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20년기출C
에너지 20년기출C
1️⃣ 기수분리기 ☑️B1
수관식 보일러 기수드럼에 부착하여 송수관을 통하여 상승하는 증기 속에 혼입된 수분을 분리하는
►기수분리기의 종류 4가지를 쓰시오.
O6 기수분리기(종류)
- 사이클론형 : 원심 분리기를 사용,
- 스크러버형 : 파형의 다수 강판을 조합한것,
- 건조스크린형 : 금속망판을 이용한 것,
- 배플형 : 급격한 방향 전환을 이용한 것,
- 다공판형
2️⃣ 자동제어(시퀀스,피드백,인터록) J1
보일러 자동제어 중 시퀀스 제어를 설명하시오
J2 자동제어(시퀀스,피드백,인터록)
❶ 시퀀스 제어 : 미리 정해진 순서에따라 다음 동작이 연속으로 이루어지는 제어로 자동판매기, 보일러의 점화 등이 있다. ❷ 피드백 제어 : 제어량의 크기와 목표값을 비교하여 그 값이 일치하도록 되돌림 신호를 보내어 수정동작을 하는 제어방식 ❸ 인터록제어 : 보일러의 안전한 운전을 위하여 어떤 일정한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다음 단계의 동작이 작동하지 못하도록 저지하는 제어방식
3️⃣ 과열기 ☑️B2
| 효불효연 공기예열 장단 | 20C03 | 23C04 | ||
| 열불응연 절탄기 장 | 16A02 | 20A01 | 18A10 | 23c08 |
| 과열기 장단 | 17A02 | 23b08 | 19b03 | 21b02 |
| 20D03 | ||||
| 조절 | 18A08 | 18B06 | ||
| 명칭 | 19C01 | 20B03 | 18C03 | 17C05 |
| 24c02 | ||||
| 계산 | 23B10 |
보일러에서 발생한 습포화증기를 가열하여 압력은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증기 온도만을 올려서 과열증기를 만드는 장치를 설치 사용했을 때의 단점 4가지를 쓰시오.
B5 과열기
1)과열증기 사용 시의 단점
- 가열 표면의 일정 온도를 유지하기 곤란하다
- 가열장치에 큰 열응력이 발생한다
- 직접 가열 시 열손실이 증가한다
- 높은 온도로 인하여 제품의 손상 우려가 있다
- 과열기 표면에 고온부식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2)과열증기 사용 시의 장점
- 열효율이 증가한다
- 수격작용을 방지한다
- 관내 마찰저항이 감소한다
- 적은 증기로 많은 열을 얻을 수 있다
- 장치 내 부식을 방지한다
4️⃣ 자동제어 J1
자동제어 연속 제어동작 중 비례동작의 특징 4가지를 설명하시오.
J1 자동제어(비례동작의 특징)
- 동작신호에 대하여 조작량의 출력변화가 일정한 비례관계에 있는 제어동작이다.
- 외란이 있으면 잔류편차(off set)가 발생한다
- 반응온도 제어 보일러 수위제어 등과 같이 부하 변화가 작은 곳에 사용된다.
- 비례대를 좁게 하면 조작량(밸브의 움직임)이 커진다.
- 비례대가 좁게 되면 2위치 동작과 같게 된다.
5️⃣ 기체연료 F
기체 연료를 연소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비정상적인 연소상태 4가지를 쓰시오.
기체 연료 연소 시 발생되는 이상 현상
- 역화(back fire) : 가스의 연소속도가 염공에서의 가스 유출속도보다 크게 됐을 때 불꽃은 염공에서 버너 내부에 침입하여 노즐의 선단에서 연소하는 현상이다.
- 선화(lifting) : 염공에서의 가스의 유출속도가 연소속도보다 커서 염공에 접하여 연소하지 않고 염공을 떠나 공간에서 연소하는 현상이다.
- 블로우 오프(blow off) : 불꽃 주변 기류에 의하여 불꽃이 염공에서 떨어져 연소하는 현상
- 엘로 팁(yellow tip) : 불꽃의 끝이 적황색으로 되어 연소하는 현상으로 연소반응 이 충분한 속도로 진행되지 않을 때, 1차 공기량이 부족하여 불완전연소가 될때 발생한다.
