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소공학
연소공학
🗄️연소기초
📃연소와 연료의 개요
1)연소의 3요소
가연물(환원제), 산소공급(산화제), 점화원
2)압력의 증가에 따른 증기의 성질
- 증가 : 현열, 엔탈피, 포화온도
- 감소 : 증발열, 잠열
📃연료의 기본 성질
1)🥇API도
(여기서, S : 비중(60[℉] / 60[℉] )
2)착화온도[℃]
- 외부로부터 열을 받지 않아도 연소를 개시할 수 있는 최저 온도
- 착화온도가 낮아지는 이유 : 분자구조가 복잡할수록, 산화농도 압력 발열량 반응활성도 등이 높을수록,
- 습도, 활성에너지, 열전도율이 낮을수록
📃연료의 종류 및 특성
1)중류의 점도가 높아질수록 연소에 미치는 영향
- 오일탱크로부터 버너까지의 이송이 곤란해진다.
- 버너의 연소 상태가 나빠진다
- 기름의 분무현상이 불량해진다
- 버너화구에 유리탄소가 생긴다.
3-6
📃연소의 형태(상태)
📃연소속도
1)연소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연료(가연물)종류, 산화성 물질 종류, 가연물과 산화성 물질의 혼합비율, 연료의 밀도 비열(작을수록 연소속도증가), 연료의 열전고율 화염온도 연소온도 압력(크거나 높을수록 연소속도 증가)
🗄️연소계산
📃연소현상이론
1)주요 연소방정식
- 수소 H2+0.5O2→H2O
- 탄소 C+O2→CO2
- 황 S+O2→SO2
- 일산화탄소 CO+0.5O2→CO2
- 메탄 CH4
- 아세틸렌 C2H2
- 에탄 C2H6
- 프로판 C3H8+5O2 → 3CO2+4H2O
- 부탄 C4H10
- 옥탄 C8H18
- 등유 C10H20
- 탄화수소의 일반 반응식
2)발생탄소량 : 연료량 X 석유환산계수 X 탄소배출계수
- 석유환산계수 : 에너지원별 열량을 석유환산량[TOE]으로 환산하기 위한 계수
- TOE : 원유 1톤에 해당하는 열량 (약107[kcal]), 발열량을 1[kg]=10,000[kcal]로 환산한 값
- 탄소배출계수 : 화석연료 소비량을 탄소량으로 변환하기 위한 연료별 단위 에너지당 탄소 함유량
3)슈테판-볼츠의 열복사 법칙
R(T)= σT⁴
R(T) : 단위면적당 열복사에너지
1-2
📃 이론 및 실제 공기량 연소가스량 2.3.1
2-3, 2-4
📃공기비
1)🥇공기비(m) 계산공식
A : 실제공기량 A0 : 이론공기량
📃연소방정식을 이용한 계산
1)이론 산소량(O₀)
질량계산 [kg/kg]
체적계산 [N㎥/Kg]
2)🥇이론 공기량(A₀)
질량계산 [kg/kg]
체적계산 [N㎥/Kg]
📃성분 조성을 이용한 계산
1)🥇이론산소량(O₀)
고체 액체연료의 이론산소량
질량계산[kg/kg]
체적계산[N㎥/Kg]
기체연료의 이론산소량[N㎥/N㎥]
2)이론공기량(A₀)
고체 액체연료의 이론산소량
질량계산[kg/kg]
체적계산[N㎥/Kg]
기체연료의 이론산소량[N㎥/N㎥]
📃습연소가스량(습배기가스량)
1)🥇고체 액체 연료의 습연소가스량(G)
연소방정식에 의한 계산
[kg/kg]
[kg/kg]
[N㎥/kg]
체적변화에 의한 계산
[N㎥/kg]
[N㎥/kg]
(액체연료성분이 탄소와 수소만일 경우)
2)🥇기체 연료의 습연소가스량(G)
연소방정식에 의한 계산
[N㎥/N㎥]
[N㎥/kg]
체적변화에 의한 계산
[N㎥/N㎥]
📃건연소가스량(건배기가스량)
고체 액체연료의 건연소가스량(건배기가스량 G’)
연소방정식에 의한 계산
[kg/kg]
[N㎥/kg]
체적변화에 의한 계산
[N㎥/kg]
[N㎥/kg]
(액체연료성분이 탄소와 수소만일 경우)
기체연료의 건연료 가스량(건배기가스량 G’)
연소방정식에 의한 계산
[N㎥/N㎥]
