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기 (JM)
직류전동기
BLDC모터
동기발전기
동기발전기(병렬운전)
동기전동기
동기전동기(기동방법)
동기기의 이상현상
유도전동기
유도전동기의 기동방식
유도전동기(속도제어)
전동기(제동법,역전법)
전동기(효율적 제어방식)
목차(직류전동기 JMA)
직류전동기
1️⃣직류전동기의 원리 및 구성

1)작동원리
직류 전동기는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서 힘 F에 의하여 코일 90°회전했을 때 브러시와 정류자의 작용에 의해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반대로 되고 이 코일에는 다시 동작한 방향의 힘 F가 계속해서 작용하여 코일은 반시계 방향으로 계속 회전
2)구성
- 계자(자석)
- 계자철심과 계자권선으로 이루어져 전자석을 만들고, 자속(자계)을 만들어 내는 역할
- 전기자
- 전기자 철심과 전기자 권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류를 공급해 주는 역할
- 정류자(커뮤테이터)
-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전기자 권선에 전류를 공급
- 브러시
- 외부 전력을 정류자에 기전력을 공급해 주는 역할
3)직류 전동기가 작동하는 과정
1.전류가 브러쉬와 정류자를 통해 회전자 코일에 공급됩니다.
2.코일에 흐르는 전류는 자기장과 상호 작용하여 회전자에 힘을 발생시킵니다.
3.이 힘에 의해 회전자가 회전합니다.
4.회전자가 회전하면서 정류자는 회전자 코일의 전류 방향을 주기적으로 바꿉니다.
5.이 과정을 통해 회전자가 지속적으로 회전하게 됩니다.
2️⃣직류전동기의 특징
- 광범위한 속도제어가 용이하며 속도제어를 하는 경우에도 효율이 좋음
- 기종 및 가속 토크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어 토크 효율이 좋음
- 유도전동기에 비해 고가
- 정류자와 브러시가 있기 때문에 정기적인 점검 및 보수가 필요
- 정류자를 갖고 있기 때문에 고속화나 고전압화에 제한
- 광범위하고 높은 정밀도의 속도제어가 가능하며, 여자 방식에 따라 다른 특성이 나타나기 때문에 부하에 대한 적응성이 뛰어남
- 기동 토크가 커서 가변속제어나 큰 기동 토크가 요구되는 용도에 사용
- 구조가 복잡하고 유지보수의 측면에서 불리
3️⃣직류전동기의 종류 특성


4️⃣직류전동기 속도제어 방식
1)저항에 의한 속도제어
- 원리
- 전기자 저항의 값을 조절하여 속도를 조절하는 방법
- 특징
- 저항 증가 시 동손이 증가하여 열손실이 증가
- 효율이 떨어짐
2)계자에 의한 속도제어
- 원리
- 계자에 형성된 자속의 값을 제어하여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
- 타여자의 경우 타여자 전원의 값을 조절하여 자속의 수를 증감
- 자여자 분권의 경우는 계자의 설치된 저항의 값을 변화하여 흐르는 계자전류의 값을 조절
- 특징
- 계자 저항에 흐르는 전류가 적어 전력손실도 적다
- 조작이 간편
- 세밀하고 안정된 제어가 가능
- 제어의 폭이 좁다는 단점
3)전압에 의한 속도제어
- 원리
- 전압의 값 V가 증가하여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
- 특징
- 설비의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
- 워드-레오너드 방식
- 부하의 변동이 거의 없을 경우(정부하)사용하는 방법
- 일그너방식
- 부하의 변동이 심할 경우 사용하며
- 부하의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기위해 무거운 쇠 추(플라이 휠)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 부하의 변동이 심한 대용량 압연기나 승강기 등에 사용
- 직,병렬제어법
- 정격이 같은 전동기를 직,병렬로 접속하여 전동기에 인가되는
- 전압을 단계적으로 나누어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이며,
- 직류직권 전동기의 속도제어를 위해 사용하는 방식
- 초퍼 제어법
- 반도체 사이리스터를 이용하여 직류전압을 직접 제어하는 방식으로
- 전기철도의 속도제어를 할 때 많이 사용
5️⃣주요 응용 분야
- 산업용: 승강기, 크레인, 컨베이어 벨트, 공작 기계 등
- 자동차: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구동 모터
- 가전제품: 선풍기, 믹서, 세탁기, 냉장고 등
- 의료기기: 인공호흡기, 투석기, 수술 로봇 등
전동기 (JM)
직류전동기
BLDC모터
동기발전기
동기발전기(병렬운전)
동기전동기
동기전동기(기동방법)
동기기의 이상현상
유도전동기
유도전동기의 기동방식
유도전동기(속도제어)
전동기(제동법,역전법)
전동기(효율적 제어방식)
목차(직류전동기 JMA)
직류전동기
💯기출문제
●A04.직류전동기의 동작원리와 특징 및 속도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직류전동기 JMA041️⃣)
1️⃣직류전동기의 원리 및 구성

