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용가 전력제어 방법

전원설비 (ME)

P 수변전설비의 에너지 절약설계방안
C 전력관리 측면에서의 에너지 절약대책
O 수용가 전력제어
D 최대 수요전력제어

목차(수용가 전력제어 MEO)

1️⃣수용가 전력제어 방법

1)설비부하의 PeakCut

  • 목표전력을 설정하여 목표전력을 초과하는 경우 일부 부하를 차단하여 피크치를 날리는 것

2)설비부하의 PeakShift

  • 어느 시간대에 부하가 급증하는 것을 막기위하여 일부 부하를 다른시간대로 옮겨 최대전력을 억제하는 전력관리 방식으로 심야전력을 이용하는 빙축열시스템 및 야간을 이용한 전기보일러 등이 이에 해당

3)자가 발전기에 의한 Peak 제어

  • 일부 부하를 별도의 자가 발전기로 운전하거나 전력회사 전력계통과 병렬운전을 하여 부족전력을 보충 운전하는 가장 일반덕인 전력관리방식을 자가 발전기 운전 Cost와 전력회사 수전 cost와 비교하여 경제성을 검토

4)설비부하의 프로그램제어

  • 프로그램을 미리 설정하여 최대 전력이 목표전력을 초과할 경우 프로그램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지시키는 방법으로서 수요전력 제어DemandControl이 이에 해당

5)열병합발전 시스템의 적용

  • 가장 적극적인 피크 차단 방법으로 폐열의 이용률을 높이고 한전단가가 낮고 발전단가가 낮아야 만족하는 설계가 될 수 있다
  • 수전용량이 큰 대형건물등에 유료하나 한전단가가 높아 사용률이 떨어진다

6)터보냉동기와 가스 흡수식 냉온수기 사용 검토

  • 한전단가와 가스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흡수식 냉온수기의 가스사용 요금을 검토 및 현장의 여건에 따라 사용검토

7)신재생 설비 사용 검토

  • 신에너지9연료전지 수소에너지, 중질잔사유화등)재생에너지(태양열, 태양광, 풍력, 지열, 해양, 폐열, 바이오, 소수력 등)수용가에서 검토, 설치하여 부하율 관리 필요

8)에너지 저장장치

  • 2차 전지, 초전도 에너지 저장장치 등을 수용가에 설치하여 부하율 관리

2️⃣첨두부하의 격차감소 방안

1)수요 반응 (Demand Response)

  • 시간대별 요금제: 소비자들이 전력 사용량이 적은 시간대에 전력을 많이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요금제입니다.
  • 직접 부하 제어: 전력 공급자가 소비자의 전력 사용량을 직접 제어하여 첨두 부하 시 전력 수요를 줄이는 방식입니다.
  • 간접 부하 제어: 소비자에게 전력 사용량을 줄이도록 유도하고, 이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2)에너지 저장 시스템 (ESS)

  • 첨두 부하 시에는 방전하여 전력을 공급하고, 경부하 시에는 충전하여 에너지를 저장함으로써 전력 수요의 변동을 완화시킵니다.
  •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와 연계하여 활용하면 에너지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습니다.

3)스마트 그리드

  • 다양한 전력 소비자와 에너지 생산 시설을 정보통신기술(ICT)로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고 제어하는 시스템입니다.
  • 수요 반응, ESS 등 다양한 부하관리 기술과 연계하여 효율적인 전력 시스템 운영을 가능하게 합니다.

4)산업 부문의 부하 관리

  • 대규모 전력 소비자인 산업 부문에서 시간대별 전력 사용량을 조절하여 첨두 부하를 완화시키는 방안입니다.
  • 생산 공정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에너지 효율적인 설비를 도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 (BEMS)

  • 건물 내의 난방, 냉방, 조명 등 다양한 설비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시스템입니다.
  • 태양광 발전 등 재생에너지와 연계하여 활용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6)전기 자동차 충전 관리

  • 전기 자동차 충전 시간을 분산시키고, 첨두 부하 시간대의 충전을 제한하여 전력 수요를 관리하는 방식입니다.
  • V2G (Vehicle to Grid) 기술을 활용하여 전기 자동차 배터리를 에너지 저장 시스템으로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전원설비 (ME)

P 수변전설비의 에너지 절약설계방안
C 전력관리 측면에서의 에너지 절약대책
O 수용가 전력제어
D 최대 수요전력제어

목차(수용가 전력제어 MEO)

💯기출문제

○O02경부하와 첨두부하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 부하관리방안을 설명하시오

수용가 전력제어(첨두부하제어=수요관리=부하율관리)

모범답안(부하관리방안 MEO02)

1. 수요 반응 (Demand Response)

  • 시간대별 요금제: 소비자들이 전력 사용량이 적은 시간대에 전력을 많이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요금제입니다.
  • 직접 부하 제어: 전력 공급자가 소비자의 전력 사용량을 직접 제어하여 첨두 부하 시 전력 수요를 줄이는 방식입니다.
  • 간접 부하 제어: 소비자에게 전력 사용량을 줄이도록 유도하고, 이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2. 에너지 저장 시스템 (ESS)

  • 첨두 부하 시에는 방전하여 전력을 공급하고, 경부하 시에는 충전하여 에너지를 저장함으로써 전력 수요의 변동을 완화시킵니다.
  •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와 연계하여 활용하면 에너지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습니다.

3. 스마트 그리드

  • 다양한 전력 소비자와 에너지 생산 시설을 정보통신기술(ICT)로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고 제어하는 시스템입니다.
  • 수요 반응, ESS 등 다양한 부하관리 기술과 연계하여 효율적인 전력 시스템 운영을 가능하게 합니다.

4. 산업 부문의 부하 관리

  • 대규모 전력 소비자인 산업 부문에서 시간대별 전력 사용량을 조절하여 첨두 부하를 완화시키는 방안입니다.
  • 생산 공정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에너지 효율적인 설비를 도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 (BEMS)

  • 건물 내의 난방, 냉방, 조명 등 다양한 설비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시스템입니다.
  • 태양광 발전 등 재생에너지와 연계하여 활용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6. 전기 자동차 충전 관리

  • V2G (Vehicle to Grid) 기술을 활용하여 전기 자동차 배터리를 에너지 저장 시스템으로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 전기 자동차 충전 시간을 분산시키고, 첨두 부하 시간대의 충전을 제한하여 전력 수요를 관리하는 방식입니다.

전원설비 (ME)

P 수변전설비의 에너지 절약설계방안
C 전력관리 측면에서의 에너지 절약대책
O 수용가 전력제어
D 최대 수요전력제어

목차(수용가 전력제어 MEO)

🌐V1023B24 / MEO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