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지방법결정 (EM)
(목적에따른)
N 중성점 접지방법
R 유효접지와 비유효접지
B 배전계통의 접지(IEC 60364-3 )
(형태에따른)
O 단독접지와 공용접지
S 구조체 접지설계 시 검토사항
T 통합 공통접지방식
E 등전위 본딩
G 접지선 접지봉
T 접촉전압과 보폭전압
목차(KEC203 EMB)
접지방식IEC 60364-3
1️⃣문자의 의미
1)첫 번째 문자
- 전력계통과 대지의 관계 → 계통측접지
- T(Terra): 대지와 직접 연결
- I(Insert): 대지와 연결하지 않거나 고저항을 통해서 접지
2)두 번째 문자
- 설비에 노출된 도전성 부분과 대지의 관계 → 기기측 접지
- T(Terra): 노출된 도전성 부분을 직접 대지와 연결
- N(Neutral): 노출된 도전성 부분을 중성점에 연결
3)그 다음문자(문자가 있을 경우)
- 중성선과 보호도체의 배치 → 중성선과 보호도체의 배치
- S(Seperator): 중성선 또는 접지된 선도체 외에 별도의 도체에 의해 제공되는 보호 기능
- C(Combine): 중성선과 보호 기능을 한 개의 도체로 겸용(PEN 도체)


2️⃣TN계통
1)정의
- TN계통은 발전기 혹은 변압기의 중성점(N)을 접지하고 기기와 보호접지(ProtectiveEarth)를 이 중성점과 같이 연결하는 방식
장점
- 빠른 감전 보호: 누전 발생 시 빠르게 전원을 차단하여 감전 위험을 최소화
- 안전성 향상: 전기 설비의 안전성을 높여줌
- 다양한 보호 기능: 과전류, 단락 등 다양한 고장 상황에 대한 보호 기능을 제공
단점
- 누전차단기 오동작 가능성: 외부 노이즈 등으로 인해 누전차단기가 오동작
- 설비 비용 증가: 누전차단기 등 보호 장치 설치 비용이 추가
2)분류
- TN 계통은 중성점(N)과 보호접지(PE)가 연결된 지점에 따라서 3가지로 나눔
- TN-S :
- 보호접지(PE)와 중성점(N)은 변압기나 발전기 근처에서만 서로 연결되어있고 전 구간에서 분리되어 있는 방식(Separate)
- TN-C :
- 보호접지(PE)와 중성점(N)은 전 구간에서 공통으로 사용됨.
- 거의 사용되지 않는 방식(Combined)
- TN-C-S :
- 보호접지(PE)와 중성점(N)은 어느 구간까지는 같이 연결되어 있다가 특정구간(건물의 인입점 등)부터 분리된 방식. KEC200(저압)
- 중성선 다중접지 방식과 비슷하며 영국에서는 PME(ProctiveMultipleEarthing),호주에서는 MEN(MultipleEarthedNeutral)이라고도 불림
- TN-S :
3)지락보호 : 과전류차단기
4)작동 원리
- 감전 방지: 전원이 차단되어 감전될 위험이 있는 전압이 사라짐
- 절연 파괴: 설비의 절연이 파괴되어 대지로 누전이 발생
- 누전 감지: 누전차단기(ELCB) 등의 보호 장치가 누전 전류를 감지
- 전원 차단: 누전차단기가 빠르게 동작하여 전원을 차단

3️⃣TT계통방식
1)정의
- TT계통은 발전기나 변압기의 접지극과는 별도로 각 수용가에서 접지극을 설치하여 접지하는 방식
2)특징
- TN계통에 비해 노이즈 신호 등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
- TN계통은 여러 가지 전자기기들이 접지극을 공유함으로써 접지극을 통하여 노이즈 신호 등이 유입되어 다른 전자기기 등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 TT계통은 접지극을 따로 설치하므로 노이즈 유입을 차단
- 중성점 전위상승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 TT계통은 상불평형이나 중성선 단선으로 중성점 전위상승
- TT방식은 영향을 받지 않고 전기기구의 함대와 대지 간 등 전위 유지가 가능한 장점이
- 국내에서 많이 사용하는 방식이다
접지공사의 종류 | 접지저항 | 접지선 굵기 [㎟] |
---|---|---|
고압 기기접지 (구1종) | 10[Ω]이하 | 6 이상 |
계통접지 (구2종) | 150/Ig (300/Ig, 600/Ig) | 16이상 (6이상) |
저압 기기접지 (구3종) | 100[Ω]이하 | 2.5이상 |
3)지락보호 : 과전류차단기 또는 ELB

