고장 표시 여부

2)마이크로 그리드 전원복구 시

  • 동기화 투입 여부를 확인한다.

마이크로그리드의 활용 분야

  • 도서 지역: 전력망 접근이 어려운 도서 지역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 산업 단지: 자체적으로 전력을 생산하고 소비하여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 건물: 건물에 설치하여 자가 소비형 에너지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 군사 시설: 전력 공급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비상 시 자체적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5️⃣마이크로 그리드의 미래

  • 마이크로그리드는 분산형 에너지 시스템의 핵심 기술로서, 앞으로 더욱 발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의 기술과 접목되어 더욱 지능화되고 효율적인 시스템으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신개념에너지(MN)

G 스마트 그리드
M 마이크로 그리드
R 전기자동차 전원공급설비
V V2G
J 전력저장장치
E ESS의 제어기술
D 이차전지를 이용한 전기저장장치의 시설
F ESS의 안전강화
T 리튬이온 축전지
S SMES(초전도 에너지 저장장치)
C 초고용량 커패시터
B 이차전지
A 압축공기 에너지 저장장치(CAES)
N 분산형 전원
L 분산형 전원 배전계통 연계기술

목차(마이크로 그리드 MNM)

💯기출문제

●M18마이크로 그리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마이크로그리드 MNM18)

마이크로 그리드는 기존의 중앙집중식 전력 시스템과는 달리, 소규모 지역에서 자체적으로 전력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독립적인 전력 시스템

마이크로 그리드의 특징

  • 분산형 전원: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등 다양한 분산형 전원을 활용하여 전력을 생산합니다.
  • 에너지 저장 장치(ESS):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고 필요할 때 사용하여 전력의 안정적인 공급을 가능하게 합니다.
  • 지능형 제어 시스템: 다양한 에너지원과 부하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지능형 제어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 독립 운전 및 계통 연계: 필요에 따라 독립적으로 운전하거나, 상위 전력망과 연계하여 운전할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그리드의 장점

  • 재생에너지 활용 증대: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의 비중을 높여 환경 보호에 기여합니다.
  • 전력 공급 안정성 향상: 중앙 전력망의 문제 발생 시에도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합니다.
  • 에너지 효율 향상: 에너지 소비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 블랙 스타트 기능: 대규모 정전 발생 시 마이크로 그리드가 먼저 복구되어 지역 사회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그리드의 구성 요소

  • 분산형 발전원: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등
  • 에너지 저장 장치(ESS): 배터리 등
  • 전력 변환 장치: DC/AC 변환, AC/DC 변환 등
  • 제어 시스템: 마이크로그리드의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 시스템
  • 통신 시스템: 각 구성 요소 간의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

마이크로그리드의 활용 분야

  • 도서 지역: 전력망 접근이 어려운 도서 지역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 산업 단지: 자체적으로 전력을 생산하고 소비하여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 건물: 건물에 설치하여 자가 소비형 에너지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 군사 시설: 전력 공급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비상 시 자체적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그리드의 미래

마이크로그리드는 분산형 에너지 시스템의 핵심 기술로서, 앞으로 더욱 발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의 기술과 접목되어 더욱 지능화되고 효율적인 시스템으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신개념에너지(MN)

G 스마트 그리드
M 마이크로 그리드
R 전기자동차 전원공급설비
V V2G
J 전력저장장치
E ESS의 제어기술
D 이차전지를 이용한 전기저장장치의 시설
F ESS의 안전강화
T 리튬이온 축전지
S SMES(초전도 에너지 저장장치)
C 초고용량 커패시터
B 이차전지
A 압축공기 에너지 저장장치(CAES)
N 분산형 전원
L 분산형 전원 배전계통 연계기술

목차(마이크로 그리드 MNM18)

🌐V1102C24 / MNM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