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Z

  • 분산형전원 배전계통 연계

    제공

    , ,

    1️⃣분산형전원 연계 1)연계점 2)접속설비 3)접속점(책임한계점) 4)공통 연결점 5)분산형전원 연결점 2️⃣연계조건 1)저압 선로 저압일반선로 분산형전원의 연계용량이 배전용 변압기 용량의25%이하 간소검토 전압 일반선로 누적연계용량이 해당변압기용량의 25%이하 연계용량평가 저압 일반선로 누적연게용량이 해당 변압기 용량의 25%초과 저압전용선로 – 분산형전원의 연계용량이 배전용변압기 용량의 25%초과– 기술요건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2)특고압 선로 한전게통변전소 주변압기의 분산형전원 연계 가능 용량으 여유가 있는 경우 특고압일반선로…

  • 분산형전원

    제공

    ,

    1️⃣개요 1)정의 2)목적 3)관련법규 4)분산형전원의 필요성 2️⃣분산형전원의 종류 1)분산형전원의 종류 2)계통연계방식의 구분 구분 종류 연계방식 계통연계형, 독립운전형 운전의 주체 발전 사업자, 비발전 사업자 역조류 허용, 비허용 3️⃣특징 1)대규모 전원의 보완 2)전력수요처 인근 배치 3)피크 전력시간대 발전 4)신재생에너지 활용 6️⃣분산형전원의 장점 6️⃣분산형전원의 단점 1)분산전원이 배전전압에 미치는 영향 2)전력손실과 분산전원의 위치 3)고조파의 증대 4)단락용량의 증대 4️⃣분산형전원계통 연계설비…

  • 압축공기 에너지 저장장치

    제공

    ,

    MNA ❓개요 1️⃣분류 1)저장시설별 2)저장방식별 구분 정압식 변압식 기밀성 지하수 및 암반의 기밀성에 의존 콘크리트 및 특수시트 등에 의한 라이닝 필요 공동용적 지하 공동 내에 저장된 공기는 전량 사용이 가능하므로 변압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음 저압 최대 공기압과 최소 공기압의 차에의해 용적이 결정되므로 상대적으로 큼 시공성(심도) 저장 공기압과 동일한 지하수압을 확보하기 위하여 대심도에 공동을 건설할 필요가…

  • 초고용량 커패시터

    제공

    ,

    ❗초고용량 커패시터란 무엇일까요? ESS에서 초고용량 커패시터의 역할 에너지저장장치(ESS)는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여 필요할 때 사용하는 시스템입니다. 이러한 ESS 시스템에서 초고용량 커패시터는 다음과 같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1️⃣구성 및 원리 2️⃣종류 활성탄소 금속산화물 전도성고분자 종류 활성탄카본에어로젤CNT RuO2,Ni(OH)2MnO2,PbO2 Poly-(aromatics)Supramolecules 전해질 수용성 : 1 수용성 수용성 : 1 작동전압 1~3/0.8~5 1~2 비수용성 : 3 비에너지 비수용성 : 3 0.8~2…

  • 리튬이온 축전지

    제공

    ,

    리튬이온 축전지 1️⃣리튬이온 축전지의 구조 2️⃣리튬이온축전지의 충,방전 메커니즘 1)충전 양극으로부터 리튬이 Undoping되고, 음극의 탄소층간에 리튬이 Doping된다 첫충전 : 충전 시: 2)방전 음극의 탄소층간으로부터 리튬이 Undoping되고, 양극 층간에 리튬이 Doping된다. 방전시 : 3️⃣리튬이온 축전지의 특징 4️⃣리튬이온 축전지의 특성 1)충전특성 2)방전특성 3)방전온도특성 5️⃣자기방전특성 1)리튬이온축전지의 제조 2)리튬이온축전지의 안전기구 3)보호회로 4)조전지 위험성 1)열적위험 2)과충전에 의한 위험 3)과방전에 의한 위험…

  • ESS의 안전강화

    제공

    ,

    ❗적용대상 1️⃣일반인이 출입하는 건물과 분리된 별도의 장소 2️⃣에너지저장장치를 일반인이 출입하는 건물의 부속공간에 시설하는경우 💯기출문제 ●H36.에너지저장장치의 화재원인과 방지대책을 설명하시오 ●F49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에서 정하는 ESS의 안전강화를 위한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F50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서 정의하는 이차전지를 이용한 전기저장장치의 제어 및 보호장치 시설기준을 설명하시오 🌐V1020Z24 / MNF

  • 이차전지를 이용한 전기저장장치의 시설

    제공

    ,

    MND 1️⃣전기저장장치 일반요건 1)충전부분은 노출되지 않도록 시설 2)접지공사 3)이차전지 시설장소 4)보수점검 5)이차전지 지지물은 부식방지 6)안전한 구조 7)침수의 우려가 없는 곳에 시설 2️⃣제어 및 보호장치 (전기저장 장치를 계통에 연결하는 경우) 1)이상 시 자동적으로 계통과 분리 2)전기저장장치가 비상용 예비전원 용도를 겸하는 경우 3)접속점에 개폐기를 시설 4)전원 차단장치 시설 5)직류차단기 설치 3️⃣계측장치 1)계측장치시설 2)경보장치 시설 🌐V1020Z24

  • ESS의 제어기술

    제공

    ,

    ❗ESS의 구성 1️⃣ESS의 구성별 특징 1)Battery 2)BMS 3)PCS 4)EMS 5)PMS 💯기출문제 ●E47전기사업용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사용전 검사시 수검자의 사전제출 자료 및 사용 전 검사항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V1102Z24 / MNE

  • 전력저장장치

    제공

    ,

    ❗전력저장장치 1️⃣전력저장장치 필요성 구비조건 1)전력장치의 필요성 2)구비조건 2️⃣구성 3️⃣분류(종류) 1)에너지 저장 형태에 따른 분류 2)종류 종류 장점 단점 비고 납축전지 저렴하다모듈화 가능 저 에너지 밀도짧은 수명납사용규제 가능성 기숭안정성,가장 보편적 니켈수소전지 고출력 밀도 저에너지밀도짧은 수명 HEV적용 리튬전지 고에너지 밀토고전압 고가저출력 밀도보호회로 필요 대용량, 긴 수명화 추진중 레독스 플로전지 대형화 가능용량증설 유리상온작동초기비용낮음 저에너지 밀도 용량제한 없음(15[MW]보급완료) 나트륨-유황…

  • 스마트그리드

    제공

    ,

    ❗개요 1️⃣스마트 그리드의 목적 1)전력공급 측면 2)전력수요 측면 2️⃣스마트 그리드의 구성 1)계층 구조 2)한국형 스마트 그리드 구성요소 3️⃣기존 전력망과 스마트 그리드의 비교 구분 기존 전력망 스마트 그리드 전원공급방식 중앙전원 분산전원 구조 방사형 구조 네트워크 구조 통신방식 단방향 양방향 기술기반 아날로그/전자식 디지털 점검/사고 복구 수동 원격/자기치유 제어시스템 지역적 제어 광범위한 제어 고객 서비스 제한적 다양한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