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축전지 자기방전 GBD)
축전지 자기방전
1️⃣자기방전이란
축전기에 축전되어 있던 전기에너지가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저절로 없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원인은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거나 전해액에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2️⃣자기방전의 원인
1)온도
- 온도가 높을수록 자기방전량이 증가한다. 대개 25[℃] 까지는 직선적으로 증가하고 온도가 그 이상이 되면 가속적으로 증가한다
2)불순물
- 은, 구리, 백금, 바륨, 니켈, 안티몬, 염산, 질산 등의 불순물이 양극 또는 음극 표면에 접착되어 있으면 자기방전이 현저하게 증가한다
3️⃣자기방전의 특성
- 연축전지는 알칼리 축전지에 비해 자기방전량이 많다
- 오래된 축전지는 새 축전지에 비해 자기방전량이 많다
- 연축전지는 전해액의 비중이 클수록 자기방전량이 증가한다
- 자기방전량은 일반적으로 20[%]정도이다.
4️⃣자기방전량
\[자기방전량=\frac{C_1+C_3-2C_2}{T(C_1+C_3)}\times100[\%]\]
C₁ : 방치 전 만충전용량[AH]
C₂ : T기간(일) 방치 후 충전 없이 방전한 용량[AH]
C₃ : C₂ 와 같이 방전 후 만충전하여 방전한 용량[AH]
목차(축전지 자기방전 GBD)
축전지 자기방전
💯기출문제
○D09 축전지의 자기방전에는 여러원인이 있다. 원인별로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자기방전의 원인 GBD09)
온도
온도가 높을 수록 자기방전량이 증가한다. 대개 25도 까지는 직선적으로 증가하고 온도가 그이상이 되면 가속적으로 증가한다.
불순물
은 구리 백금 바륨 니켈 안티몬 염산 질산 등의 불수물이 양극 또는 음극 표면애 접착되어 있으면 자기방전이 현저하게 증가한다.
○D11 축전지 설비의 자기방전의 의미와 원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자기방전의 원인 GBD09)
1️⃣자기방전이란
축전기에 축전되어 있던 전기에너지가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저절로 없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원인은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거나 전해액에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2️⃣자기방전의 원인
1)온도
- 온도가 높을 수록 자기방전량이 증가한다. 대개 25도 까지는 직선적으로 증가하고 온도가 그이상이 되면 가속적으로 증가한다.
2)불순물
- 은 구리 백금 바륨 니켈 안티몬 염산 질산 등의 불수물이 양극 또는 음극 표면애 접착되어 있으면 자기방전이 현저하게 증가한다.
○D12 축전지 이상현상의 대표적인 두가지 현상을 설명하시오
1)자기방전현상
2)설페이션현상
모범답안(축전지이상현상 GBD12)
○자기방전현상, 설페이션현상
- 극판의 백색으로 변하거나 표면에 백색반점이 생기는데 이를 황산화현상
- 황산화 작용으로 극판이 하앟게 불활성 물질로 덮이는 현상
- 방전상태로 오래두거나 충전부족 상태로 장시간 사용한 경우
- 전해액 부족이 극판이 공기중에 노출된경우
- 비중이 과다하거나 불순물이 많은경우
목차(축전지 자기방전 GBD)
축전지 자기방전
🌐1003P24 / GBD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