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전압강하 LMD)
전압강하
- 전압강하란 전류가 도체를 흐를 때 도체의 저항으로 인해 전압이 감소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 전력 시스템에서 전압강하는 부하에 공급되는 전압이 낮아져 설비의 성능 저하, 오동작 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케이블 규격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
1️⃣전압강하
1)직류회로 전압강하식
Δe:전압강하, L:선로길이,
I:전류, R:선로저항
2)정상 전압강하식(교류회로)
Es:송전단전압, Er:수전단전압
Kd:배전방식계수, R:저항, X:리액턴스
I:전류, L:선로길이
배전방식 | KD | 배전방식 | KD |
---|---|---|---|
직류2선식 | 2 | 교류단상3선식 | 1 |
직류3선식 | 1 | 교류3상3선식 | √3 |
교류 단상 2선식 | 2 | 교류3상4선식 | 1 |
3)간이 전압강하식(교류회로)
Δe: 전압 강하 (V)
k: 전선 재질, 온도 등에 따른 상수
L: 선로 길이 (m)
I: 부하 전류 (A)
A: 도체 단면적 (㎟)
구리와 알루미늄의 k값
- 구리: 일반적으로 구리의 k값은 17.8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 알루미늄: 알루미늄의 k값은 구리에 비해 저항이 크므로 더 큰 값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30.8으로 사용됩니다.
4)허용전압강하
저압배전선에서의 허용전압강하는 간선과 분기회로에서 각각 표준전압의 2[%]이하로 한다. 그렇지만 전기 사용장소 안에 설치된 변압기에서 공급하는 경우의 간선은 3[%]이하로 할 수 있다. 변압기 또는 인입점에서 부하까지 거리가 60[m]가 넘는 경우는 다음 표를 참조
변압기2차에서 최원단 부하까지의 거리[m] | 구내에 설치된 변압기에서 공급시[%] | 전기사업자로부터 저압으로 직접공급시[%] |
---|---|---|
60초과 120이하 | 5(이하) | 4(이하) |
120초과 200이하 | 6(이하) | 5(이하) |
200초과 | 7(이하) | 6(이하) |
2️⃣전압방정식 및 페이저도
1)단거리 송전선로 모델링

2)전압방정식
3)페이저도

- 송전단 전압 (Vs): 전원에서 공급되는 전압
- 수전단 전압 (Vr): 부하에 공급되는 전압
- 전압강하 (Vdrop): 송전단 전압과 수전단 전압의 차이
- 저항 성분에 의한 전압강하 (IR):
- 저항(R)에 전류(I)가 흐를 때 발생하는 전압강하입니다.
- 전류와 전압의 위상이 일치합니다.
- 리액턴스 성분에 의한 전압강하 (IX):
- 인덕턴스(L) 또는 커패시턴스(C)에 의해 발생하는 리액턴스(X)에 전류(I)가 흐를 때 발생하는 전압강하입니다.
- 전류와 전압의 위상이 90도 차이납니다.
- 위상각 (θ): 전류와 전압 사이의 위상차
3️⃣전압강하식
전압강하를 크기로 나타내면
위 그램에서 상차각 δ가 매우 작은경우,
일반적으로 단거리 선로에서는 δ가 매우작다
(IXcosθ-IRsinθ)²=0
1)유도
2)전기방식별 전압강하
전기방식 | 계수 | 전압강하 | 전압강하 |
---|---|---|---|
단상2선식 직류2선식 | 2 | e=2IR | \[e=\frac{35.6lI}{1,000S}\] |
3상3선식 | √3 | e=√3IR | \[e=\frac{30.8lI}{1,000S}\] |
단상3선식 직류3선식 3상4선식 | 1 | e=IR | \[e=\frac{17.8lI}{1,000S}\] |
4️⃣전압강하율
- 전압강하는 선로의 임피던스를 통해서 부하전류가 흐를때
전로의 임피던스에 의해 전압강하가 발생된다.
