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전지 설비 (GB)
목차(축전지 자기방전 GBD)
축전지 자기방전
1️⃣자기방전이란
축전기에 축전되어 있던 전기에너지가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저절로 없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원인은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거나 전해액에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
2️⃣자기방전의 원인
1)온도
- 온도 상승: 25℃까지는 자기방전률이 직선적으로 증가하며, 그 이상에서는 가속화
2)불순물
- 금속 이온: 은(Ag), 구리(Cu), 니켈(Ni) 등이 전극 표면에 부착되면 국부 전지가 형성되어 방전 가속화
- 산성 불순물: 질산(HNO₃), 염산(HCl) 등이 전해액에 혼입될 경우 화학 반응 촉진
3)전극 재료 열화
- SEI 피막 성장: 납축전지 음극 표면의 황산연(PbSO₄) 피막이 두꺼워지면 내부 저항 증가 및 자가 방전 증대
- 그리드 합금: 안티몬(Sb)이 포함된 그리드는 수소 발생을 촉진해 자기방전률 상승
3️⃣자기방전의 특성
- 연축전지는 알칼리 축전지에 비해 자기방전량이 많다
- 오래된 축전지는 새 축전지에 비해 자기방전량이 많다
- 연축전지는 전해액의 비중이 클수록 자기방전량이 증가
- 자기방전량은 일반적으로 20[%]정도이다.
4️⃣자기방전량
\[자기방전량=\frac{C_1+C_3-2C_2}{T(C_1+C_3)}\times100[\%]\]
C₁ : 방치 전 만충전용량[AH]
C₂ : T기간(일) 방치 후 충전 없이 방전한 용량[AH]
C₃ : C₂ 와 같이 방전 후 만충전하여 방전한 용량[AH]
축전지 설비 (GB)
목차(축전지 자기방전 GBD)
축전지 자기방전
💯기출문제
○D09 축전지의 자기방전에는 여러원인이 있다. 원인별로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자기방전의 원인 GBD09 2️⃣)
자기방전의 원인
① 온도 영향
- 온도 상승: 25℃까지는 자기방전률이 직선적으로 증가하며, 그 이상에서는 가속화됩니다
② 전해액 불순물
- 금속 이온: 은(Ag), 구리(Cu), 니켈(Ni) 등이 전극 표면에 부착되면 국부 전지가 형성되어 방전 가속화
- 산성 불순물: 질산(HNO₃), 염산(HCl) 등이 전해액에 혼입될 경우 화학 반응 촉진
③ 전극 재료 열화
- SEI 피막 성장: 납축전지 음극 표면의 황산연(PbSO₄) 피막이 두꺼워지면 내부 저항 증가 및 자가 방전 증대
- 그리드 합금: 안티몬(Sb)이 포함된 그리드는 수소 발생을 촉진해 자기방전률 상승
○D11 축전지 설비의 자기방전의 의미와 원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자기방전 GBD091️⃣)
1️⃣자기방전이란
축전기에 축전되어 있던 전기에너지가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저절로 없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원인은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거나 전해액에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모범답안(자기방전의 원인 GBD092️⃣)
자기방전의 원인
① 온도 영향
- 온도 상승: 25℃까지는 자기방전률이 직선적으로 증가하며, 그 이상에서는 가속화됩니다
② 전해액 불순물
- 금속 이온: 은(Ag), 구리(Cu), 니켈(Ni) 등이 전극 표면에 부착되면 국부 전지가 형성되어 방전 가속화
- 산성 불순물: 질산(HNO₃), 염산(HCl) 등이 전해액에 혼입될 경우 화학 반응 촉진
③ 전극 재료 열화
- SEI 피막 성장: 납축전지 음극 표면의 황산연(PbSO₄) 피막이 두꺼워지면 내부 저항 증가 및 자가 방전 증대
- 그리드 합금: 안티몬(Sb)이 포함된 그리드는 수소 발생을 촉진해 자기방전률 상승
○D12 축전지 이상현상의 대표적인 두가지 현상을 설명하시오
1)자기방전현상
2)설페이션현상
모범답안(축전지이상현상 GBD12)
○자기방전현상, 설페이션현상
- 극판의 백색으로 변하거나 표면에 백색반점이 생기는데 이를 황산화현상
- 황산화 작용으로 극판이 하앟게 불활성 물질로 덮이는 현상
- 방전상태로 오래두거나 충전부족 상태로 장시간 사용한 경우
- 전해액 부족이 극판이 공기중에 노출된경우
- 비중이 과다하거나 불순물이 많은경우
○136 09 축전지의 자기방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축전지 자기방전GBD)
1️⃣자기방전이란
축전기에 축전되어 있던 전기에너지가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저절로 없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원인은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거나 전해액에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1. 자기방전의 주요 원인
① 온도 영향
② 전해액 불순물
- 금속 이온: 은(Ag), 구리(Cu), 니켈(Ni) 등이 전극 표면에 부착되면 국부 전지가 형성되어 방전 가속화256.
