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기

제공

,
전압변동 정전기(QV)

V 선로의 전압 변동
D 순시 전압강하 원인과 방지대책
K 플리커 현상 및 대책
S 정전기
E 제전기
H 과도 불안정 발생원인과 영향
F 패란티 현상
C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SVC)

목차(정전기 QVS)

❗정전기

  • 정전기 발생은 주로 2개의 물체와 접촉할 때 본래 전기적으로 중성 상태에 있는 물체에서 정⊕또는 부⊖로 극성 전하가 과잉되는 현상
  • 이 과잉현상을 정전기라 하고 발생한 정전기가 물체강에 출전이 되는것을 대전
  • 정전기는 전기집진기, 정전복사기, 정전도장기 등 실생활에 유용하게 사용
  • 전격에 의한 스파크, 전자회로의 파손, 화재 및 폭발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발생 및 재해에 주의

1️⃣정전기의 발생 메커니즘

1)일함수와 전하분리

  • 일함수
    물질 내부의 자유전자는 물체에 빛, 열, 마찰 등 외부에서 물리적 힘을 가하면, 이 자유전자는 입자 외부로 방출되는데 이때 필요한 에너지를 일함수
  • 전하분리
    전하의 이동으로 일함수가 높은 표면은 ⊕로, 낮은 금속표면은 ⊖로 대전하여 전기 2중층을 형성하여 전하가 분리되는 상태

2)정전기의 발생 영향요소

  • 물체의 특성
    정전기 발생은 대전서열 중에서 가까운 위치에 있으면 작고, 멀리 있으면 크다
  • 물체의 표면 상태
    표면이 거칠면 정전기 발생이 쉽고 수분 및 기름 등에 오염되었거나 부식 시에도 정전기 발생에 영향을 줌
  • 물체의 이력
    정전기 발생에는 처음에 접촉 및 분리가 일어날때 최고가 되고 접촉 및 분리가 반복됨에 따라 적어짐
  • 접촉면적 및 접촉압력
    접촉면적이 크고 압력이 크면 정전기 발생이 커짐
  • 분리속도
    분리속도가 커지면 전하분리에 주어지는 에너지가 커져서 정전기 발생이 커지는 경향

3)정전기 대전현상(帶電現象)(=원인)

  • 마찰대전
    물체에 마찰할 때 일어나는 대전현상
  • 유도대전
    대전물체 가까이에 전열체가 있을 때 정전유도를 받아 대전물체와 반대의 극성이 절연체에 나타나는 현상
  • 박리현상
    접촉되어 있는 물체가 벗겨질 때 전하분리가 일어나는 현상
  • 분출대전
    액체류, 분체류가 단면적이 작은 개구부에서 분출될 때에 마찰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정전기
  • 접촉대전
    2개의 물체가 밀착할 때 발생하는 정전기

  • 충돌대전
    액체, 분체가 충돌할 때 빠르게 접촉 분리되면서 일어나는 정전기

  • 유동대전
    액체가 파이프 내에서 이동할 때 발생하는 정전기
  • 파과대전
    물체가 파괴 됐을 때 전하분리 또는 전하의 균형이 깨지면서 정전기가 발생

    4)대전에 따른 물리적인 현상

    • 역학현상
      • 전하 분리에 의해서 물체가 대전하면 여러 형태의 역학현상
      • 정전기의 전기적 작용인 쿨롱의 법칙 힘에 의하여 대전물체 주위에있는 먼지 종이조각 등 가벼운 물체를 끌어 붙이거나 반발한다. 이를 번스타인(Bernstein) 효과
    \[F=\frac{q_1\times q_2}{4\pi \epsilon_0 r^2}=9\times 10^9\times\frac{q_1\times q_2}{r^2}[N]\]
    • 방전현상
      • 전하분리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하면 그 주위의 매질 중에 전계가 형성되는데 전계의 크기는 전하의 축적에 의하여 더불어 상승
      • 한계값에 도달하면 매질은 전기에 의해 절연성을 잃고 도전성을 잃고 도전성이 도어 중화되기 시작
      • 이 현상을 방전현상이라 하고 빛과 소리를 수반

    • 정전유도 현상
      대전물체 가까이에 절연된 도체가 있으면 절연도체의 표면상에 대전물체의 전하와 반대 극성의 전하가 나타나는 현상

    5)정전기의 방전현상

    전하분리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하면 그 주위의 매질 중에 전계가 형성되는데 전계의 크기는 전하의 축적에 의하여 더불어 상승
    한계값에 도달하면 매질은 전기에 의해 절연성을 잃고 도전성을 잃고 도전성이 도어 중화되기 시작
    이 현상을 방전현상이라 하고 빛과 소리를 수반.