그 결과로 나타나는 송전단 전압과 수전단 전압의 차를 말한다 - 그러므로 전압강하는 선로의 임피던스의 크기, 부하전류의 크기, 부하의 역률에 영향을 받는다
- 전압강하율은 선로의 전압강하를 수전단 전압으로 나누어
백분율로 나타낸 것 - 전압강하율(e)의 수식적 표현과 그의 변형식
5️⃣전압변동률
- 무부하시 전압에서 전부하가 인가되었을 때,
전압 변동의 범위를 나타낸다.
- 전압 변동률의 수식표현
Vn₀ : 무부하시의전압,
Vn : 전부하시의 전압(정격전압)
6️⃣케이블 규격 선정 절차
- 부하 전류 산정: 부하의 종류와 용량에 따라 필요한 전류를 계산합니다.
- 허용 전압강하율 설정: 설비의 종류와 중요도에 따라 허용되는 전압강하율을 정합니다. 일반적으로 2~5% 정도로 설정합니다.
- 도체 길이 산정: 전력원에서 부하까지의 거리를 측정합니다.
- 도체의 비저항 확인: 사용할 도체의 종류(구리, 알루미늄 등)에 따른 비저항 값을 확인합니다.
- 전압강하 계산: 위의 공식들을 이용하여 전압강하를 계산합니다.
- 케이블 단면적 선정: 계산된 전압강하가 허용 전압강하율 이하가 되도록 충분한 단면적의 케이블을 선정합니다.
7️⃣케이블 규격 선정 시 고려 사항
- 허용 전류: 선정된 케이블의 허용 전류가 부하 전류보다 커야 합니다.
- 온도: 주변 온도에 따라 도체의 저항이 변하므로 온도 보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기계적 강도: 케이블이 설치 환경에서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져야 합니다.
- 경제성: 케이블의 가격과 설치 비용을 고려하여 경제적인 측면도 고려해야 합니다.
8️⃣전압강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케이블 포설 조건
- 케이블 길이: 케이블이 길어질수록 저항이 증가하여 전압강하가 커집니다. 따라서 장거리 송전에서는 대용량의 전류를 흘릴 수 있는 큰 단면적의 케이블을 사용하거나, 변전소를 추가하여 전압을 승압하는 방식을 사용
- 케이블 종류 및 재질: 케이블의 종류와 재질에 따라 전기 저항이 달라집니다. 구리보다 알루미늄 케이블이 저항이 크므로, 같은 조건에서 알루미늄 케이블은 구리 케이블보다 전압강하가 더 크게 발생
- 케이블 온도: 케이블 온도가 상승하면 도체의 저항이 증가하여 전압강하가 커집니다. 따라서 케이블 주변의 온도를 낮추거나, 케이블의 허용 전류를 줄여야함
- 케이블 부설 방식: 지중 매설, 가공, 덕트 내 설치 등 부설 방식에 따라 케이블 주변의 온도, 습도 등의 환경 조건이 달라져 전압강하에 영향을 미칩
- 부하 전류: 부하 전류가 증가할수록 케이블에서 발생하는 전압강하가 커집니다. 따라서 케이블 용량을 충분히 확보
9️⃣전압강하를 줄이기 위한 방안
- 케이블 단면적 증가: 케이블 단면적을 증가시키면 저항이 감소하여 전압강하를 줄일 수 있습니다.
- 케이블 재질 개선: 저항이 낮은 구리 케이블을 사용하거나, 특수 합금 케이블을 사용하여 전압강하를 줄일 수 있습니다.
- 케이블 온도 관리: 케이블 주변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통풍이 잘 되는 곳에 설치하거나, 냉각 장치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 케이블 경로 단축: 케이블 경로를 최대한 단축하여 전압강하를 줄일 수 있습니다.
- 변압기 설치: 장거리 송전 시 중간에 변압기를 설치하여 전압을 승압하면 전압강하를 줄일 수 있습니다.