4️⃣IT방식
- 정의 : IT계통은 전원이 접지되어 있지 않거나 높은 임피던스로 접지되면, 수용가에서는 별도의 접지극을 설치하는 방식
- 특징 : 1점 지락 시 기기의 프래임 접지저항 낮게 보호, 2점 지락시 대책 강구

5️⃣PEN, PEM, PEL
1)PEN 도체
(Protection and Neutral Conductor):
보호 도체와 중성선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도체입니다. 주로 단상 3선식 시스템에서 사용되며, 접지와 중성화 기능을 하나의 도체로 해결하는 경제적인 방식
- 단면적: 충분한 전류를 흘릴 수 있도록 충분한 단면적을 가져야 함
- 기계적 강도: 외부 충격이나 변형에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져야 함
- 부식 방지: 부식에 강한 재질로 제작되거나 부식 방지 처리가 되어야 함
- 전기적 연속성: 접속 부분에서 전기적 저항이 낮아야 하며, 부식이나 기계적 손상으로 인해 단절되지 않도록 해야 합
- 접속: 주접지단자에 단단히 접속되어야 하며, 다른 도체와의 접속 시에도 안전하게 연결되어야 합
2)PEM 도체
(Protective Earth and Middle Conductor):
보호 도체와 중간선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도체입니다. 주로 IT 시스템에서 사용되며, 접지와 중성화 기능을 분리하여 안전성을 높이는 방식
- PEN 도체와 동일한 요건: PEM 도체는 PEN 도체와 유사한 요건을 만족
- 중간선 기능: IT 시스템에서 중간선으로 사용될 경우, 해당 시스템의 요구 조건을 만족
3)PEL 도체
(Protective Earth and Local Equalisation Conductor):
보호 도체와 국부 등전위 본딩 도체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도체입니다. 특정 영역에서 전위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감전 위험을 줄이는 역할
- PEN 도체와 동일한 요건: PEL 도체는 PEN 도체와 유사한 요건을 만족
- 국부 등전위 본딩: 특정 영역 내에서 전위를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해 다른 도전성 부분과 연결
접지방법결정 (EM)
(목적에따른)
N 중성점 접지방법
R 유효접지와 비유효접지
B 배전계통의 접지(IEC 60364-3 )
(형태에따른)
O 단독접지와 공용접지
S 구조체 접지설계 시 검토사항
T 통합 공통접지방식
E 등전위 본딩
G 접지선 접지봉
T 접촉전압과 보폭전압
목차(배전계통의 접지방식)
IEC 60364-3
●C19.IEC분류접지방식(TN,TT,IT)의 특징과 감전방지대책을 설명하시오
TN,TT,IT EMB2️⃣
1. TN 접지 방식
- 특징:
- 전원측의 한 점(중성점)을 대지에 직접 접지하고, 설비의 노출 도전성 부분을 전원측 접지선에 접속하는 방식입니다.
- 지락 시 전위 상승이 적어 과전류 차단기만으로도 분기 설치가 가능합니다.
- 저압 간선에 주로 사용됩니다.
- 종류:
- TN-C: 중성선과 보호도체를 하나의 도체(PEN)로 겸용합니다.
- TN-S: 중성선(N)과 보호도체(PE)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습니다.
- TN-CS: TN-C와 TN-S의 중간 형태로, 공급측은 PEN 도체를 사용하고, 부하측은 PE와 N이 분리되어 있습니다.
- 감전 방지 대책:
- 과전류 차단기 설치: 지락 시 빠르게 전원을 차단하여 감전을 방지
- 보호 도체 연결: 모든 노출 도전성 부분을 보호 도체에 확실하게 연결
- 정기적인 점검: 접지 저항, 절연 상태 등을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
2. TT 접지 방식
- 특징:
- 전원의 한 점을 대지에 직접 접지하고, 설비의 노출 도전성 부분은 전원의 접지극과 전기적으로 독립된 접지극으로 접속시킵니다.
- 지락 시 접지 임피던스가 높아 과전류 차단기 동작이 느릴 수 있습니다.