    • 불꽃방전
      • 방전거리가 짧고 평등전계에 가까울 경우 절연이 파괴되어 방전하는 것을 불꽃방전
      • 전극사이의 한점에서 전계강도가 공기의 절연내력인 3[kV/㎜]의 값일때 방전
    • 코로나 방전
      • 대전물체 가까이에 곡률반경 1~2[㎜]이라의 도체가 있을 때 일어나는 국부방전
      • 미약한 발광과 파괴음을 수반
    • 스트리머 방전
      • 기체방전에서 방전로가 긴 줄을 형성하면서 방전하는 현상으로 번개와 같이 수지모양의 발광
      • 미약한 발광과 파괴음을 수반
    • 연면방전
      • 도체에 밀착한 수[㎜]이하의 앏은 필름 시트등이 매우 강한 상태가 되는 조건일 때 발생

    2️⃣정전기 재해 및 장해

    1)전격의 원인

    • 근육의 급격한 수축 등의 신체적 손상
    • 전격에 의하여 신체 균형을 잃고 높은 장소에서 추락, 전도 등 2차적 재해
    • 전격에 의한 공포감, 불안감 유발

    2)전자기기 등의 오동작 및 파손의 원인

    • 정전기에 의한 전력기기 등의 오동작 발생
    • 정전기에 의한 전력기기의 반도체의 파손 발생

    3)폭발(화재)의 원인

    가연성 물질이 공기 등과 혼합해서 폭발한계 내에 있을 때 화재 및 폭발이 발생

    3️⃣정전기 방지대책

    1)도체의 대전 방지대책

    • 접지 및 본딩
      • 접지는 발생한 전기를 대지로 누설시켜 물체에 정전기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
      • 접지저항은 1×10⁶[Ω]이하이면 족하나 실제 적용는 100[Ω]이하로 접지가 가능
      • 등전위본딩: 독립된 금속체 상호 연결(전위차 제거)
    • 배관 내 유속의 제한
      정전기의 대전량은 유속의 1.75승에 비례하므로 저장탱크 주입구의 주입속도는 1[㎧]이하
    • 정치시간
      정치시간이란 도체에 대전된 전하량이 자연적으로 방전하는 시간을 말하며, 대전방지효과와 직접적인 연관됨.

    2)부도체의 대전방지

    • 가습
      공기 중의 상대습도를 높여 65~70[%]정도면 물체 표면의 흡수량이 증가하여 전기전도의 향상으로 전하의 소멸
    • 대전방지제 이용
      대전방지제를 바르거나 내부에 혼입하면 표면에 이온성을 가져와 대전방지효과
    • 제전기에 의한 대전방지
      • 전압인가식 제전지 : 7000[V]의 고전압에 의한 이온발생으로 정전기를 중화
      • 자기방전식 제전기 : 제전대상 물체에 정전에너지를 이용하여 제전에 필요한 이온을 발생시켜 중화
      • 발사선식 제전기 : 방사선 동위원소등으로 부터 나오는 방사선의 전계작용을 이용하여 제전에 필요한 이온 생성

    3)인체의 대전방지

    • 바닥재
      • 도전성이 우수한 바닥재를 사용하여 인체에 축척된 정전기를 땅으로 흘려보냄
    • 대전방지화
      • 구두 바닥의 저항률을 낮추어 인테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방전
      • 정전기 방지용 신발 규격
        • 1종- 1[MΩ]~1[GΩ] 착화에너지가 0.1[mJ]이상인곳 : 메탄 프로판)
        • 2종 – 100[kΩ]~10[MΩ](착화에너지가 0.1[mJ]이하 : 수소 아세틸렌 취급)
      • 대전된 정전기가 제전사를 통해 도전성 고무(신발바닥)을 거쳐 근본적으로 그라운드 된 철판위에 사람이 있을 때 신체에 정전기가 방전됨
    • 대전방지 작업복
      화학섬유 중간에 일정한 간격으로 도전성 섬유를 짜 넣은 것으로 폭발위험 분의기 장소에 이용
    • 손목접지대
      손목에 가요성이 있는 밴드를 차고, 밴드는 도선을 이용하여 접지선에 연결하여 제전하는 방식

    전압변동 정전기(QV)

    V 선로의 전압 변동
    D 순시 전압강하 원인과 방지대책
    K 플리커 현상 및 대책
    S 정전기
    E 제전기
    H 과도 불안정 발생원인과 영향
    F 패란티 현상
    C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SVC)