전기기초(소자) AB
전압, 전류 (AC1)
기준충격절연강도(BIL)
전압강하 (LMD)
변위전류 (AE)
패란티 현상 (QVF)
단락전자력 (LMMS)
이상전압 및 대책 (BS)
코로나 (AG)(LP)
코로나(임계전압식 유도⁕)
전력계통의 안정도 (AG)
저항 임피던스 리액턴()
특성임피던스 ()
전력 역률
무효전력
최대전력전달
목차(전압강하 LMD)
전압강하
💯기출문제
●D02 전압강하에 의한 케이블의 규격을 선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전압강하에 의한 케이블 규격 LMD02)
전압강하란 전류가 도체를 흐를 때 도체의 저항으로 인해 전압이 감소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전력 시스템에서 전압강하는 부하에 공급되는 전압이 낮아져 설비의 성능 저하, 오동작 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케이블 규격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
1️⃣전압강하
전압강하(ΔV)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 ΔV: 전압강하 (V)
- I: 부하 전류 (A)
- R: 도체 저항 (Ω)
도체 저항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 ρ: 도체의 비저항 (Ω·m)
- L: 도체의 길이 (m)
- A: 도체의 단면적 (m²)
모범답안(케이블 규격선정절차 LMD02 WMR)
6️⃣케이블 규격 선정 절차
- 부하 전류 산정: 부하의 종류와 용량에 따라 필요한 전류를 계산합니다.
- 허용 전압강하율 설정: 설비의 종류와 중요도에 따라 허용되는 전압강하율을 정합니다. 일반적으로 2~5% 정도로 설정합니다.
- 도체 길이 산정: 전력원에서 부하까지의 거리를 측정합니다.
- 도체의 비저항 확인: 사용할 도체의 종류(구리, 알루미늄 등)에 따른 비저항 값을 확인합니다.
- 전압강하 계산: 위의 공식들을 이용하여 전압강하를 계산합니다.
- 케이블 단면적 선정: 계산된 전압강하가 허용 전압강하율 이하가 되도록 충분한 단면적의 케이블을 선정합니다.
7️⃣케이블 규격 선정 시 고려 사항
- 허용 전류: 선정된 케이블의 허용 전류가 부하 전류보다 커야 합니다.
- 온도: 주변 온도에 따라 도체의 저항이 변하므로 온도 보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기계적 강도: 케이블이 설치 환경에서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져야 합니다.
- 경제성: 케이블의 가격과 설치 비용을 고려하여 경제적인 측면도 고려해야 합니다.
○D03 전압강하 게산에 있어서 정식계산식과 약식계산식을 들고 설명하시오
모범답안(전압강하 계산 LMD03)
정식 계산식
전압강하(ΔV)는 도체의 저항(R), 흐르는 전류(I)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는 옴의 법칙의 직접적인 응용입니다.
정식 계산식:
여기서,
- Δe: 전압강하 (V, 볼트)
- I: 부하 전류 (A, 암페어)
- R: 도체 저항 (Ω, 옴)
도체의 저항은 다시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 ρ: 도체의 비저항 (Ω·m, 옴 미터)
- L: 도체의 길이 (m, 미터)
- A: 도체의 단면적 (m², 제곱미터)
정식 계산식을 활용한 전체 식:
이 식은 매우 정확한 값을 제공하지만, 계산 과정이 복잡하고 다양한 변수를 고려해야 하므로 실제 현장에서는 약식 계산식을 더 많이 사용합니다.
약식 계산식
약식 계산식은 정식 계산식을 간략화하여 실무에서 빠르게 계산할 수 있도록 만든 식입니다. 일반적으로 도체의 비저항(ρ)과 단위 길이당 저항(Ω/m)을 일정한 값으로 가정하여 계산합니다.
단상 3선식 회로의 경우, 많이 사용되는 약식 계산식:
- L: 도체의 편도 길이 (m)
- I: 부하 전류 (A)
- A: 도체의 단면적 (mm²)
구리와 알루미늄의 k값
- 구리: 일반적으로 구리의 k값은 17.8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 알루미늄: 알루미늄의 k값은 구리에 비해 저항이 크므로 더 큰 값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30.8으로 사용됩니다.
