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지방법결정 (EM)
(목적에따른)
중성점 접지방법
유효접지와 비유효접지
배전계통의 접지(IEC 60364-3 )
PEN, PEM, PEL
(형태에따른)
단독접지와 공용접지
구조체 접지설계 시 검토사항
통합 공통접지방식
등전위 본딩
접지선 접지봉
서지 침입시 접지극의 과도현상과 대책
목차(구조체 접지설계 시 검토사항 EMS)
구조체 접지설계 시 검토사항
1️⃣접지 형태(접지전극)의 분류
1)인공접지
- 봉형 접지전극의 병렬 배치
- 망상 접지전극 등 다른 종류의 접지전극을 조합하여 사용
2)자연접지
- 건출물 구조체 및 금속제 수도관 등을 이용하여 대지에 매설된 도전성 물체를 접지전극으로 대용한 것
2️⃣건축물 구조체 접지방식
1)정의
- 별도의 접지전극을 설치하지 않고 건출물 구조체의 일부인 철골, 철근을 접지전극으로 이용하는 설비
2)조건
- 구조체는 반드시 도전성일 것
- 요구되는 접지저항값 이하일 것
3)종류

- 철골, 도전성 기초 말뚝이 대지에 매입된 경우
- 철골, 철근이 콘크리트에 매입된 경우
4)콘크리트 전기저항률 영향인자
- 시멘트, 모래 자갈의 배합
- 흡수율
- 수질
- 주위환경
- 온도, 습도, 계절적 변동
5)건축물 구조체 전기적 특성

- 낙뢰가 건축물의 구조체에 입사한 경우 : 뇌격전류는 구조체를 통하여 대지로 흐름
- 구조체의 접지저항이 작으면 전위 상승도 낮아져 전위 상승의 파급이 없음
- 구조체 접지는 인공 접지에 비해 접지저항값이 대단히 낮음
- 대지와의 접촉면적이 넓으므로 접지 임피던스도 낮은 고주파 영역에서도 양호한 전기적 특성을 가짐
- 도심지나 산간지역의 면적이 제한되어 있는 장소에서는 구조체 접지전극 활용이 바람직
6)건축물 구조체 접지저항 계산방법
- 등가표면적 치환법

