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압기종류 (T1)
B 변압기 원리 종류별 특징
M 몰드변압기
A 아몰퍼스 변압기
H 하이브리드 변압기
U 단권변압기
S 초전도변압기
C 콘덴서형 계기용 변압기
T 3권선 변압기
I 1대1변압기
N 노이즈 대책 변압기
목차(몰드변압기 T1M)
몰드변압기

❗몰드 변압기란?
- 몰드 변압기는 권선과 철심을 에폭시 수지로 몰딩하여 제작된 변압기
- 에폭시 수지는 높은 절연성과 기계적 강도를 가지고 있어 외부 충격이나 환경 변화에 강하며, 습기 침투를 방지하여 장기간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
1️⃣제작방법의 종류
1)진공 주형법
- 원리
- 금형을 이용하여 진공 상태에서 절연하는 것으로 1차, 2차 코일에 각각 권선, 철심에 동심상으로 분리 배치하는것
- 특징
- 냉각효과가 우수
- 사고 발생 시 1차, 2차 코일의 단독 교체가 가능
- 온도 변화 및 과부하 시 크렉 발생 가능성이 작다
- 내습성 및 내절연성이 우수
- 외관이 미려
- 가격이 비싸다
2)함침법
- 원리
- 미리 권선 주위에 클래스 클로스 등을 감아서 수지를 함침하는 방법
- 특징
- 금형을 사용하여 않아 설계가 용이
- 에폭시 수지 층에 앏아 내습성, 내절연성이 약하다
- 주형방식에 비해 전기전 강도가 약하다
- 권선 표면 오염시 보수 점검이 다소 곤란
- 기포와 이물직의 혼입 가능성이 크다
- 권선 사고 시 1차, 2차 코일의 단독 교체가 불가능
2️⃣장점
1)강한 권선구조
- 권선은 내열성이 강한 유리섬유로 보강하고 에폭시수지로 고진공하에 주형제작
- 주형된 권선은 단락에 의한 전자기계력에 강하고 단락강도가 큼
- 단시간 과부하 내량이 크다
2)높은 절연내력
- 권선 표면은 에폭시수지 층으로 고절연내력이 있다
3)우수한 난연성
- 에폭시 수지는 무기물의 충진제가 혼입
- 권선 내부에 아크가 발생해도 발화하지 않고 화재발생시 자기소화의 난연성이 있다.
4)안정적인 절연성능
- 물리적, 전기적 특성이 우수
- 주위의 습기, 먼지 등에 영향이 없다
5)컴팩트화, 보수점검의 간편화
- 컴팩트한 진공주형으로 권선제작
- 유입변압기에 비해 중량, 크기가 축소되어 보수가 용이
- 설치공간이 1/3로 감소
6)저소음 저손실
공냉식으로 냉각되므로 중, 대형에서 유입변압기에 비해 손실이 적으며 H종 건식변압기에 비해 약 10dB 정도 낮은것이 특징
7)유지보수 및 설치 용이
간단한 구조로 인해 해체 및 조립이 간단하며 절연유가 필요 없으므로 유지보수에 용이 한 것이 특징
3️⃣단점
1)BIL이 유입식에 비하여 낮다
2)유입식 변압기에 비해 가격이 비쌈
3)통전부가 외부로노출되어 있어 감전위험존재
4)옥외설치 불가
5)서지와 같은 이상전압에 대한 대책 필요
6)폐기시 재사용 불가능
4️⃣몰드 변압기 열화
1)주요 원인
- 열적 스트레스:
- 주변 온도 상승: 주변 온도가 높아지면 에폭시 수지의 열화 속도가 빨라짐
- 발열: 변압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발열은 에폭시 수지의 수명을 단축
- 전기적 스트레스:
- 과전압: 과도한 전압은 에폭시 수지의 절연 파괴를 유발할 수 있다.
