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개념에너지(MN)
G 스마트 그리드
M 마이크로 그리드
R 전기자동차 전원공급설비
V V2G
J 전력저장장치
E ESS의 제어기술
D 이차전지를 이용한 전기저장장치의 시설
F ESS의 안전강화
T 리튬이온 축전지
S SMES(초전도 에너지 저장장치)
C 초고용량 커패시터
B 이차전지
A 압축공기 에너지 저장장치(CAES)
N 분산형 전원
L 분산형 전원 배전계통 연계기술
모범답안(전기저장시설 MND)
전기저장시설
- KEC510 전기저장장치
1️⃣전기저장장치 일반요건
1)충전부분은 노출되지 않도록 시설
- 감전에 대한 기본 보호를 한다
- 기본절연, 이중절연, 격벽 또는 외함을 설치한다
2)접지공사
- 금속제 외함, 지지대는 접지공사를 한다
3)이차전지 시설장소
- 폭발성 가스 축적 방지를 위해 환기시설 및 적정한 온도 습도를 유지한다.
4)보수점검
- 최소작업 공간을 60[㎝]이상확보한다
- 전압 120[V]이상은 배터리 터미널 커버를 설치한다
- 노출된 충전부 사이는 최소 1.5[m]이상 공간 확보를 한다
- 조명시설 : 수동제어가 가능하도록 시설한다
5)이차전지 지지물은 부식방지
- 부식성 가스, 용액으로부터 이차전지 지지물의 부식을 방지한다
6)안전한 구조
- 적재하중, 지진, 진동, 충격 등을 고려하여 구조를 결정한다
- 앵커볼트 등을 이용하여 견고히 접속한다
7)침수의 우려가 없는 곳에 시설
2️⃣제어 및 보호장치
(전기저장 장치를 계통에 연결하는 경우)
1)이상 시 자동적으로 계통과 분리
- 분산형 전원의 이상 또는 고장 시 계통과 분리한다
- 연계할 전력계통의 이상 또는 고장 시 계통과 분리한다
- 단독운전 상태 시 계통과 분리한다

2)전기저장장치가 비상용 예비전원 용도를 겸하는 경우
- 비상용부하에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3)접속점에 개폐기를 시설
-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시설하여야 한다
4)전원 차단장치 시설
- 과전압, 과전류 발생 시 전원을 차단한다
- 제어장치 이상 시 전원을 차단한다
- 이차전지 내부 온도 상승 시 전원을 차단한다.
5)직류차단기 설치
- 직류 단락전류를 차단하는 능력을 가진 것을 설치 시 “직류용” 표시를 한다
- 직류전로 지락 시 자동차단 장치를 시설한다
3️⃣계측장치
1)계측장치시설
- 이차전지 : 출력단자 전압, 전류, 전력, 충방전 상태
- 주요변압기 전압, 전류,전력
2)경보장치 시설
- 발변전소 또는 이에 준하는 장소에서 전로가 차단 시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경보장치를 시설해야 한다.
신개념에너지(MN)
G 스마트 그리드
M 마이크로 그리드
R 전기자동차 전원공급설비
V V2G
J 전력저장장치
E ESS의 제어기술
D 이차전지를 이용한 전기저장장치의 시설
F ESS의 안전강화
T 리튬이온 축전지
S SMES(초전도 에너지 저장장치)
C 초고용량 커패시터
B 이차전지
A 압축공기 에너지 저장장치(CAES)
N 분산형 전원
L 분산형 전원 배전계통 연계기술
모범답안(전기저장시설 MND)
전기저장시설
🌐V1020Z24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