- 등가 체적 치환법
- 건축물의 지하구조를 반구형 접지극으로 간주하여 구하는 방식
- 반구의 체적
- 형상계수법
- 건축물의 지하구조의 형상계수를 이용하는 방법
건축물 지하구조의 저항은
- 건축물의 지하구조의 형상계수를 이용하는 방법
L:지하구조의 가로, 세로, 깊이 중 가장 긴 변[m]
K:형상계수로서 깊이와 세로 비,
가로와 세로 비 등에 따라 결정되는 값
(0.15~0.45정도의 값)
- 결론
- 콘크리트에 매입된 기초접지극을 통한 접지저항 계산 시 간편한 계산법인 등가체적법을 주로 사용
- 등가치환법에 의한 접지저항의 계산이 다른 계산방법에 비하여 다소 낮게 계산되므로 이를 고려
3️⃣건축물 구조체 문제점
- 대규모 구조체의 접지저항 측정이 곤란
- 도심지에서 접지저항 실측이 불가능
- 기초공사 전 접지공사로 공사 완료 후 저항값 측정 곤란
- 대규모 접지저항 측정은 전위강하법 채용
- 저항값이 작아 외부 영향을 받기 쉬우며 오차 발생 확률 높음
- 이론적 추정값과 접지저항 추정값이 상당한 차이 발생
접지방법결정 (EM)
(목적에따른)
중성점 접지방법
유효접지와 비유효접지
배전계통의 접지(IEC 60364-3 )
PEN, PEM, PEL
(형태에따른)
단독접지와 공용접지
구조체 접지설계 시 검토사항
통합 공통접지방식
등전위 본딩
접지선 접지봉
서지 침입시 접지극의 과도현상과 대책
목차(구조체 접지설계 시 검토사항)
구조체 접지설계 시 검토사항
💯기출문제
○S34.기초접지극과 자연 접지전극(또는 구조체 이용 접지극)을 설명하시오
모범답안(구조체접지 EMS34)
기초접지극
건축물의 기초에 설치되는 접지극을 의미합니다. 건물의 철근이나 철골 구조물을 활용하여 접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
- 장점:
- 견고한 구조: 건물의 기초에 설치되어 안정적이며, 외부 환경 변화에 강함
- 넓은 접촉면: 건물의 철근이나 철골 구조물 전체가 접지면으로 작용하여 넓은 접촉면을 확보할 수 있음
- 시공 편의성: 건물을 건설하는 과정에서 함께 시공하기 때문에 별도의 시공이 필요하지 않음
- 단점:
- 접지 저항 변화 가능성: 콘크리트의 균열이나 철근의 부식 등으로 인해 접지 저항이 변화할 수 있음
- 확장성 부족: 건물이 완공된 후 접지 시스템을 확장하기 어려움
자연 접지전극 (구조체 이용 접지극)
건물의 철근, 철골, 수도관, 가스관 등과 같이 자연적으로 땅속에 매설되어 있는 도전성 물체를 접지극으로 활용하는 것을 의미
- 장점:
- 경제적: 별도의 접지극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
- 넓은 면적: 건물 구조체 전체를 활용하기 때문에 넓은 접지 면적을 확보할 수 있음
- 단점:
- 접지 저항 변화 가능성: 부식, 침식 등으로 인해 접지 저항이 변화할 수 있음
- 다른 시설과의 연계: 수도관이나 가스관 등 다른 시설과 연결되어 있어 간섭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접지 저항 예측 난이도: 매설 깊이, 토양 상태 등에 따라 접지 저항을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다
두 가지 접지극의 비교
항목 | 기초접지극 | 자연 접지전극 |
---|---|---|
장점 | 견고한 구조, 넓은 접촉면, 시공 편의성 | 경제적, 넓은 면적 |
단점 | 접지 저항 변화 가능성, 확장성 부족 | 접지 저항 변화 가능성, 다른 시설과의 연계, 접지 저항 예측 난이도 |
○S39 접지설계 시 적용되는 기초접지극과 자연접지극을 설명하시오 ❯H34
모범답안(구조체접지 EMS34)
기초접지극
건축물의 기초에 설치되는 접지극을 의미합니다. 건물의 철근이나 철골 구조물을 활용하여 접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
- 장점:
- 견고한 구조: 건물의 기초에 설치되어 안정적이며, 외부 환경 변화에 강함
- 넓은 접촉면: 건물의 철근이나 철골 구조물 전체가 접지면으로 작용하여 넓은 접촉면을 확보할 수 있음
- 시공 편의성: 건물을 건설하는 과정에서 함께 시공하기 때문에 별도의 시공이 필요하지 않음
- 단점:
- 접지 저항 변화 가능성: 콘크리트의 균열이나 철근의 부식 등으로 인해 접지 저항이 변화할 수 있음
- 확장성 부족: 건물이 완공된 후 접지 시스템을 확장하기 어려움
자연 접지전극 (구조체 이용 접지극)
건물의 철근, 철골, 수도관, 가스관 등과 같이 자연적으로 땅속에 매설되어 있는 도전성 물체를 접지극으로 활용하는 것을 의미
- 장점:
- 경제적: 별도의 접지극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
- 넓은 면적: 건물 구조체 전체를 활용하기 때문에 넓은 접지 면적을 확보할 수 있음
- 단점:
- 접지 저항 변화 가능성: 부식, 침식 등으로 인해 접지 저항이 변화할 수 있음
- 다른 시설과의 연계: 수도관이나 가스관 등 다른 시설과 연결되어 있어 간섭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접지 저항 예측 난이도: 매설 깊이, 토양 상태 등에 따라 접지 저항을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다
두 가지 접지극의 비교
항목 | 기초접지극 | 자연 접지전극 |
---|---|---|
장점 | 견고한 구조, 넓은 접촉면, 시공 편의성 | 경제적, 넓은 면적 |
단점 | 접지 저항 변화 가능성, 확장성 부족 | 접지 저항 변화 가능성, 다른 시설과의 연계, 접지 저항 예측 난이도 |
접지방법결정 (EM)
(목적에따른)
중성점 접지방법
유효접지와 비유효접지
배전계통의 접지(IEC 60364-3 )
PEN, PEM, PEL
(형태에따른)
단독접지와 공용접지
구조체 접지설계 시 검토사항
통합 공통접지방식
등전위 본딩
접지선 접지봉
서지 침입시 접지극의 과도현상과 대책
목차(구조체 접지설계 시 검토사항)
구조체 접지설계 시 검토사항
🌐V0928B242 / EMS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