1)작동원리
직류 전동기는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서 힘 F에 의하여 코일 90°회전했을 때 브러시와 정류자의 작용에 의해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반대로 되고 이 코일에는 다시 동작한 방향의 힘 F가 계속해서 작용하여 코일은 반시계 방향으로 계속 회전
2)구성
- 계자(자석)
- 계자철심과 계자권선으로 이루어져 전자석을 만들고, 자속(자계)을 만들어 내는 역할
- 전기자
- 전기자 철심과 전기자 권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류를 공급해 주는 역할
- 정류자(커뮤테이터)
-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전기자 권선에 전류를 공급
- 브러시
- 외부 전력을 정류자에 기전력을 공급해 주는 역할
3)직류 전동기가 작동하는 과정
1.전류가 브러쉬와 정류자를 통해 회전자 코일에 공급됩니다.
2.코일에 흐르는 전류는 자기장과 상호 작용하여 회전자에 힘을 발생시킵니다.
3.이 힘에 의해 회전자가 회전합니다.
4.회전자가 회전하면서 정류자는 회전자 코일의 전류 방향을 주기적으로 바꿉니다.
5.이 과정을 통해 회전자가 지속적으로 회전하게 됩니다.
2️⃣직류전동기의 특징
- 광범위한 속도제어가 용이하며 속도제어를 하는 경우에도 효율이 좋음
- 기종 및 가속 토크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어 토크 효율이 좋음
- 유도전동기에 비해 고가
- 정류자와 브러시가 있기 때문에 정기적인 점검 및 보수가 필요
- 정류자를 갖고 있기 때문에 고속화나 고전압화에 제한
- 광범위하고 높은 정밀도의 속도제어가 가능하며, 여자 방식에 따라 다른 특성이 나타나기 때문에 부하에 대한 적응성이 뛰어남
- 기동 토크가 커서 가변속제어나 큰 기동 토크가 요구되는 용도에 사용
- 구조가 복잡하고 유지보수의 측면에서 불리
3️⃣직류전동기의 종류 특성


4️⃣직류전동기 속도제어 방식
1)저항에 의한 속도제어
- 원리
- 전기자 저항의 값을 조절하여 속도를 조절하는 방법
- 특징
- 저항 증가 시 동손이 증가하여 열손실이 증가
- 효율이 떨어짐
2)계자에 의한 속도제어
- 원리
- 계자에 형성된 자속의 값을 제어하여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
- 타여자의 경우 타여자 전원의 값을 조절하여 자속의 수를 증감
- 자여자 분권의 경우는 계자의 설치된 저항의 값을 변화하여 흐르는 계자전류의 값을 조절
- 특징
- 계자 저항에 흐르는 전류가 적어 전력손실도 적다
- 조작이 간편
- 세밀하고 안정된 제어가 가능
- 제어의 폭이 좁다는 단점
3)전압에 의한 속도제어
- 원리
- 전압의 값 V가 증가하여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
- 특징
- 설비의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
- 워드-레오너드 방식
- 부하의 변동이 거의 없을 경우(정부하)사용하는 방법
- 일그너방식
- 부하의 변동이 심할 경우 사용하며
- 부하의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기위해 무거운 쇠 추(플라이 휠)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 부하의 변동이 심한 대용량 압연기나 승강기 등에 사용
- 직,병렬제어법
- 정격이 같은 전동기를 직,병렬로 접속하여 전동기에 인가되는
- 전압을 단계적으로 나누어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이며,
- 직류직권 전동기의 속도제어를 위해 사용하는 방식
- 초퍼 제어법
- 반도체 사이리스터를 이용하여 직류전압을 직접 제어하는 방식으로
- 전기철도의 속도제어를 할 때 많이 사용
전동기 (JM)
직류전동기
BLDC모터
동기발전기
동기발전기(병렬운전)
동기전동기
동기전동기(기동방법)
동기기의 이상현상
유도전동기
유도전동기의 기동방식
유도전동기(속도제어)
전동기(제동법,역전법)
전동기(효율적 제어방식)
목차(직류전동기 JMA)
직류전동기
🌐V1008B24 / JMA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