정식 계산식과 약식 계산식의 비교
항목 | 정식 계산식 | 약식 계산식 |
---|---|---|
정확도 | 매우 정확 | 약간의 오차 가능 |
계산 복잡도 | 복잡 | 간단 |
사용 용도 | 정밀한 계산 필요 시 | 현장에서 빠른 계산 시 |
○D06 전압변동률과 전압강하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전압변동률과 전압강하율 LMD06)
6️⃣전압강하율
1) 전압강하는 선로의 임피던스를 통해서 부하전류가 흐를때
전로의 임피던스에 의해 전압강하가 발생
그결과로 나타나는 송전단 전압과 수전단 전압의 차
2) 그러므로 전압강하는 선로의 임피던스의 크기, 부하전류의 크기, 부하의 역률에 영향을 받음
3) 전압강하율은 선로의 전압강하를 수전단 전압으로 나누어
백분율로 나타낸 것
4) 전압강하율(e)의 수식적 표현과 그의 변형식
7️⃣전압변동률
1) 무부하시 전압에서 전부하가 인가되었을 때,
전압 변동의 범위를 나타냄
2) 전압 변동률의 수식표현
Vn₀ : 무부하시의전압, Vn : 전부하시의 전압(정격전압)
○D07 케이블 포설조건이 전압강하에 미치는 영향
모범답안(전압강하 LMD07)
전압강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케이블 포설 조건
- 케이블 길이: 케이블이 길어질수록 저항이 증가하여 전압강하가 커집니다. 따라서 장거리 송전에서는 대용량의 전류를 흘릴 수 있는 큰 단면적의 케이블을 사용하거나, 변전소를 추가하여 전압을 승압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 케이블 종류 및 재질: 케이블의 종류와 재질에 따라 전기 저항이 달라집니다. 구리보다 알루미늄 케이블이 저항이 크므로, 같은 조건에서 알루미늄 케이블은 구리 케이블보다 전압강하가 더 크게 발생합니다.
- 케이블 온도: 케이블 온도가 상승하면 도체의 저항이 증가하여 전압강하가 커집니다. 따라서 케이블 주변의 온도를 낮추거나, 케이블의 허용 전류를 줄여야 합니다.
- 케이블 부설 방식: 지중 매설, 가공, 덕트 내 설치 등 부설 방식에 따라 케이블 주변의 온도, 습도 등의 환경 조건이 달라져 전압강하에 영향을 미칩니다.
- 부하 전류: 부하 전류가 증가할수록 케이블에서 발생하는 전압강하가 커집니다. 따라서 케이블 용량을 충분히 확보해야 합니다.
전압강하를 줄이기 위한 방안
- 케이블 단면적 증가: 케이블 단면적을 증가시키면 저항이 감소하여 전압강하를 줄일 수 있습니다.
- 케이블 재질 개선: 저항이 낮은 구리 케이블을 사용하거나, 특수 합금 케이블을 사용하여 전압강하를 줄일 수 있습니다.
- 케이블 온도 관리: 케이블 주변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통풍이 잘 되는 곳에 설치하거나, 냉각 장치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 케이블 경로 단축: 케이블 경로를 최대한 단축하여 전압강하를 줄일 수 있습니다.
- 변압기 설치: 장거리 송전 시 중간에 변압기를 설치하여 전압을 승압하면 전압강하를 줄일 수 있습니다.
○D09 전력간선의 전압강하 계산에서 간이계산식과 정식계산식의 차이점을 들고 설명하시오
모범답안(전압강하 계산 LMD03)
정식 계산식
전압강하(ΔV)는 도체의 저항(R), 흐르는 전류(I)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는 옴의 법칙의 직접적인 응용입니다.
정식 계산식:
여기서,
- Δe: 전압강하 (V, 볼트)
- I: 부하 전류 (A, 암페어)
- R: 도체 저항 (Ω, 옴)
도체의 저항은 다시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 ρ: 도체의 비저항 (Ω·m, 옴 미터)
- L: 도체의 길이 (m, 미터)
- A: 도체의 단면적 (m², 제곱미터)
정식 계산식을 활용한 전체 식:
이 식은 매우 정확한 값을 제공하지만, 계산 과정이 복잡하고 다양한 변수를 고려해야 하므로 실제 현장에서는 약식 계산식을 더 많이 사용합니다.
약식 계산식
약식 계산식은 정식 계산식을 간략화하여 실무에서 빠르게 계산할 수 있도록 만든 식입니다. 일반적으로 도체의 비저항(ρ)과 단위 길이당 저항(Ω/m)을 일정한 값으로 가정하여 계산합니다.
