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4

  • 도로조명

    도로조명

    제공

    ,

    1️⃣도로조명 2️⃣도로조명 설계 조건 3️⃣도로조명 설계 1)소요조도 결정 2)광원의 선정 3)조명기구의 선정 및 종류 4)조명기구의 배치방법 5)조명률의 선정 6)보수율 결정 7)도로조명의 계산 4️⃣도로조명 설계 시 고려사항

  • CD 조명 실제

    제공

    ,

    J 부하설비 ★조명 실제 💯기출문제 ●S01 학교조명 설계방법에 대하여 쓰시오. 1)조도2)광원3)조명기구 배열 및 배치4)눈부심 원인 및 대책 ●E02 건축물의 경관조명에 대하여 설계 시 고려사항을 설명하시오 ●M03 주상복합 건축물의 조명설계시 고려사항을 설명하시오 ●R04 도로터널 조명설계의 경우 경계부 노면기준 조도의 결정요소인 적용 야외 휘도의 추정 방법과 야외휘도의 변화에 따른 조명제어를 고려한 설계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E05 경관조명과 관련하여…

  • KEC500(통칙)

    제공

    501 통칙 501.1 목적 이 규정(5. 분산형전원설비)은 전기설비기술기준(이하 “기술기준”이라한다)에서 정하는 분산형전원설비의 안전성능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적 사항을 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501.2 적용범위 1.이 규정(5. 분산형전원설비)은 기술기준에서 정한 안전성능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현 수단을 규정한 것으로 분산형전원설비의 설계, 제작, 시설 및 검사하는데 적용한다. 2.이 규정(5. 분산형전원설비)에서 정하지 않은 사항은 관련 한국전기설비규정을 준용하여 시설하여야 한다. 501.3 안전원칙 1.분산형전원설비…

  • KEC332(가공전선로)

    제공

    332 가공전선로 332.1️⃣ 가공약전류전선로의 유도장해 방지 1.저압 가공전선로(전기철도용 급전선로는 제외한다.) 또는 고압 가공전선로(전기철도용 급전선로는 제외한다)와 기설 가공약전류전선로가 병행하는 경우에는 유도작용에 의하여 통신상의 장해가 생기지 않도록 전선과 기설 약전류전선간의 이격거리는 2m 이상이어야 한다. 다만, 저압 또는 고압의 가공전선이 케이블인 경우 또는 가공약전류전선로 관리자의 승낙을 받은 경우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2.제1에 따라 시설하더라도 기설 가공약전류전선로에 장해를 줄 우려가…

  • KEC334(지중전선로)

    제공

    334 지중전선로 334.1️⃣ 지중전선로의 시설 1.지중 전선로는 전선에 케이블을 사용하고 또한 관로식·암거식(暗渠式) 또는 직접 매설식에 의하여 시설하여야 한다. 2.지중 전선로를 관로식 또는 암거식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에는 다음에 따라야 한다. 3.지중 전선을 냉각하기 위하여 케이블을 넣은 관내에 물을 순환시키는 경우에는 지중 전선로는 순환수 압력에 견디고 또한 물이 새지 아니하도록 시설하여야 한다. 4.지중 전선로를 직접 매설식에 의하여…

  • KEC330(전선로)

    제공

    330 전선로 331 전선로 일반 및 구내.옥측.옥상전선로 331.1️⃣ 전파장해의 방지 331.2️⃣ 가공전선 및 지지물의 시설 331.3️⃣ 가공전선의 분기 가공전선의 분기는 332.2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 또는 분기점에서 전선에 장력이 가하여지지 않도록 시설하는 경우 이외에는 그 전선의 지지점에서 하여야 한다. 331.4️⃣ 가공전선로 지지물의 철탑오름 및 전주오름 방지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취급자가 오르고 내리는데 사용하는 발판 볼트 등을 지표상…

  • KEC310(안전)

    제공

    311 안전보호 311.1️⃣ 절연수준의 선정 절연수준은 기기최고전압 또는 충격내전압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311.2️⃣ 직접 접촉에 대한 보호 311.3️⃣ 간접 접촉에 대한 보호 전기설비의 노출도전성 부분은 고장시 충전으로 인한 인축의 감전을 방지하여야 하며, 그 보호방법은 320을 따른다. 311.4️⃣ 아크고장에 대한 보호 전기설비는 운전 중에 발생되는 아크고장으로부터 운전자가 보호될 수 있도록 시설해 야 한다. 311.5️⃣ 직격뢰에 대한…

  • KEC300(고압)

    제공

    300 통칙 301️⃣ 적용범위 302️⃣ 기본원칙 302.1 일반사항 설비 및 기기는 그 설치장소에서 예상되는 전기적, 기계적, 환경적인 영향에 견디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302.2 전기적 요구사항 1.중성점 접지방법 중성점 접지방식의 선정시 다음을 고려하여야 한다 2.전압 등급 사용자는 계통 공칭전압 및 최대운전전압을 결정하여야 한다. 3.정상 운전 전류 설비의 모든 부분은 정의된 운전조건에서의 전류를 견딜 수 있어야 한다.…

  • 고압 비상발전기

    제공

    ,

    비상발전기는 부하의 전압, 전력손실, 용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발전기의 전압을 선정 1️⃣고압 발전기 설치기준 2️⃣저압, 고압 발전기의 비교 구분 저압발전기 고압발전기 장점 별도의 변압기 필요없음초기 설치비가 저렴유지보수가 용이소용량 근거리 배선에 적합 원거리면 전류가 작으므로 전력손실이 적다대용량 원거리 배선에 적합 단점 원거리이면 손실이 크다용량이 크면 전선이 굵어 배선비가 많다 별도의 변압기 필요초기 설치비가 비싸다유지보수가 어렵다고압 차단기를…

  • KEC340(기계)

    제공

    341 기계 및 기구 341.1️⃣ 특고압용 변압기의 시설 장소 특고압용 변압기는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에 시설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의 변압기는 각각의 규정에 따라 필요한 장소에 시설할 수 있다. 341.2️⃣ 특고압 배전용 변압기의 시설 특고압 전선로 333.32의 1과 4에서 규정하는 특고압 가공전선로를 제외한다)에 접속하는 배전용 변압기(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에 시설하는 것을 제외한다. 이하 같다)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