- 부분 방전: 변압기 내부에 공기 방울이나 이물질이 존재할 경우 부분 방전이 발생하여 절연을 열화시킴
- 기계적 스트레스:
- 진동: 외부 충격이나 진동은 에폭시 수지의 균열을 발생시켜 절연 성능을 저하
- 환경적 요인:
- 습기: 습기는 에폭시 수지의 흡수를 유발하여 절연 저하를 일으킴
- 오염: 먼지나 기타 오염 물질은 에폭시 수지 표면에 부착되어 절연 성능을 저하
2)열화의 특징
- 점진적인 열화: 몰드 변압기의 열화는 급격하게 진행되는 경우는 드물고, 대부분 점진적으로 진행
- 가시적인 변화 부재: 초기 단계에서는 외부에서 보기에 특별한 이상 징후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 절연 저하: 열화가 진행됨에 따라 절연 저항이 감소하고 유전체 손실이 증가
- 부분 방전 발생: 열화가 진행되면 부분 방전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짐
- 수명 단축: 열화가 지속되면 변압기의 수명이 단축되고 고장 발생 확률이 높아짐
3)열화 진단 방법
- 절연 저항 측정: 절연 저항이 기준치 이하로 감소하면 열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
- 유전체 손실 측정: 유전체 손실이 증가하면 절연 상태가 악화되었음을 나타냄
- 부분 방전 측정: 부분 방전을 측정하여 열화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 온라인 진단: 온라인 상태에서 변압기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이상 징후를 조기에 감지
5️⃣몰드 변압기 관리
- 온라인 진단 시스템 도입:
- 온라인 진단 시스템을 도입하여 변압기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이상 징후를 조기에 감지
- 정기적인 점검:
- 주기적인 점검을 통해 변압기의 상태를 확인하고 이상 징후를 조기에 발견
- 온도 관리:
- 주변 온도를 낮추고 변압기 내부의 발열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
- 청결 유지:
- 변압기 주변을 청결하게 유지하여 먼지나 오염 물질로 인한 절연 저하를 방지
- 부분 방전 방지:
- 변압기 설계 시 부분 방전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
1)일상점검방법
- 소음 또는 진동 발생시
- 공진조건 제거하기, 안정하게 설치하기(떨림 없도록),볼트 너트 조임 확인하기 등
- 냄새
- 과부하로 인한 온도 상승으로 냄새 발생가능성이 유력하므로 부하 저감하기 등
- 온도
- 이상 저온 또는 고온 시에는 계기 불향 확인하기(온도계점검), 과열발생시 부하저감 또는 상간 균형 확인하기
- 외관
- 과열로 인한 변색의 경우 부하저감하기 및 연마, 재도금하기, 먼지제거하기
2)정기점검 방법
- 권선 절연재: 먼지청소하기
- 철심:
- 먼지청소하기
- 발청 부식일 경유 규정된 도료로 보수하기, 빗물 또는 물방울 부착결로 발생시 방수시설 대책 강구
- 통전부 볼트 및 너트 조임
- 권선지지물
- 스페이서 제자리 이탈 시 제조자와 상의하여 처리하기
변압기종류 (T1)
B 변압기 원리 종류별 특징
M 몰드변압기
A 아몰퍼스 변압기
H 하이브리드 변압기
U 단권변압기
S 초전도변압기
C 콘덴서형 계기용 변압기
T 3권선 변압기
I 1대1변압기
N 노이즈 대책 변압기
목차(몰드변압기 T1M)
몰드변압기
💯기출문제
○M59 몰드변압기의 열화과정및 특성(T3)
모범답안(몰드변압기의 열화 T1M594️⃣)
4️⃣몰드 변압기 열화
1)주요 원인
- 열적 스트레스:
- 주변 온도 상승: 주변 온도가 높아지면 에폭시 수지의 열화 속도가 빨라짐
- 발열: 변압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발열은 에폭시 수지의 수명을 단축
- 전기적 스트레스:
- 과전압: 과도한 전압은 에폭시 수지의 절연 파괴를 유발할 수 있다.
- 부분 방전: 변압기 내부에 공기 방울이나 이물질이 존재할 경우 부분 방전이 발생하여 절연을 열화시킴
- 기계적 스트레스:
- 진동: 외부 충격이나 진동은 에폭시 수지의 균열을 발생시켜 절연 성능을 저하
- 환경적 요인:
- 습기: 습기는 에폭시 수지의 흡수를 유발하여 절연 저하를 일으킴
- 오염: 먼지나 기타 오염 물질은 에폭시 수지 표면에 부착되어 절연 성능을 저하
2)열화의 특징
- 점진적인 열화: 몰드 변압기의 열화는 급격하게 진행되는 경우는 드물고, 대부분 점진적으로 진행
- 가시적인 변화 부재: 초기 단계에서는 외부에서 보기에 특별한 이상 징후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 절연 저하: 열화가 진행됨에 따라 절연 저항이 감소하고 유전체 손실이 증가
- 부분 방전 발생: 열화가 진행되면 부분 방전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짐
- 수명 단축: 열화가 지속되면 변압기의 수명이 단축되고 고장 발생 확률이 높아짐
3)열화 진단 방법
- 절연 저항 측정: 절연 저항이 기준치 이하로 감소하면 열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
- 유전체 손실 측정: 유전체 손실이 증가하면 절연 상태가 악화되었음을 나타냄
- 부분 방전 측정: 부분 방전을 측정하여 열화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 온라인 진단: 온라인 상태에서 변압기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이상 징후를 조기에 감지
변압기종류 (T1)
B 변압기 원리 종류별 특징
M 몰드변압기
A 아몰퍼스 변압기
H 하이브리드 변압기
U 단권변압기
S 초전도변압기
C 콘덴서형 계기용 변압기
T 3권선 변압기
I 1대1변압기
N 노이즈 대책 변압기
목차(몰드변압기 T1M)
몰드변압기
🌐V0124Z25 / T1M
ABB 기준충격절연강도(BIL)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