단상 3선식 회로의 경우, 많이 사용되는 약식 계산식:
- L: 도체의 편도 길이 (m)
- I: 부하 전류 (A)
- A: 도체의 단면적 (mm²)
구리와 알루미늄의 k값
- 구리: 일반적으로 구리의 k값은 17.8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 알루미늄: 알루미늄의 k값은 구리에 비해 저항이 크므로 더 큰 값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30.8으로 사용됩니다.
정식 계산식과 약식 계산식의 비교
항목 | 정식 계산식 | 약식 계산식 |
---|---|---|
정확도 | 매우 정확 | 약간의 오차 가능 |
계산 복잡도 | 복잡 | 간단 |
사용 용도 | 정밀한 계산 필요 시 | 현장에서 빠른 계산 시 |
○D11 수용가 설비에서 설비 인입구와 부하점사이의 전압강하 허용기준
모범답안(전압강하 허용기준 LMD11)
3)허용전압강하
저압배전선에서의 허용전압강하는 간선과 분기회로에서 각각 표준전압의 2[%]이하로 한다. 그렇지만 전기 사용장소 안에 설치된 변압기에서 공급하는 경우의 간선은 3[%]이하로 할 수 있다. 변압기 또는 인입점에서 부하까지 거리가 60[m]가 넘는 경우는 다음 표를 참조
변압기2차에서 최원단 부하까지의 거리[m] | 구내에 설치된 변압기에서 공급시[%] | 전기사업자로부터 저압으로 직접공급시[%] |
---|---|---|
60초과 120이하 | 5(이하) | 4(이하) |
120초과 200이하 | 6(이하) | 5(이하) |
200초과 | 7(이하) | 6(이하) |
○D14 전압강하에 관한 벡터도를 그리고 기본식을 설명하시오
모범답안(전압강하 벡터도, 기본식 LMD14)
전압강하 벡터도
전압강하는 전류와 전압의 위상차에 따라 벡터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저항 성분에 의한 전압강하와 리액턴스 성분에 의한 전압강하로 나누어 생각하며, 이들을 벡터 합성하여 전체 전압강하를 구함

- 송전단 전압 (Vs): 전원에서 공급되는 전압
- 수전단 전압 (Vr): 부하에 공급되는 전압
- 전압강하 (Vdrop): 송전단 전압과 수전단 전압의 차이
- 저항 성분에 의한 전압강하 (IR):
- 저항(R)에 전류(I)가 흐를 때 발생하는 전압강하입니다.
- 전류와 전압의 위상이 일치합니다.
- 리액턴스 성분에 의한 전압강하 (IX):
- 인덕턴스(L) 또는 커패시턴스(C)에 의해 발생하는 리액턴스(X)에 전류(I)가 흐를 때 발생하는 전압강하입니다.
- 전류와 전압의 위상이 90도 차이납니다.
- 위상각 (θ): 전류와 전압 사이의 위상차
전압강하 기본식
전압강하의 영향
- 전력 손실: 전압강하로 인해 전력 손실이 발생합니다.
- 부하 전압 저하: 부하에 공급되는 전압이 낮아져 부하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 전압 변동률 증가: 부하 변동에 따라 전압 변동이 커져 전력 시스템의 안정성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9️⃣전압강하를 줄이기 위한 방안
- 케이블 단면적 증가: 케이블 단면적을 증가시키면 저항이 감소하여 전압강하를 줄일 수 있습니다.
- 케이블 재질 개선: 저항이 낮은 구리 케이블을 사용하거나, 특수 합금 케이블을 사용하여 전압강하를 줄일 수 있습니다.
- 케이블 온도 관리: 케이블 주변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통풍이 잘 되는 곳에 설치하거나, 냉각 장치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 케이블 경로 단축: 케이블 경로를 최대한 단축하여 전압강하를 줄일 수 있습니다.
- 변압기 설치: 장거리 송전 시 중간에 변압기를 설치하여 전압을 승압하면 전압강하를 줄일 수 있습니다.