6️⃣ 증기보일러 A
증기 보일러에서 수부가 클때 나타나는 현상 5가지를 쓰시오
- 부하변동에 대한 압력 변화가 적다
- 건조증기를 얻기 어렵다
- 동체 파열사고시 피해가 크다
- 증기발생 시간이 길어진다
- 캐리오버현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7️⃣수관보일러 ☑️A1
►강제 순환식 수관보일러 종류 2가지를 쓰시오.
A2 수관보일러
❶ 자연순환식 : 보일러수의 비중량차에 의하여 자연순환하는 형식
❷ 강제순환식 : 순환펌프를 설치하여 보일러수를 강제로 순환시키는 형식 (라몬트, 벨록스)
❸ 관류식 : 증기드럼 폐지하고 긴관을 제작, 구성하여 관의 한 끝에서 펌프로 압송된 물을 가열, 증발, 과열의 과정을 거쳐 증기가 발생되는 형식
8️⃣ 슈트블로 ☑️P1
►슈트 블로(soot blow)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보일러 전열면 외측 또는 수관 주위에 부착된 그을음이나 연소 잔재물등을 증기나 공기를 분사시켜 제거하여 연소열 흡수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장치이다.
9️⃣ 전열면적(수관) ☑️B7
외경 76[㎜], 내경 68[㎜], 유효길이 4500[㎜]인 수관 96개로 이루어진 수관식 보일러에서 전열면적 1[㎡]당 증발랑이 26.1[kg/h]일 때 전열면적[㎡]과 시간당증발량[kg/h]을 각각 구하시오. (단, 수관 이외의 전열면적은 무시한다.)
B7 전열면적(수관)
시간당 증발량계산
🔟 건연소가스량 G4
보일러 연소장치에 과잉공기 30[%]가 필요한 연료를 완전연소할 경우 이론 건연소 가스량[N㎥/kg]은 얼마인가?
(단, 연료의 이론공기량 10.7[N㎥/kg], 이론건연소가스량 11.4[N㎥/kg]이다.)
G5 건연소가스량(Gd)
1️⃣1️⃣ 증발량 ☑️C2
전열면적 400[㎡]인 수관보일러에서 저위발열량이 28.25[MJ/kg)인 석탄을 매시간 1580[kg]을 연소시켜 2.5[MPa], 340[℃]인 과열증기를 시간당 1200[kg]발생시킨다. 급수온도가 25[℃] 환산증발량[kg/h]과 보일러 효율[%]을 계산하시오.
(단, 25[℃] 급수엔탈피는 0.105[MJ/kg], 340[℃] 과열증기 엔탈피는 2.62[MJ/kg], 100 [℃] 물의 증발잠열은 2.257[MJ/kg]이다.)
C2 상당증발량, 환산증발량
►환산증발량계산
C4 보일러효율
►보일러효율
1️⃣2️⃣ 전도열계산 ☑️D7
| 17B14 | 17C12 | 18B11 | 20C17 | |
| 중간온도 | 16B12 | 19A12 | 20A12 | |
| 22A07 | 16C11 | |||
| 중공원통 | 18C13 | 19C12 | 21B11 | |
| 다층벽 | 22B18 | 21A18 | 20D12 | 23B12 |
| 구형용기 | 22C13 | 16A14 | 24B17 | |
| 스케일 | 16C09 | 20D16 |
단열재의 전후 양쪽에 두게 30[mm]의 금속판으로 구성된 일반 냉동창고의 내부온도는 -25℃로 유지되고 있고 이때의 외기온도는 22℃이다 냉동창고 외부면의 온도가 19℃ 미만이될 때 수분이 응축되어 이슬이 맺힌다고 가정할 때 다음의 자료를 이용하여 냉동창고의 외벽면에 대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이슬이 맺히지 않도록 하기 위한 단열재의 최소두께 를 구하시오
- 대류 열전달율
벽내측 7.7[W/m·℃] 벽외측 15.5[W/m·℃] - 열전도율
금속판 17.5[W/m·℃] 단열제 0.033[W/m·℃]
D7 열전도율계산
b 벽의두께, λ 열전도율, F 표면적
1️⃣3️⃣ 대수온도차 ☑️E3
병행류 열교환기에서 고온 유체가 90[℃]로 들어가 50[℃]로 나오고, 이와 열교환되는 유체는 20[℃] 에서 40[℃]까지 가열되었다. 열관류율이 58.125[W/㎡·℃]이고, 전열량이7096[W] 일 때 이 열교환기의 전열면적[㎡]은 얼마인가?