- 산성 불순물: 질산(HNO₃), 염산(HCl) 등이 전해액에 혼입될 경우 화학 반응 촉진47.
③ 전극 재료 열화
- SEI 피막 성장: 납축전지 음극 표면의 황산연(PbSO₄) 피막이 두꺼워지면 내부 저항 증가 및 자가 방전 증대16.
- 그리드 합금: 안티몬(Sb)이 포함된 그리드는 수소 발생을 촉진해 자기방전률 상승68.
2. 자기방전 특성
- 연축전지는 알칼리 축전지에 비해 자기방전량이 많다
- 오래된 축전지는 새 축전지에 비해 자기방전량이 많다
- 연축전지는 전해액의 비중이 클수록 자기방전량이 증가한다
- 자기방전량은 일반적으로 20[%]정도이다.
4. 방지 대책
- 온도 관리: 20~25℃ 유지, 냉각 시스템 설치26.
- 순도 관리: 전해액 불순물 제거(은 < 0.001%, 구리 < 0.002%)57.
- 정기 충전: 3개월마다 보충충전 실시48.
- 신규 전지 사용: 오래된 전지(3년 이상)는 교체57.
자기방전은 축전지의 에너지 효율과 수명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로, 온도·순도 관리와 주기적 유지보수가 필수적입니다.
Citations:
- https://blog.naver.com/jsrhim516/221281538623
- http://ftz.myds.me/wordpress/%EC%B6%95%EC%A0%84%EC%A7%80%EC%9D%98-%EC%9E%90%EA%B8%B0%EB%B0%A9%EC%A0%84/
- https://www.youtube.com/watch?v=Jhh9j_yZbVw
- https://bigonemoon.tistory.com/300
- https://cq4l.com/%EC%B6%95%EC%A0%84%EC%A7%80-%EC%9E%90%EA%B8%B0%EB%B0%A9%EC%A0%84/
- https://hiokikorea.com/battery_web/file/A_UG_BT0002K01.pdf
- https://idchowto.com/%EC%B6%95%EC%A7%84%EC%A7%80%EC%9D%98-%EC%9E%90%EA%B8%B0%EB%B0%A9%EC%A0%84self-discharge/
- https://www.inotech.co.kr/m/board.html?code=inotech_board2&page=1&type=v&board_cate=10&num1=999945&num2=00000&number=12&lock=N
- http://jwkang7.wo.to/pds02/209.htm
모범답안(자기방전량 GBD4️⃣)
4️⃣자기방전량
\[자기방전량=\frac{C_1+C_3-2C_2}{T(C_1+C_3)}\times100[\%]\]
C₁ : 방치 전 만충전용량[AH]
C₂ : T기간(일) 방치 후 충전 없이 방전한 용량[AH]
C₃ : C₂ 와 같이 방전 후 만충전하여 방전한 용량[AH]
축전지 설비 (GB)
목차(축전지 자기방전 GBD)
축전지 자기방전
🌐0521P25 / GBD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