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차관제설비
주차관제설비1
주차관제설비2
주차관제 RFID시스템
주차관제 영상센서 방식
주차관제 초음파 센서
재차관리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주차관제 및 주차 유도설비시스템의 차량검지방식 중 초음파센서방식과 영상센서방식에 대하여 동작원리 및 장잔덤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인력절감을 위한 주차관제 설비
주차관제의 구성요소와 설계 시 고려사항
주차관제설비의 신호제어장치와 차체 검지기를 각각 분류하고 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36-31 주차 관제 설비에 대하여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1)차량 검출 시스템에서 루프 코일 방식의 장단점
2)주차 관제 설비의 배선 설계
주차 관제 설비의 차량 검출 시스템과 배선 설계에 대해 설명합니다.
1. 차량 검출 시스템: 루프 코일 방식의 장단점
구분 | 내용 |
---|---|
장점 | |
– 높은 신뢰성: 기상 악화(비, 눈) 시에도 검지 성능 유지 | |
– 비용 효율성: 초기 설치비용이 초음파·광전식 대비 30~50% 저렴 | |
– 차종 식별 가능: 차량 바닥 구조에 따른 고유 인덕턴스 변화를 활용한 차종 판별 | |
단점 | |
– 시공 복잡성: 도로 포장 재시공 필요(매설 깊이 3~5cm) | |
– 유지보수 어려움: 단선·누전 발생 시 보수 시공이 까다로움 | |
– 차고 높이 영향: 차고가 높은 대형차량은 검지 감도 저하 |
2. 주차 관제 설비의 배선 설계 고려사항
2.1 주요 기준
- 전선 규격: 클로로프렌 캡타이어 케이블(제2종) 사용
- 배관 방식: 금속 전선관(EMT) 적용 및 방수 처리
- 접지 요구: 제3종 접지(10Ω 이하) 필수
2.2 핵심 원칙
항목 | 세부 사항 |
---|---|
신호 간섭 방지 | – 전력선과 신호선 분리 배치(최소 30cm 이격) |
내환경성 | – 실외 배선 시 UV 차단 재질·방수 커넥터 사용 |
전압강하 관리 | – 24V DC 제어회로 사용 시 선로 길이 50m 이내 권장 |
차단기 용량 | – 부하 전류의 125% 이상 선정(KEC 380.3 준용) |
2.3 특수 구간 설계
- 루프 코일 연결:
- 리드 선로 길이 6~20m 이내 유지
-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사용으로 노이즈 억제
- 감시 카메라:
- POE(Power Over Ethernet) 방식 채택 시 전원·데이터 통합 배선
3. 설치 사례별 주의사항
- 지하 주차장: 절연저항 1MΩ 이상 유지(습기 환경 대비)
- 노외 주차장: 루프 코일 주변 1.5m 이내 금속물체 배제
이 기준들은 KS C IEC 60364(건축전기설비) 및 **KEC 61020(배선)**을 준수하며, 신뢰성과 안전성을 확보합니다.
🌐V1003Z24 / EC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