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관리 측면에서의 에너지 절약대책


전력관리 측면에서 에너지 절약을 위한 착안사항으로는 부하관리계획, 역률관리계획, 전압관리계획으로 나누어 생각

전력관리측면 에너지 절약

1)부하관리계획

  • 부하율의 개선
    • 부하율 개선방법 : 최대 전력 발생요인을 찾아 그 원인이 되는 생산적인 상황의 개선, 부하의 일부를 다른시간대로 이동하는 방법으로 개선
    • 부하율 개선효과
      • 수전설비용량 감소로 설비비 및 전력기본요금 절감
      • 변압기, 배선 등의 손실감소
      • 최대 전력저하로 변압기 용량 여유 발생
\[부하율=\frac{기간 중의 평균전력}{기간 중의 최대전력}\times 100[\%]\]
  • 최대 전력관리
    • 계약전력 : 수용률을 적절히 산정하여 최대 전력을 조정함으로 써 계약전력 조정
    • 최대 전력의 관리방법
      • 수용전력계의 설치 : PeakCut, PeakShift, 자가발전기 가동, ProgramControl 등으로 최대전력 관리
      • 최대 전력의 억제(DemandControl) : 단시간 정지시킬 수 있는 설비를 미리 선택하여 수요전력 초과 염려가 있는 경우 일시 정지함으로서 최대 전력 억제

2)역률관리계획

  • 구내 역률을 높일 것
  • 부하의 종합역률이 낮으면 전로 전압강하, 설비의 유효한 이용 불가능, 전력손실 증가 등으로 전력 요금이 높아지므로 부하에 병렬콘덴서를 사용하여 역률 개선
  • 역률개선 효과
  • 전력요금의 경감
  • 변기, 배전선의 손실경감
  • 설비용량의 여유도 증가
  • 전압강하의 개선

3)전압관리계획

  • 적정전압의 유지
    • 기기의 효율은 정격전압에서 사용할 때 가장 좋다
    • 적정전압유지 방법
      • 부하 시 탭변환 변압기 사용
      • 적정회로 전압선정
      • 적정한 전원분할 계획
  • 전압변동의 최소화
    • 변압기 용량을 충분히 할 것
    • 배전선의 굵기를 충분히 할 것
    • 간선 분할을 적절히 할 것
    • 배선 말단에 콘덴서 설치로 무효전력 억제
  • 전압 불평형의 시정
    • 불평형 발생 원인
      • 큰 단상부하
      • 3상 불평형 부하
    • 불평형 발생 결과
      • 역상 전류가 흐르고 역상 토크 발생
      • 동손 및 철손 증가
      • 온도 상승, 소음 상승
      • 효율저하
    • 대책
      • 가장 불평형이 작은 결선 방법 사용 : 단상3선식
      • 단상 결선 시 부하 분담 개선

결론

  • 전력관리 측면에서의 에너지 절약 적용기술을 요약하면
  • 역률관리에서는 진상용 콘덴서 설치, 콘덴서 설치 위치는 가급적 말단에 분산적용, 역률자동제어 장치 적용하므로 에너지를 극대화
  • 부하관리 측면에서의 에너지 절약은 수용전력계를 설치하여 전력을 관리하고, 최대 전력억제(DM)장치를 설치하여 개선
  • 전압관리 계획에서는 전기부하설비에 알맞는 정격전압을 공급하여 에너지를 절약
전원설비
수변전설비의 에너지 절약설계방안
전력관리 측면에서의 에너지 절약대책
수용가 공정개선에 의한 전력제어 방법
Demand Control 방식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