- 습기가 많은 곳이나 외부 설비에 주로 사용됩니다.
- 감전 방지 대책:
- 누전 차단기 설치: 지락 전류를 감지하여 빠르게 전원을 차단합니다.
- 저항 접지: 접지 저항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지락 전류를 제한합니다.
- 절연 상태 유지: 절연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절연 상태를 항상 양호하게 유지합니다.
3. IT 접지 방식
- 특징:
- 모든 충전부를 대지로부터 절연시키거나 임피던스를 삽입하여 한 점을 직접 접속합니다.
- 지락 시 전압 상승이 적고, 안전성이 높습니다.
- 병원, 데이터센터 등 고신뢰성이 요구되는 시설에 사용됩니다.
- 감전 방지 대책:
- 절연 감시 장치 설치: 절연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이상 발생 시 경보를 발합니다.
- 접지 임피던스 관리: 접지 임피던스를 적절히 유지하여 지락 전류를 제한합니다.
- 정전기 방지: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취합니다.
●C25.TN계통 전압 의 아래사항을 설명하시오
1)간접접촉보호를 위한 전압종류별 최대 차단시간
2)저압기기 허용 스트레스 전압과 차단시간
3)접지계통별 종류별 고장전압과 스트레스 전압현황
TN
1)간접접촉 보호를 위한 전압 종류별 최대 차단 시간
전압 종류 | 최대 차단 시간 (초) | 비고 |
---|---|---|
AC 50V 이하 | 0.4 | 일반적인 가정용 전원 |
AC 50V 초과 ~ 120V | 0.2 | 산업 현장 등 |
AC 120V 초과 ~ 250V | 0.2 | 고압 설비 등 |
2)저압 기기 허용 스트레스 전압과 차단 시간
저압 기기의 허용 스트레스 전압은 기기의 종류, 절연 등급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저압 기기는 과전압에 취약하며, 과도한 전압이 인가되면 절연 파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압 기기의 허용 스트레스 전압을 초과하지 않도록 설계하고 운용해야 합니다.
차단 시간은 지락 사고 발생 시 전원을 차단하는 데 걸리는 시간으로, 위에서 언급한 간접접촉 보호를 위한 최대 차단 시간을 준수해야 합니다.
3)접지 계통별 종류별 고장 전압과 스트레스 전압 현황
접지 계통 | 고장 전압 | 스트레스 전압 |
---|---|---|
TN-S | 낮음 | 낮음 |
TN-C | 보통 | 보통 |
TN-C-S | 보통 | 보통 |
TT | 높음 | 높음 |
IT | 매우 높음 | 매우 높음 |
- 고장 전압: 지락 사고 발생 시 접지된 부분에서 발생하는 전압
- 스트레스 전압: 기기에 인가되는 과도한 전압으로, 절연 파괴를 유발
○C26 폭발의 우려가 있는 장소의 고압계통에서 1선지락 시 저압 측 보호를 위한 저압 접지계통(접지방식)을 선정하고 수식으로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IT
폭발 위험 지역의 고압계통 1선 지락 시 저압측 보호를 위해 IT 접지계통이 가장 적합합니다.
IT 접지계통은 변압기의 중성점이 접지되지 않은 시스템으로,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
- 지락 전류 제한: 지락 발생 시 지락 전류가 매우 작아, 스파크 발생 가능성이 낮습니다.
- 과전압 억제: 지락 발생 시 건전상 전압 상승이 적어, 절연 파괴의 위험을 줄입니다.
- 아크 발생 억제: 지락 전류가 작아 아크 발생 가능성이 낮습니다.
수식을 통한 설명
1. 지락 전류 (Ig):
IT 접지계통에서의 지락 전류는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 Ig: 지락 전류
- E: 선간 전압
- Zg: 지락점에서 접지점까지의 임피던스
- Zs: 시스템 임피던스
위 식에서 알 수 있듯이, IT 접지계통에서는 Zs가 매우 크기 때문에 지락 전류 Ig가 매우 작아집니다.
2. 건전상 전압 상승 (ΔV):
IT 접지계통에서의 건전상 전압 상승은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 ΔV: 건전상 전압 상승
- Ig: 지락 전류
- Zs: 시스템 임피던스
위 식에서 알 수 있듯이, 지락 전류 Ig가 작기 때문에 건전상 전압 상승 ΔV도 작아집니다.
