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도전동기

제공

,
전동기 (JM)

A 직류전동기
B BLDC모터
G 동기발전기
H 동기발전기(병렬운전)
Y 동기전동기
E 동기기의 이상현상
I 유도전동기
S 전동기 기동방식
C 유도전동기(속도제어)
R 전동기(제동법,역전법)
P 전동기(효율적 제어방식)

목차(유도전동기 JMI)

기동전류가 크고 역률이 낮은 단점이 있으나 구조가 간단하고 운전이 용이하며, 가격이 저렴하여 널리 사용됨

1️⃣유도전동기의 원리 및 운전

1)회전원리(아라고 원판)

  • 그림과 같이 자석을 회전시킬때
  • 자속이 도체를 통과하고
  • 도체에 기전력 발생한다
  • 원판에는 와전류(소용돌이 전류)가 발생하고
  • 와전류와 자속의 상호 작용(플래밍의 왼손법칙) 때문에
  • 회전방향으로 도체(동판)가 회전(회전 자계)하게 된다
  • 동판은 자석보다 느린 속도로 회전한다(자속이 도체를 통과하지 않으면 유도기전력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2)구성

  • 고정자 : 전기자 권선이 감겨져 회전자계를 인가
  • 회전자 : 회전자계가 회전자의 쇄교하면, 아라고 원판의 원리에 의해 화살표 방향과 같이 맴돌이 전류가 흘러 토크를 발생

2️⃣회전자계

1)단상유도전동기

  • 구조
    • 고정자와 회전자 (1조 구성)
  • 원리
    • 고정자 권선에 전류를 흘림 → 교번자계발생 →기동장치에 의한 회전

2)3상 유도전동기

  • 구조
    • 고정자와 회전자 (3조 구성)
  • 원리
    • 고정자 권선에 전류를 흘림 → 회전자계 발생 → 회전자계에 의한 회전

3)회전자계 원리

  • 1상의 전류를 1[A]라 하면, 1[A]가 만드는 자속이 1[AT]이 되고 1상의 자속이 1[H]가 되어 , 1.5[H]의 회전자계가 발생
  • 벡터도

3️⃣유도전동기 특성

1)유도전동기 속도

  • 유도전동기 속도
\[N=\frac{120f}{P}(1−s)[rpm]\]
  • 슬립
\[s=\frac{N_s−N}{N_s}\]
  • 유도전동기는 고정자에 흐르는 전류와 회전자가 쇄교해야 하므로 슬립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고 동기속도보다 늦게 된다.

2)유도전동기의 특성 곡선

  • 시동 시 토크가 작다
  • 전동기 속도는 부하토크와 모터발생토크의 일치점에 회전한

3)유도기의 토크 곡선

전동기 (JM)

A 직류전동기
B BLDC모터
G 동기발전기
H 동기발전기(병렬운전)
Y 동기전동기
E 동기기의 이상현상
I 유도전동기
S 전동기 기동방식
C 유도전동기(속도제어)
R 전동기(제동법,역전법)
P 전동기(효율적 제어방식)

목차(유도전동기 JMI)

💯기출문제

○I01 유도전동기에 적용되는 배선용 차단기의 선정조건을 설명하고 유도전동기 특유의 고려사항과 부하상태에 따른 고려사항을 쓰시오.

모범답안(배선용차단기 선정조건 TDB5️⃣)

5️⃣배선용 차단기(MCCB) 선정조건

  1. 정격전류:
    • 부하전류를 계산하여 이에 맞는 정격전류를 가진 차단기를 선택
    • 전동기 부하전류 합이 50A 이하인 경우, 전선의 허용전류는 전동기 부하전류 합 × 1.25 + 기타 부하전류 합으로 선정
  2. 단락전류:
    • 예상되는 단락전류를 계산하여 차단기의 차단용량이 이를 초과하도록 선택
    • 예를 들어, 변압기 용량과 전압, 임피던스를 고려하여 단락전류를 계산
  3. 과부하 보호:
    • 과부하 보호장치의 정격전류는 부하전류의 1.25배로 설정
    • KEC 기준에 따라 보호장치의 동작배율을 고려하여 선정
모범답안(유도전동기 배선용차단기선정시고려사항 JMI)

