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 그리드
개요
- 소규모 지역에서 자체적으로 전기를 생산, 저장, 소비는 새로운 개념의 전력 시스템을 의미한다
- 어떠한 형태의 에너지원도 마이크로 그리드에 연결이 가능해야 하고 계통에 영향을 주어서는 안된다
- 기존 전력 계통과 연계 또는 독립 운영이 가능하다
마이크로 그리드
1)독립형 마이크로 그리드
- 전남 가사도에 설치 운영되고 있다
- ESS를 이용 시 계통연계보다 경제적일 경우에 해당된다
- 소규모 전력망에 적용된다
2)연계형 마이크로 그리드
- 중간규모 전력망에 적용된다
- 독립형보다 안정적이다.
마이크로 그리드 구성
1)계통 연계형
2)마이크로 그리드 EMS
3)에너지 저장장치
- 생산 수요 시간의 불일치로 이하여 에너지 저장장치필요(주파수보상등에 사용)
- 전지형태 리튬, 수소 등
- 열형태 : 빙축열, 흡수식 냉동기
4)전력품질 보상장치
5)분산전원
- 신재생 에너지 : 풍력, 태양광, 연료전지,소수력 등
- 디젤, 가스터빈 : 열병합
6)PCU(PowerConditioningUnit)
- 인버터에 의해 DC-AC 변환
- 배전선로의 전압과 공급되는 전압의 동기화
- 계통연계 보호장치를 포함
마이크로 그리드 기능
- 에너지 이용 극대화 : 신재생, 저장장치
- 신재생 에너지 이용 : 송전손실 경감
- 전력 품질개선 : 전압, 주파수 보상, 무정전 공급
- 계통 연계 단순화 : 어떤 에너지원도 1점 접속
- 에너지 거래 : 잉여전력 판매
- 통합 정보망 이용 : 수용가, 전력사업자, 기기 제작사
마이크로 그리드 구현방안
1)마이크로 그리드 Islanding상황 시
2)마이크로 그리드 전원복구 시
결론
- 지역단위의 마이크로 그리드 운영을 통하여 기술을 축적하고 이를 연계하여 범국가적인 스마트그리드를 완성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