●C29저압계통의 PEN선 또는 중성선이 단선될 때 사람과 기기에 주는 위험성과 대책
PEN선 단선 시 발생하는 문제
- 고전압 발생: PEN선이 단선되면 건전상과 대지 사이의 전위차가 커져, 접촉하는 사람이나 기기에 고전압이 인가될 수 있습니다. 이는 감전 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매우 높다.
- 기기 손상: 고전압으로 인해 전기 기기의 절연 파괴가 발생하여 기기가 손상되거나 화재가 발생
- 보호 계전기 오동작: PEN선 단선으로 인해 보호 계전기가 오동작하거나, 반대로 동작하지 않아 사고가 확대될 수 있다.
PEN선 단선 원인
- 접속 불량: 접속 부분의 부식, 느슨함 등으로 인해 단선될 수 있다.
- 기계적 손상: 외부 충격이나 설치 불량으로 인해 선이 끊어질 수 있다.
- 열화: 오랜 시간 사용으로 인해 절연 피복이 열화되어 단선될 수 있다.
PEN선 단선 시 대책
- 정기적인 점검: PEN선의 접속 상태, 절연 상태 등을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
- 견고한 설치: PEN선을 견고하게 설치하여 외부 충격에 의한 손상을 방지
- 부식 방지: 부식이 발생하기 쉬운 부분에는 방청 처리를 하여 수명을 연장
- 누전 차단기 설치: 누전 차단기를 설치하여 누전 발생 시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감전 사고를 예방
- 접지 저항 측정: 정기적으로 접지 저항을 측정하여 접지 상태를 확인
- 안전 표지 설치: 위험한 장소에는 안전 표지를 설치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
○C30 KS C IEC60364-5-54에 의한 PEN, PEL, PEM 도체의 요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EMB5️⃣
5️⃣PEN, PEM, PEL
1)PEN 도체
(Protection and Neutral Conductor):
보호 도체와 중성선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도체입니다. 주로 단상 3선식 시스템에서 사용되며, 접지와 중성화 기능을 하나의 도체로 해결하는 경제적인 방식
- 단면적: 충분한 전류를 흘릴 수 있도록 충분한 단면적을 가져야 함
- 기계적 강도: 외부 충격이나 변형에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져야 함
- 부식 방지: 부식에 강한 재질로 제작되거나 부식 방지 처리가 되어야 함
- 전기적 연속성: 접속 부분에서 전기적 저항이 낮아야 하며, 부식이나 기계적 손상으로 인해 단절되지 않도록 해야 합
- 접속: 주접지단자에 단단히 접속되어야 하며, 다른 도체와의 접속 시에도 안전하게 연결되어야 합
2)PEM 도체
(Protective Earth and Middle Conductor):
보호 도체와 중간선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도체입니다. 주로 IT 시스템에서 사용되며, 접지와 중성화 기능을 분리하여 안전성을 높이는 방식
- PEN 도체와 동일한 요건: PEM 도체는 PEN 도체와 유사한 요건을 만족
- 중간선 기능: IT 시스템에서 중간선으로 사용될 경우, 해당 시스템의 요구 조건을 만족
3)PEL 도체
(Protective Earth and Local Equalisation Conductor):
보호 도체와 국부 등전위 본딩 도체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도체입니다. 특정 영역에서 전위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감전 위험을 줄이는 역할
- PEN 도체와 동일한 요건: PEL 도체는 PEN 도체와 유사한 요건을 만족
- 국부 등전위 본딩: 특정 영역 내에서 전위를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해 다른 도전성 부분과 연결
●C35 TN계통에서 전원자동차단에 의한 감전보호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TN 계통에서 전원 자동 차단에 의한 감전 보호 방식 설명
TN 계통은 전원측의 한 점(중성점)을 대지에 직접 접지하고, 설비의 노출 도전성 부분을 전원측 접지선에 접속하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TN 계통에서 전원 자동 차단은 지락이 발생했을 때 빠르게 전원을 차단하여 감전을 방지하는 가장 기본적인 보호 방식입니다.
TN 계통에서 전원 자동 차단의 원리
- 지락 발생: 설비의 절연이 파괴되거나 사람이 우연히 노출된 도전성 부분에 접촉하면 지락이 발생합니다.