E3 대수온도차
1️⃣4️⃣ 집진효율
열병합발전소에서 배기가스를 사이클론에서 전처리하고 전기집진장치에서 먼지를 제거하고 있다. 사이클론 입구, 전기집진장치 입구와 출구에서의 먼지 농도가 각각 95, 10, 0.5일때 종합진진율을 구하시오
1️⃣5️⃣ 연소량계산
C8H18 1몰을 과잉공기비 150%로 완전연소할 때에 대한 물음에 답하시오.
(1) 공연비(air fuel ratio)는 얼마인가?
(2) 배기가스 중 CO2, H2O, N2, O2 몰(mol) 비율[%]은 각각 얼마인가?

1️⃣6️⃣ 전도열계산 ☑️D7
| 17B14 | 17C12 | 18B11 | 20C17 | |
| 중간온도 | 16B12 | 19A12 | 20A12 | |
| 22A07 | ||||
| 중공원통 | 18C13 | 19C12 | 21B11 | |
| 다층벽 | 22B18 | 21A18 | 20D12 | |
| 구형용기 | 22C13 | 16A14 | 24B17 | |
| 스케일 | 16C09 | 20D16 |
►두께 20[㎜]강관에 스케일이 3[㎜] 부착하였을 때 열전도 저항은 초기상태인 강관의 몇 배에 해당되는가?
(단, 강관의 열전도율은 40[W/m·K]스케일의 열전도율은 2[W/m·K]이다.)
D8 다층벽 열전도열 계산
1️⃣7️⃣ 축동력계산
내경 20[cm]인 원형관에 비중 0.9인 액체가 펌프에서 토출압력 120[kPa] 속도 2[m/s]로 5[m] 높이로 송출 되고 있다. 흡입으로부터 최종 토출구까지 수평거리 15[m], 흡입측에 설치된 연성계의 압력은 완전진공 상태일 때 축동력[kW]을 계산하시오.
(단 펌프의 효율은 90[%], 대기압은 101[kPa] 관마찰계수는 0.02, 엘보 및 밸브의 관상당길이는 각각 1.5, 2이고 관로에는 토출측 밸브만 있는 것으로 가정하고 주어지지 않은 조건은 무시한다)
송출유량 계산
전양정 계산
축동력 계산

1️⃣8️⃣ 폐열회수계산 ☑️B3
과열기 출구압력 10[MPa], 온도 450[℃] 인 증기를 공급받아 처음에 포화증기가 될때까지 고압 터빈에서 단열팽창을 시킨 다음 추기하여 추가한 압력 밑에서 처음의 온도까지 재열(reheating)한 다음 저압 터빈에 다시 유입시켜 4[kPa]까지 단열팽창시키는 사이클에서 시간당 증기 소비량이 500[kg]일 때 터빈 출력[kW]을 계산하시오.
(단, 과재열기 출구 엔탈피(h₄) 3259.2[kJ/kg], 고압 터빈에서 단열팽창 후 엔탈피(h₃) 2801.4[kJ/kg], 재열기 출구 엔탈피(h₂) 3372.6[kJ/kg], 저압 터빈에서 단열팽창 후 엔탈피(h₅) 2247[kJ/kg], 복수기에서 정압방열 후 엔탈피(h₆) 120.33[kJ/kg], 4[kPa]에서의 포화수 비체적은 0.001004[m³/kg]이다.)
터빈출력계산

단위변환
고압터빈 출력
단, H1-H2=3372.6kj/kg(재열기 출구온도에서 일전온도로 가열했으므로)
저압터빈 출력
전체터빈
고압터빈 출력
단, H1-H2=3372.6kj/kg(재열기 출구온도에서 일전온도로 가열했으므로)
저압터빈 출력
전체터빈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