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열교환기

제공

🔯E 열교환기

📃

👍E 열교환기의 성능저하요인

E1 열교환기의 성능
  • 온도차감소
  • 유체의 느린이동
  • 병류 방향의 유체흐름
  • 낮은 열전도율의 재료사용
  • 작은 전열면적
  • 이물질 스케일 응축수 존재

  • 두 유체의 온도차를 크게 한다
  • 유체의 유속을 빠르게 한다
  • 유체의 흐름방향을 향류로 한다
  • 열전도율이 높은 재료를 사용한다
  • 전열면적을 크게 한다
  • 이물질 스케일을 제거한다

👍E1 판형열교환기(고조청압)

19C02 22B06

19C02►판형 열교환기의 장점 3가지를 쓰시오.

E1 판형열교환기(고조청압)
  • 고난류 유동에 의한 열교환기 능력을 향상시킨다
  • 판의 매수조절이 가능하여 전열면적증감이 용이하다
  • 전열면의 청소나 조립이 간단하고, 고점도 유체에도 적용가능하다
  • 높은 사용압력과 내식성, 내구성이 우수하다

👍E2 쉘 앤 튜브식 열교환기

20B09►쉘 앤 튜브식 열교환기에 사용되는 스파이럴 튜브의장점 2가지를쓰시오.

E2 쉘 앤 튜브식 열교환기
  • 튜브 전열면적이 증가된다.
  • 유체의 흐름이 난류가 되어 전열효과가 우수하다

👍 노후 열화된 보일러 튜브 교체 시기 1002  14C

E2 보일러튜브
  • 심하게과열되거나 튜브가 소손된경우
  • 스케일 생성이 많이 되었을때
  • 배기가스 온도 상승이 급격히 증가할 때
  • 열효율이 낮아질 경우

1504

E2 스케일 생성방지 대책
  • 급수중의 염류 불순물을 되도록 제거한다
  • 보일러 수의 농축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절히 분출시킨다
  • 보일러 수에 약품을 넣어 스케일 성분이 고착하지 않도록 한다
  • 수질분석을 하여 급수 한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열교환기전열량

$$ Q_1=mC\Delta t $$

👍E3 대수온도차

응용22C1821B0924A13
기본16C1420C1817A1521A11
24b0222d13

16C14►대향류식 공기예열기에 240[℃] 의 배기가스가 들어가서 160[℃]로 나오고, 연소용 공기는 20[℃] 로 들어가서 90[℃]로 나올때 이 공기예열기의 대수 평균온도차[℃]를 계산하시오.

22C18대향류 열교환기에서 냉각수를 0.8[kg/s]로 순환시켜 고온유체를 80[℃]에서 50[℃]로 냉각시키고 냉각수는 20[℃]로 유입되어 열교환 후 40[℃]로 상승될 때 열교환기 전열면적[㎡]을 구하시오

21B09안지름 10[cm]인 원형관에 물이 속도 2[m/s], 20[°C]로 유입되어 80[°C]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곳과 열교환하여 최종적으로 40[°C]로 나올 때 [보기]의 조건을 참고하여 열 교환용 배관 길이[m]를 계산하시오.

E3 대수온도차

\[\Delta t_m=\frac{\Delta t_1-\Delta t_2}{\ln(\frac{\Delta t_1}{\Delta t_2})} \]

👍E 원통보일러 동판의 최소두께

22C16►동체의 안지름이 2,500[㎜], 최고사용압력이 1.5[MPa]인 원통보일러 동판의 최소두께[㎜]를 구하시오. (단, 강판의 인장강도 450[N/㎟] 안전율 4.5, 용접부의 이음효율 0.71, 부식여부는 2[㎜], 동체의 증기온도에 대응하는 값(k)은 무시한다)

E 원통보일러 동판의 최소두께

$$ t=\frac{PD}{2\times \sigma_a\times\eta-2P(1-k)}+\alpha $$

P재료의 허용인장응력
D최고사용압력 동체에 증기온도에 대응하는 값 동체의 지름

👍E 수압시험압력

22A10  19a04

  • 0.43[MPa]이하 : 2배
  • 1.5[MPa]이하 : 1.3배+0.3
  • 1.5[MPa]초과 : 1.5배

👍E 스테인리스강

22A 

(1) STS304 오스테나이트계 (2) STS410 마텐자이트계 (3) STS430 페라이트계

👍 열정산 📃

1902►보일러 열정산시 열손실(출열)에 해당하는 것 3가지를 쓰시오.

열정산

입열항목

  • 공기의 현열
  • 급수의 현열
  • 연료의 현열
  • 연료의 연소열

출열항목

의 현열

배기가스 보유 열량 

불완전연소에 의한 열 손실 

노벽의 흡수 열량 

증기의 보유 열량 

미연분에 의한 열 손실 

👍E9 리벳이음

16B1318c1422B0122A1523A09

22A15강판 두께가 25[㎜]이고, 리벳의 지름이 50[㎜]이며, 피치 80[㎜]로 한줄 겹치기 리벳 조인트에서 한 피치마다 하중이 1500[kgf] 작용하면 이 강판에 생기는 인장응력 [Kgf/㎜²]과 리벳이음 효율[%]을 구하시오.

E9 리벳이음

인장응력계산

\[ \sigma_t=\frac{W}{t\times(P-d)} \]
\[ \eta=(1-\frac{d}{P})\times 100 \]

P : 리벳의피치, d : 리벳의지름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