- 지락 전류 흐름: 지락이 발생하면 지락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 전류는 중성점을 통해 대지로 흘러갑니다.
- 과전류 차단기 동작: 지락 전류가 과전류 차단기의 설정값을 초과하면 차단기가 동작하여 전원을 차단합니다.
- 감전 방지: 전원이 차단되면 지락 전류가 흐르지 않아 감전의 위험이 사라집니다.
TN 계통에서 전원 자동 차단에 사용되는 장치
- 과전류 차단기: 지락 전류를 감지하여 설정된 값을 초과하면 전원을 차단하는 장치입니다.
- 누전 차단기: 지상 전류를 감지하여 설정된 값을 초과하면 전원을 차단하는 장치입니다. 누전 차단기는 과전류 차단기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더욱 민감하게 지락을 감지합니다.
TN 계통에서 전원 자동 차단의 효과
- 빠른 감전 방지: 지락 발생 시 빠르게 전원을 차단하여 감전의 위험을 최소화합니다.
- 설비 보호: 지락으로 인한 설비 손상을 방지합니다.
- 안전성 향상: 전기 설비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TN 계통에서 전원 자동 차단 시 주의사항
- 접지의 중요성: 접지가 불량하면 지락 전류가 제대로 흐르지 않아 차단기가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차단기 설정값: 차단기의 설정값을 적절하게 설정해야 합니다. 너무 낮게 설정하면 오동작할 수 있고, 너무 높게 설정하면 지락 시 감전될 위험이 증가합니다.
- 정기적인 점검: 차단기, 접지 등을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해야 합니다.
●C36 두개 이상의 충전도체 또는 PEN도체를 계통에 병렬로 접속할 때 고려사항에 병렬도체 사이에 부하전류가 최대한 균등하게 배분할 수 있는 병렬케이블(L1, L2, L3, N)의 특수배치에 대하여 그림을 그리고 설명하시오
1)병렬 도체의 부하 전류 불균형 원인
- 도체 임피던스 차이: 각 도체의 길이, 재질, 단면적 등이 다르면 임피던스가 달라져 전류 분배가 불균형해질 수 있음
- 접속 불량: 접속 부분의 접촉 저항이 크면 전류가 작은 저항 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
- 외부 자기장 영향: 외부 자기장의 영향으로 유도 전압이 발생하여 전류 분배가 불균형해질 수 있음
2)병렬 케이블의 특수 배치

1. 트위스트 배치 (Twisted Pair)
- 원리: 두 개의 도체를 꼬아서 배치하면 상호 인덕턴스가 증가하여 유도 전압이 상쇄되어 전류 분배가 균일
- 장점: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며, 고주파 노이즈에 대한 내성이 우수
- 단점: 많은 수의 도체를 트위스트하기 어렵고, 케이블의 유연성이 감소

2. 평행 배치 (Parallel Arrangement)
- 원리: 모든 도체를 평행하게 배치하고, 각 도체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 장점: 제작이 간단하고, 큰 전류를 흘릴 수 있습니다.
- 단점: 외부 자기장의 영향을 받기 쉽고, 도체 사이의 커패시턴스가 증가하여 고주파 노이즈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3. 코플래너 배치 (Coplanar Arrangement)
- 원리: 모든 도체를 같은 평면에 배치하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합니다.
- 장점: 트위스트 배치와 평행 배치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제작이 용이합니다.
- 단점: 외부 자기장의 영향을 받기 쉽습니다.

4. 번들링 (Bundling)
- 원리: 여러 개의 도체를 묶어서 하나의 번들로 만들고, 번들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 장점: 외부 자기장의 영향을 줄이고, 케이블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단점: 제작이 복잡하고, 공간을 많이 차지합니다.