○D18 3상4선식공급방식의 전압강하 계산식에서 전선의 재질이 구리, 알루미늄인 경우 k값을 각각 구하시오
모범답안(전압강하 계산식 LMD18)
3상 4선식 공급 방식의 전압 강하 계산
3상 4선식 공급 방식에서 전압 강하를 계산하는 일반적인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ΔV: 전압 강하 (V)
k: 전선 재질, 온도 등에 따른 상수
L: 선로 길이 (m)
I: 부하 전류 (A)
A: 도체 단면적 (㎟)
여기서 k값은 전선의 재질, 온도, 부하율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달라지는 상수입니다.
구리와 알루미늄의 k값
- 구리: 일반적으로 구리의 k값은 17.8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 알루미늄: 알루미늄의 k값은 구리에 비해 저항이 크므로 더 큰 값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30.8으로 사용됩니다.
즉, 같은 조건에서 알루미늄 전선을 사용하면 구리 전선에 비해 전압 강하가 더 크게 발생합니다.
k값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전선 재질: 구리, 알루미늄 등 전선의 재질에 따라 도전율이 다르므로 k값이 달라집니다.
- 온도: 온도가 상승하면 전선의 저항이 증가하여 k값이 커집니다.
- 부하율: 부하율이 높아질수록 전류가 증가하여 전압 강하가 커지므로 k값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k값을 구하는 방법
- 전기 설비 기술 기준: 한국전기안전공사에서 발행하는 전기 설비 기술 기준에 각종 전선의 k값이 표로 제공됩니다.
- 전선 제조사 카탈로그: 전선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카탈로그에도 k값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 전기 설계 프로그램: 전기 설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조건에 따른 k값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D19 단거리선로의 옴법 전압강하 계산식을 등가회로 및 벡터도를 그려서 설명하고 옥내 배선전압강하계산식을 설명하시오
모범답안(옴법 전압강하 LMD19)
단거리 선로의 옴법 전압 강하
1. 옴법 전압 강하란?
전류가 흐르는 도체(전선)에서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저항으로 인해 전압이 떨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즉, 송전선로의 양 끝단 사이에 전압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2. 등가 회로 및 벡터도
단거리 선로를 등가 회로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Vs: 송전단 전압
- Vr: 수전단 전압
- I: 부하 전류
- R: 선로 저항
벡터도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 Vs: 송전단 전압 벡터
- Vr: 수전단 전압 벡터
- IR: 전압 강하 벡터 (저항 성분)
- θ: 전류와 전압 사이의 위상각 (단상 회로에서는 0도)
3. 옴법 전압 강하 계산식
- ΔV: 전압 강하 (V)
- I: 부하 전류 (A)
- R: 선로 저항 (Ω)
4. 단거리 선로의 옴법 전압 강하 특징
- 선로의 저항이 클수록, 부하 전류가 클수록 전압 강하가 커집니다.
- 단거리 선로에서는 리액턴스 성분을 무시할 수 있으므로 옴의 법칙을 직접 적용하여 계산합니다.
옥내 배선 전압 강하 계산
옥내 배선의 경우, 단거리 선로와 마찬가지로 옴의 법칙을 이용하여 전압 강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다만, 옥내 배선은 다양한 분기 회로와 부하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각 회로별로 전압 강하를 계산하고 합산해야 합니다.
1. 옥내 배선 전압 강하 계산식
- ΔV: 전체 전압 강하 (V)
- I: 각 회로의 전류 (A)
- R: 각 회로의 저항 (Ω)
- Σ: 모든 회로에 대한 합
2. 옥내 배선 전압 강하 고려 사항
- 전압 강하율: 일반적으로 전압 강하율은 3% 이하로 유지하도록 권장됩니다.
- 전압 강하가 큰 영향을 미치는 부하: 전동기, 조명 등 부하의 종류에 따라 전압 강하에 대한 민감도가 다릅니다.
- 배선 방식: 단상, 3상, 다중 접지 등 배선 방식에 따라 계산 방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D20 직류2선식의 전압강하 계산식 s=0.356LI/S[V]을 유도하시오
모범답안(전압강하 계산식 유도 LMD20)
1. 문제 이해 및 가정
- 직류 2선식: 한 쌍의 도체를 통해 직류 전류가 흐르는 간단한 회로 형태입니다.
