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개념에너지(MN)
G 스마트 그리드
M 마이크로 그리드
R 전기자동차 전원공급설비
V V2G
J 전력저장장치
E ESS의 제어기술
D 이차전지를 이용한 전기저장장치의 시설
F ESS의 안전강화
T 리튬이온 축전지
S SMES(초전도 에너지 저장장치)
C 초고용량 커패시터
B 이차전지
A 압축공기 에너지 저장장치(CAES)
N 분산형 전원
L 분산형 전원 배전계통 연계기술
목차(이차전지 MNB)
이차전지
❗개요
- 한번 쓰고 버리는 일차전지와는 달리, 전기를 저장했다가 반복사용이 가능한 전지
- 4대 핵심소재(양극, 음극, 전해액, 분리막)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서로 다른 양, 음극소재의 전압 차이를 통해서 전기를 저장하고 발생시키는 설비
1️⃣종류
1)납축전지
- 납축전지의 양극판은 이산화납(PbO₂)을 사용하며 가득 충전한 전지의 양극판은 적갈색이다. 음극판은 스펀지나 해면처럼 공극이 많은 납을 사용하는데, 빛깔은 납 그대로 회색이다. 용액은 물에 황산을 희석한 것
2)니켈- 수소전지
- 니켈수소전지는 충전과 방전을 반복할 수 있는 이차전지로, 양극 활물질은 니켈산화물, 음극 활물질은 수소저장합금인 금속수소산화물, 전해액은 수산화칼륨을 주성분으로 하는 알칼리수용액을 사용한 전지
3)리튬이온전지
- LIB이차전지의 한종류로서, 리튬이온이 분리막과 전해질을 통하는 양극(리튬산화물 전극)과 음극(탄소계전극)사이를 이동하며 에너지를 저장하는 장치
- 출력특성과 효율이 좋으나[kW]당 단가가 높아 주파수 조절(Hz)과 같은 단기저장방식에 유리
4)레독스 플로 전지
- 전해질 내 이온의 전기화학적 산화/환원 전위차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전
5)나트륨-유황전지
- NaS전지(나트륨황 전지)음극에 나트륨금속을, 양극에 황 등 나트륨과 반응하여 화합물을 형성하는 물질을 사용하는 전지
- 나트륨이온전도가 가능한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로 단위전지의 용량을 크게 만들수 있어 대용량 전지구성에 유리하며 나트륨과 황 등 가격이 저렴한 재료를 사용하여 경제성이 우수
2️⃣종류
종류 | 장점 | 단점 | 비교 |
---|---|---|---|
납축전지 | 저럼함 모듈화 가능 | 저에너지 밀도 짧은 수명 납사용 규제 가능성 | 기술안정성 가장보편적 |
니켈-수소전지 | 고출력 밀도 | 저에너지 밀도 짧은 수명 | HEV 적용 |
리튬전지 | 고에너지 밀도 고전압 | 고가 저출력 밀도 보호회로 필요 | 대용량 추진 중 긴 수명화 추진 중 |
레독스 플로전지 | 대형화 가능 용량증설 유리 상온작동 초기 비용 낮음 | 저에너지 밀도 | 용량제한 없음 |
나트륨-유황전지 | 고출력 밀도 고효율 | 고온작동형 고가 부가장치 필요 | 운전단가 높음 대용량 모듈화 |
신개념에너지(MN)
G 스마트 그리드
M 마이크로 그리드
R 전기자동차 전원공급설비
V V2G
J 전력저장장치
E ESS의 제어기술
D 이차전지를 이용한 전기저장장치의 시설
F ESS의 안전강화
T 리튬이온 축전지
S SMES(초전도 에너지 저장장치)
C 초고용량 커패시터
B 이차전지
A 압축공기 에너지 저장장치(CAES)
N 분산형 전원
L 분산형 전원 배전계통 연계기술
목차(이차전지 MNB)
이차전지
신개념에너지(MN)
G 스마트 그리드
M 마이크로 그리드
R 전기자동차 전원공급설비
V V2G
J 전력저장장치
E ESS의 제어기술
D 이차전지를 이용한 전기저장장치의 시설
F ESS의 안전강화
T 리튬이온 축전지
S SMES(초전도 에너지 저장장치)
C 초고용량 커패시터
B 이차전지
A 압축공기 에너지 저장장치(CAES)
N 분산형 전원
L 분산형 전원 배전계통 연계기술
목차(이차전지 MNB)
이차전지
🌐V1020Z24 / MNB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