체적변화에 의한 계산
[N㎥/N㎥]
연소가스량 관련식
CO2와 연소 중의 탄소분을 알고 있을 때의 건연소가스량
습연소가스량과 건연소가스량의 관계식
G=G’+1.25(9H+w)
산소의 몰분율(연소가스 조성 중 산소값)
📃발열량
🥇고체 액체연료의 발열량
고체 액체 연료의 고위발열량
[kcal/kg]
[MJ/kg]
고체 액체연료의 저준위발열량
[kcal/kg]
[MJ/kg]
기체연료의 발열량
기체연료의 고위발열량
[Kcal/N㎥]
기체연료의 저위발열량
[Kcal/N㎥]
📃연소온도(화염온도)
이론연소온도
실제연소온도
연소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공기비, 공기중의 산소농도, 연소효율, 공급공기온도, 연소시 반응물질 주위의 온도, 연료의 저위발열량 (연소온도는 공기비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다)
📃열정산
1)입열과 출열
입열 : 연료의 보유열량, 현열, 예열, 연소열, (저위)발열량(가장크다), 공기의 현열(연소용 마른 공기의 현열, 산소의 현열, 연소용 공기 중 수분의 현열), 무화제의 현열, 장입강재의 함열량, 발열반응에 의한 반응열, 스케일의 생성열, 급수의 현열, 노 내 분입증기의 현열(보유열)등
출열: 배기가스열 또는 배기가스손실열(가장크다), 추출강재의 함열량, 스케일의 현열, 배기가스의 현열(마른배기가스의 현열, 배기가스 중 수중기의 현열) 불완전연소에 의한 손실열, 냉각수가 가져가는 열, 노체 및 연통 발산열, 노 개구부 방염갓 손실열, 노 개구부 방사손실열, 예열유체 배관의 방사열, 열풍발산열, 연소배기가스중 수중기(발생증기)의 보유열, 과잉공기에 의한 열손실, 미연소분에 의한 열손실, 발생증기 보유열, 복사 전도에 의한 열손실, 축 열손실, 유입 수증기가 다시 가져가는 열량 등
2)연소효율
연료가 보유한 화학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화하는정도
연소효율 : 실제의 연소에 의한 열량을 완전연소했을 때의 열량으로 나눈 것
전열효율
가열실의 이론효율
3)보일러 효율
🗄️연료의 분석과 시험
📃고체연료분석
📃액체연료 시험
📃기체연료 시험
🗄️연소장치
📃고체연료의 연소장치
📃액체연료의 연소장치
📃기체연료의 연소장치
📃연료의 저장 공급
🗄️통풍 환기 보염 댐퍼
📃통풍
📃환기
📃보염 댐퍼
🗄️공해 화재 연소범위 폭발
📃공해물질
📃공해물질 생성 억제방법 및 폐열회수
환열실의 전열량
📃공해 오염물질의 농도 측정
1)링겔만 매연농도를 이용한 매연 측정방법
📃공해 방지장치
1)건식 집진장치의 종류
중력식,
관성력식(충돌식, 반전식),
원심식(사이클론식, 멀티 사이클론형),
백필터(여과식),
진동 무화식
2)습식 집진장치의 종류
유수식,
가압수식(벤추리 스크러버, 사이클론 스크러버, 제트 스크러버, 충진탑),
회전식 등
📃화재 연소범위
1)연소범위(폭발범위, 폭발한계, 연소한계, 가연한계)
연소범위는 상한치와 하한치의 값을 가지며 각각 연소 상한계 또는 폭발 상한(UFL), 연소 하한계 또는 폭발 하한(LFL)이라고 한다
연소상한계(UFL) : 연소가능한 상한치
연소하한계(LFL) : 연소 가능한 하한치
2)가연성 가스의 위험도(H)
📃폭발
1)DID(폭광유도거리)
최초의 완만한 연소거리로부터 격렬한 폭광으로 발산할때까지의 거리이며 짧을수록 위험하다
DID가 짧아지는 요인 : 관경이 가늘수록, 관 속에 방해물이 있을수록, 압력이 높을수록, 발화원의 에너지가 클수록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