유도전동기 특유의 고려사항

  1. 기동전류:
    • 유도전동기는 기동 시 정격전류의 6배에 해당하는 큰 기동전류가 흐르므로, 이를 고려한 차단기 용량을 선정
    • 기동 시 전압 강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적절한 기동방식을 선택
  2. 전압 변동:
    • 기동 시 전압 강하가 10% 이내, 정상 운전 시 전압 변동이 15% 이내로 유지되도록
  3. 토크 요구:
    • 부하의 소요 토크를 고려하여 충분한 기동 토크를 제공할 수 있는 기동방식을 선택

부하상태에 따른 고려사항

부하가 큰 경우, 기동 시 전압 강하와 과전류를 고려하여 차단기를 선택합

부하 특성:

부하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기동방식을 결정

부하가 큰 경우, 충분한 기동 토크를 제공할 수 있는 기동방식을 선택

부하 용량:

부하 용량에 따라 적절한 차단기 용량을 선정

○G02 3상 유도전동기의 정격과 온도상승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유도전동기의 정격과 온도상승

정격 (Rating)

  • 정격전압: 전동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전압 범위입니다.
  • 정격전류: 전동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 흐르는 전류입니다.
  • 정격출력: 전동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 제공할 수 있는 최대 출력입니다.
  • 정격속도: 전동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의 회전 속도입니다.

온도상승 (Temperature Rise)

정격과 온도상승의 관계

  1. 정격부하에서의 온도상승:
  2. 과부하 시의 온도상승:
  3. 냉각 시스템의 중요성:

○G03.전기설비에서 사용되는 유도전동기의 단자전압이 정격전압보다 낮은 경우 발생하는 현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토크 감소:
    • 유도전동기의 토크는 인가 전압의 제곱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전압이 낮아지면 토크가 크게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부하를 구동하는 데 어려움을 초래하고, 심한 경우에는 전동기가 정지할 수도 있습니다.
  • 슬립 증가:
    • 토크가 감소하면 부하를 유지하기 위해 슬립이 증가합니다. 슬립이 증가하면 전동기의 효율이 감소하고, 동손이 증가하여 발열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 전류 감소:
    • 전압이 낮아지면 전류도 감소합니다. 하지만 부하가 일정하다면, 토크를 유지하기 위해 전류는 증가하려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는 전동기의 과열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출력 감소:
    • 토크와 속도가 모두 감소하면 출력은 더욱 크게 감소합니다. 따라서 전동기는 정격 출력을 내지 못하게 됩니다.
  • 기동 성능 저하:
    • 기동 시에는 정상 운전 시보다 더 큰 토크가 필요합니다. 전압이 낮으면 기동 토크가 크게 감소하여 기동이 어려워지거나 불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 효율 감소:
    • 슬립 증가와 동손 증가로 인해 전동기의 효율이 감소합니다.

124-01 유도전동기의 진동과 소음의 원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유도전동기의 진동과 소음

유도전동기의 진동과 소음의 원인

1. 전자기적 원인

  • 불균형 전압 및 전류
    삼상 전압의 불균형이나 권선 결함이 생기면 회전자에 불균형 힘이 작용하여 진동과 소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고조파 자속
    고조파 자속에 의한 주기적인 전자기력이 고정자와 회전자에 진동을 유발하여 전자기적 소음이 발생합니다
  • 공극(에어갭) 불균형 및 편심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의 공극이 고르지 않거나 회전자에 편심(eccentricity)이 발생하면, 불평형 자기 흡인력(Unbalanced Magnetic Pull, UMP)이 작용하여 진동과 소음이 유발됩니다. 이는 베어링 하중 증가, 축 굽힘, 공극 접촉, 축 전류 유도, 진동 및 자기음, 손실 증가 등 다양한 문제로 이어집니다