- 전압 강하: 전류가 흐르면서 전선의 저항으로 인해 전압이 떨어지는 현상입니다.
- 주어진 식: s = 0.356LI/S (s: 전압 강하, L: 선로 길이, I: 전류, S: 도체 단면적)
- 목표: 위 식을 유도하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2. 유도 과정
2.1. 옴의 법칙 적용
- 옴의 법칙: V = IR (V: 전압, I: 전류, R: 저항)
- 전압 강하: ΔV = IR
2.2. 저항 계산
- 저항: R = ρL/A (ρ: 비저항, L: 길이, A: 단면적)
- 위 식을 옴의 법칙에 대입하면, ΔV = I * (ρL/A)
2.3. 상수 도입
- 상수 도입: ρ/A 부분을 상수 k로 치환하면, ΔV = kLI
- 일반적으로 구리 도체를 사용하는 경우, 상수 k의 값은 다양한 조건에 따라 달라지지만, 근사적으로 k = 0.356 (V/A·m²/mm²) 값을 사용합니다.
- 이 값은 도체의 재질, 온도, 주변 환경 등에 따라 변할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2.4. 단위 조정
- 위 식에서 단위를 조정하면, ΔV = 0.356LI/S (V)가 됩니다.
- L: m (미터)
- I: A (암페어)
- S: mm² (제곱밀리미터)
3. 최종 식
따라서 직류 2선식에서의 전압 강하를 계산하는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s = 0.356LI/S
4. 유도 결과 해석
- 전압 강하는 선로 길이(L), 전류(I)에 비례하고, 도체 단면적(S)에 반비례합니다.
- 상수 0.356은 구리 도체를 사용할 때 근사적으로 사용되는 값이며, 다른 조건에서는 값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이 식은 단순화된 모델이며, 실제 계산에서는 온도, 주변 환경, 도체의 종류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5. 주의 사항
- 단위: 각 변수의 단위를 정확히 맞춰야 합니다.
- 근사값: 상수 0.356은 근사값이므로, 정확한 계산을 위해서는 관련 자료를 참고하여 적절한 값을 사용해야 합니다.
- 복잡한 회로: 복잡한 회로에서는 각 구간별로 전압 강하를 계산하여 합산해야 합니다.
●D24 다음 그림을 이용하여 아래 사항을 설명하시오
백터도를 이용하여 전압강하식을 유도
3상4선식 전압강하 계산식 e=0.0178*L*I/A[V]을 유도
★단거리 송전선로에서 송·수전단 전압의 크기의 관계를 부하전류와 선로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벡터도로 나타내고 수전단 전압이 개략적인 표현을 나타내시오.
★다음물음에 답하시오
1) 배전선로의 저항 R, 리액턴스 X, 송전단 상전압 Es , 수전단 상전압 Er , 부하전류 I, 역률각 Φ일 경우 등가회로 및 전압강하 벡터도를 작도하고, 다음 배전방식에 따른 선간 전압강하를 각각 구하시오.
① 단상 2선식
② 단상 3선식(중성선 전류=0)
③ 삼상 3선식
④ 삼상 4선식(중성선 전류=0)
2) 배전선로의 기준용량이 PB [kVA] 기준 합성 %임피던스가 %Z=%R+j%X 인 계통 에서 부하의 유효전력 P[kW] 무효전력 Q[kVar], 피상전력이 Pa [kVA]인 선로의 전압 강하율[%]를 % 임피던스법으로 구하시오.
전기기초(소자) AB
전압, 전류 (AC1)
기준충격절연강도(BIL)
전압강하 (LMD)
변위전류 (AE)
패란티 현상 (QVF)
단락전자력 (LMMS)
이상전압 및 대책 (BS)
코로나 (AG)(LP)
코로나(임계전압식 유도⁕)
전력계통의 안정도 (AG)
저항 임피던스 리액턴()
특성임피던스 ()
전력 역률
무효전력
최대전력전달
목차(전압강하 LMD)
전압강하
🌐V1006M24 / LMD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