○133-04 TN-S계통과 TT계층에 대하여 다음 사항을 비교 설명하시오
1)누전 시 고장전류 크기 및 감전 위험
2)뇌서지 침입 시 설비기기의 손상
TN-S계통과 TT계통 비교
1) 누전 시 고장전류 크기 및 감전 위험
TN-S계통
- 고장전류 크기: TN-S계통은 전원측의 접지와 설비측의 노출도전부가 보호도체(PE)로 직접 연결되어 있습니다. 지락(누전) 사고 시, 고장전류가 보호도체를 통해 전원측으로 바로 순환하므로 고장전류가 매우 큽
- 감전 위험: 고장전류가 크기 때문에 과전류차단기(MCCB 등)가 신속하게 동작하여 회로를 차단, 감전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등전위 본딩이 잘 이루어지면 노출도전부의 전위 상승도 적어 인체에 미치는 위험이 줄어듭
TT계통
- 고장전류 크기: TT계통은 전원측 접지와 설비측 보호접지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습니다. 누전 시 고장전류가 대지(접지저항)를 통해 흐르기 때문에 고장전류가 매우 작다
- 감전 위험: 고장전류가 작아 과전류차단기만으로는 충분한 보호가 어렵고, 누전차단기(RCD)의 설치가 필수입니다. 접지저항이 높거나 누전차단기가 없을 경우, 노출도전부의 전위 상승이 커져 감전 위험이 커질 수 있다
2) 뇌서지 침입 시 설비기기의 손상
TN-S계통
- 설비기기 손상 위험: TN-S계통은 등전위 본딩이 잘 되어 있고, 보호도체가 전원측 접지와 직접 연결되어 있습니다. 뇌서지(낙뢰 등) 유입 시 중성선 및 보호도체를 통해 서지가 분산·저감되어 설비기기의 손상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특히 등전위 본딩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TN계통이 중성선을 통한 뇌서지 저감에 가장 우수하다는 연구 결과
TT계통
- 설비기기 손상 위험: TT계통은 설비측 접지가 독립적이기 때문에, 뇌서지가 배전계통의 중성선에 유입될 경우 설비기기 접지단자와 전원선 중성점 사이에 높은 전위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민감한 전자기기(컴퓨터 등)가 손상될 위험이 크며, TT계통은 뇌서지에 취약하다고 평가됩니다. 따라서 등전위 본딩과 추가 보호대책이 더욱 중요
요약 비교표
구분 | TN-S계통 | TT계통 |
---|---|---|
누전 시 고장전류 | 매우 큼 (PE 통해 전원측으로 바로 순환) | 매우 작음 (대지 저항 통해 흐름) |
감전 위험 | 낮음 (과전류차단기 빠른 동작, 등전위 본딩) | 높음 (누전차단기 필수, 접지저항 영향 큼) |
뇌서지 설비 손상 | 낮음 (등전위 본딩, 서지 분산/저감 효과) | 높음 (전위차 커서 민감기기 손상 우려) |
결론:
- TN-S계통은 고장전류가 크고 등전위 본딩이 잘 되어 있어 감전과 뇌서지에 의한 설비 손상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음
- TT계통은 고장전류가 작아 누전차단기 의존도가 높고, 뇌서지 시 설비기기의 손상 위험이 크므로, 접지저항 관리와 등전위 본딩, 추가 보호대책이 매우 중요
https://thorele.com/ko/tn-c-system-tn-s-system-tn-c-s-system-tt-system/
https://blog.naver.com/somang8991/222654170827
https://blog.naver.com/casd00/221521679084
https://dspace.kci.go.kr/handle/kci/1003560
https://blog.naver.com/thesonlab/222770979660
https://bef-pe.inup.co.kr/main/download.jsp?id=1075489&ek=a70af7acf5de005f8c4c86b0553e2507
https://koreascience.kr/article/CFKO200935536017771.pdf
https://koreascience.or.kr/article/JAKO200311921768424.pdf
https://blog.naver.com/mjg5080/192781962
https://blog.naver.com/20217350/221959648232
https://starish.tistory.com/42
http://ftz.myds.me/wordpress/ks-c-iec-%EC%A0%91%EC%A7%80%EB%B0%A9%EC%8B%9D/
http://www.transducer.co.kr/uploaded/board/data2/DSPD%20PT%20%EC%9E%90%EB%A3%8C(FINAL-220629).pdf
접지방법결정 (EM)
(목적에따른)
N 중성점 접지방법
R 유효접지와 비유효접지
B 배전계통의 접지(IEC 60364-3 )
(형태에따른)
O 단독접지와 공용접지
S 구조체 접지설계 시 검토사항
T 통합 공통접지방식
E 등전위 본딩
G 접지선 접지봉
T 접촉전압과 보폭전압
목차(배전계통의 접지방식 EMB)
IEC 60364-3
🌐V0928C24 / EMB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