2. 기계적 원인

  • 회전자 불균형 및 축 휨
    회전자의 다이내믹 밸런스가 무너졌거나 축이 휘어진 경우, 회전 중 불규칙한 진동이 발생하여 기계적 소음이 커집니다
  • 베어링 결함
    베어링의 마모, 손상, 오일 부족, 조립 불량 등은 회전 시 불규칙한 진동과 소음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원인입니다
  • 설치 불량 및 기초 불안정
    전동기 설치가 잘못되었거나 기초가 불안정하면, 운전 중 진동이 증폭되어 소음이 증가합니다
  • 부하와의 연결 불량
    커플링, 기어, 벨트 등 부속 장치의 정렬 불량, 마모, 윤활 불량 등도 진동과 소음의 원인이 됩니다

3. 통풍(환기)적 원인

  • 팬 및 덕트 소음
    냉각 팬, 환기 덕트 등에서 발생하는 공기 흐름의 와류, 팬의 불균형, 덕트의 공진 등으로 인해 통풍 소음이 발생합니다. 팬의 크기, 회전수, 설계 불량 등이 소음의 강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 공명 및 구조적 결함
    모터 본체, 커버, 엔드 쉴드 등 구조물의 공진 현상도 소음을 증폭시킬 수 있습니다

4. 기타 원인

  • 부하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펌프, 팬 등 부하 기계에서 발생한 진동이 전동기로 전달되어 소음과 진동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16.
  • 부적절한 운전 조건
    과부하, 부하 불균형, 전압 강하 등도 진동과 소음의 원인이 됩니다

요약표: 유도전동기 진동과 소음의 원인

구분주요 원인 예시
전자기적공극 불균형, 편심, 불균형 전압, 고조파 자속 등
기계적회전자 불균형, 축 휨, 베어링 결함, 설치 불량 등
통풍(환기)적팬 소음, 덕트 공진, 구조물 공명 등
기타부하 전달 진동, 과부하, 부하 불균형 등

진동과 소음의 원인은 서로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 적절한 설치 및 운전 조건 유지가 중요합니다

136-03 고조파가 전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모범답안(고조파,전동기)

1) 전동기 종류별 영향

전동기 유형주요 영향세부 설명
유도전동기– 손실 증가: 동손(표피효과) 및 철손(히스테리시스) 증가로 온도 상승
– 진동/소음: 5차·7차 고조파가 토크 리플과 기계적 진동 유발
– 효율 저하: 출력 감소 및 절연 열화
– 예: 5차 고조파 10% 포함 시 동손 5% 증가
– 3차 고조파는 토크 맥동을 통해 축 비틀림 응력 발생
DC 모터– 구리 손실: 고조파 전류로 권선 과열 및 절연 노화
– 커뮤테이션 불안정: 전압 파형 왜곡으로 정류 성능 저하
– 심한 경우 국부적 과열로 수명 단축
동기전동기– 계자권선 손실: 고조파 전류로 인한 추가 발열 
– 위상 불일치: 토크 변동으로 속도 제어 오차 발생
– 고주파 성분이 회전자 제어 신호에 간섭

2) 유도전동기에서 고조파 전압계수(HVF)

정의:

\[HVF=\frac{고조파전압의실효값}{기본파전압의실효값}×100 (\%)\]

영향:

  • 출력 감소: HVF 5% 증가 시 유효 출력 2~3% 감소
  • 온도 상승: HVF 1% 당 권선 온도 1.5°C 상승
  • 절연 수명: HVF 10% 초과 시 절연 수명 50% 단축

대책:

  • 필터 설치: 수동/능동 필터로 HVF 3% 이하 유지
  • 설계 최적화: 고조파 저감 권선 구조(예: 분산 권선)

고조파 영향은 전동기 설계·운용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하며, HVF 모니터링과 종합 고조파 왜형률(THD) 관리가 필수적

전동기 (JM)

A 직류전동기
B BLDC모터
G 동기발전기
H 동기발전기(병렬운전)
Y 동기전동기
E 동기기의 이상현상
I 유도전동기
S 전동기 기동방식
C 유도전동기(속도제어)
R 전동기(제동법,역전법)
P 전동기(효율적 제어방식)

목차(유도전동기 JMI)

🌐V1008M24 / JMI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