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
피뢰 손상 및 위험 대책
1️⃣KS C IEC 62305 5)구조물과 인축에 대한 물리적 손상 대책 2️⃣구조물의 물리적 손상 및 인명위험대 3️⃣보호등급 KEC151.3 4️⃣수뢰부 시스템 KEC152.1 1)정의 2)배치 3)보호각법 3)회전구체법 4)메시법 5)보호범위 6)측뢰보호 7)수뢰부로 간주할 수 있는 건축부재 5️⃣인하도선 KEC152.2 1)인하도선 설치 목적 2)구성방식 2)인하도선 시설 3)이격거리 4)인하도선, 수뢰도체, 피뢰침으로 간주하는 건축부재 5)시험단자 설치 3)고려사항 6)도체설치간격 6️⃣접지극시스템 KEC152.3 1)접지 시스템 2)접지극…
-
구조물의 손상과 손실유형
❗구조물의 손상과 손실 유형 1)뇌격점에 따른 구조물의 손상과 손실 2)뇌격점의 위치 3)뇌격에 의한 손상의 유형 4)손상의 결과로 나타날 수 있는 손실의 유형 ❗구조물의 손상유형 1)구조물 직격뢰 2)구조물 근처 뇌격 3)인입설비 직격뢰 4)인입설비 근처 뇌격 ❗보호대책 1)감전에 의한 인축 상해 줄이는 보호 대책 2)뇌전류의 영향에 의한 물리적 손상 보호 대책 3)LEMP로 인한 내부 시스템의 고장 보호…
-
전기화재의 원인과 대책
1️⃣전기화재 1)줄열에 의한 발화 2)스파크에 의한 발화 3)발열기구에 의한 발화 2️⃣전기화재 발생원인 1)과전류에 의한 발화 2)단락에 의한 발화 3)지락에 의한 발화 4)누전에 의한 발화 5)접속부 과열에 의한 발화 6)스파크에 의한 발화 7)절연열화 또는 탄화에 의한 발화 8)열적 경과에 의한 발화 9)정전기에 의한 발화 10)낙뢰에 의한 발화 3️⃣방지대책 1)설계시 2)시공시 3)유지보수 시
-
케이블 화재 및 대책
1️⃣케이블 화재 및 대책 2️⃣케이블의 연소 특성 3️⃣케이블 화재원인 1)줄열에 의한 케이블 자체 발화 2)외부에 의한 발화 4️⃣케이블 화재 방지 대책 1)케이블 보호기기의 설계 적정화 2)고난연 케이블 3)케이블 관통부 방화방법 4)기설 케이블 난연화 처리 5)케이블 선로의 화재 감지 6)케이블의 점검 및 보수 7)화재의 조기발견, 초기 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