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S 직무고시

제공

UPS설비 (GU)

U UPS
P UPS의 병렬시스템 선정
O On-line UPS와 Off-line UPS
D 다이내믹UPS
F 플라이휠UPS
T UPS 2차 측 회로보호
G UPS 직무고시

1️⃣정기검사 및 직무고시

1)도입배경

  • 2024년 7월1일부터 무정전전원장치가 전기안전관리법 및 전기사업법에 따라 법정 정기검사대상에 포함됨
  • 최근 데이터센터 등에서 발생한 화재 등 전기재해 예방과 UPS안전성 강화를 위한 조치

2)검사 대상 및 적용 범위

이차전기 용량 기준

  • 리튬,나트륨계 20kWh초과
  • 납,니켈,바나듐계: 70kWh초과
\[kWh=\frac{배터리용량(Ah)\times 배터리전압(V)\times 배터리개수}{1000}\]

3)적용시기

  • 2024년 7월1일 이후 정기검사 접수
  • 지존 설비는 2025년6월30일까지 반드시 정기섬사이행

4)검사주기

  • 1년: 다중이용시설 또는 이차전지용량 1,000kWh이상설비
  • 2년: 그 외 설비

5)주요 검사 항목

  • 일반규격 및 설비 현황 확인
  • 전선로(모선), 차단기, 이차전지(배터리)
    • 규격확인, 외관검사, 보호장치, 절연저항, 절연내력, 특성시험(충전/방전 전압,전류, 과충전,과방전, 온도특성, BMS기능 등)
  • 제어 및 보호장치
    • 통풍구, 환기필터, 경보장치, 비상정지장치 등
  • 기타
    • 절연 및 접지저항 측정, 기술기준적합성

6)수검자 준비자료

  • 설비 도면, 성적서, 점검기관등 관련서류 준비

7)월1회 이상 점검 의무화

  • 전기안전관리자는 UPS에 대해 월1회 이상 점검을 실시
  • 점검 결과는 별지 16호 서식에 따라 기록 관리

2️⃣UPS 점검항목

1)일반사항점검

  • 충전부분의 인처감전보호등을 위한 방호 시설상태
  • 적재 하중 또는 진동과 충격에 안전한지 확인
  • 전선 및 전선관, 접속단자 등 상태(손상, 열화, 변색 등)
  • 침수 및 누수우려, 수분(결로,주수)여부
  • 공조시설(급속배기장치 등)작송 여부
  • 분진(먼지,이물질)등 설치장소 및 잠금장치 여버
  • 작업공간 확보 및 조명장치 이상 여부
  • 소방설비 상태 확인
  • 비상 연략망 및 비상 매뉴얼 비치 여부

2)배터리점검

  • 배터리상태
  • 배터리전압
  • 배터리수명

3)제어 및 보호장치 점검

  • 인버터
  • 정류기

실내 온습도 확인

  • 적정실내
  • 온도: 20~25도
  • 적정실내습도: 20~80% 이내

4)기타

  • 절연 및 접지저항 측정
  • 기타 기술기준 등 관련 규정 적합 여부

UPS설비 (GU)

U UPS
P UPS의 병렬시스템 선정
O On-line UPS와 Off-line UPS
D 다이내믹UPS
F 플라이휠UPS
T UPS 2차 측 회로보호
G UPS 직무고시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