    목차(정전기 QVS)

    💯기출문제

    ●S01 정전기의 발생방법과 인체에 대한 충격방지에 대한 대책을 병원을 중심으로 설명하시오

    모범답안(정정기 QVS01)

    정전기 발생 원인

    • 마찰: 서로 다른 물체가 마찰될 때 전자가 이동하여 정전기가 발생합니다. (예: 의료용 장갑과 환자의 몸, 옷과 침구류 사이의 마찰)
    • 유도: 대전된 물체가 다른 물체에 가까이 갈 때 전하가 유도되어 정전기가 발생합니다. (예: 의료 장비에 접근할 때)
    • 분리: 서로 달라붙어 있던 물체가 분리될 때 전하가 불균형해져 정전기가 발생합니다. (예: 테이프를 떼어낼 때)

    인체에 대한 충격 방지 대책

    1. 접지:
      • 바닥재: 도전성이 우수한 바닥재를 사용하여 인체에 축적된 정전기를 땅으로 흘려보냅니다.
      • 신발: 정전기 방지 신발을 착용하여 인체와 바닥 사이의 절연을 방지합니다.
      • 의료 장비: 의료 장비를 접지하여 장비 내부에 축적된 정전기를 방지합니다.
    2. 습도 조절:
      •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면 공기 중의 습기가 정전기를 중화시켜 발생을 억제합니다.
    3. 대전 방지 물품 사용:
      • 의류: 면 소재 등 정전기가 잘 발생하지 않는 의류를 착용합니다.
      • 장갑: 정전기 방지 장갑을 착용하여 의료 장비를 다룰 때 정전기 발생을 방지합니다.
      • 베개, 침구류: 정전기 방지 처리된 침구류를 사용합니다.
    4. 정전기 제거제 사용:
      • 의류, 장비 등에 정전기 제거제를 사용하여 표면의 전하를 중화시킵니다.
    5. 이온화 공기 발생기 설치:
      • 공기 중에 이온을 발생시켜 정전기를 중화시키는 장치를 설치합니다.
    6. 교육:
      • 의료진에게 정전기의 위험성과 예방 방법에 대한 교육을 실시합니다.
    7. 정기적인 점검:
      • 정전기 방지 시설의 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유지보수합니다.

    모범답안(병원대책 QVS01)

    병원 특성을 고려한 추가적인 대책

    • 수술실:
      • 수술복, 수술포 등을 정전기 방지 소재로 사용합니다.
      • 수술실 내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 정전기 발생 가능성이 높은 마취 가스 사용 시 주의합니다.
    • ICU:
      • 환자 감시 장비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접지를 확인합니다.
      • 정전기 발생 가능성이 높은 플라스틱 물품 사용을 최소화합니다.
    • 약국:
      • 인화성 물질을 취급하는 약국에서는 특히 정전기 방지에 신경 써야 합니다.
      • 금속 용기 사용을 권장하고, 정전기 방지 포장재를 사용합니다.

    ●S02 반도체 공장에서 반도체소자의 정전기방전에 의한 장해 제어대책을 열거하고 설명하시오

    모범답안(정정기 QVS01)

    정전기 발생 원인

    • 마찰: 서로 다른 물체가 마찰될 때 전자가 이동하여 정전기가 발생합니다. (예: 의료용 장갑과 환자의 몸, 옷과 침구류 사이의 마찰)
    • 유도: 대전된 물체가 다른 물체에 가까이 갈 때 전하가 유도되어 정전기가 발생합니다. (예: 의료 장비에 접근할 때)
    • 분리: 서로 달라붙어 있던 물체가 분리될 때 전하가 불균형해져 정전기가 발생합니다. (예: 테이프를 떼어낼 때)

    인체에 대한 충격 방지 대책

    1. 접지:
      • 바닥재: 도전성이 우수한 바닥재를 사용하여 인체에 축적된 정전기를 땅으로 흘려보냅니다.
      • 신발: 정전기 방지 신발을 착용하여 인체와 바닥 사이의 절연을 방지합니다.
      • 의료 장비: 의료 장비를 접지하여 장비 내부에 축적된 정전기를 방지합니다.
    2. 습도 조절:
      •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면 공기 중의 습기가 정전기를 중화시켜 발생을 억제합니다.
    3. 대전 방지 물품 사용:
      • 의류: 면 소재 등 정전기가 잘 발생하지 않는 의류를 착용합니다.
      • 장갑: 정전기 방지 장갑을 착용하여 의료 장비를 다룰 때 정전기 발생을 방지합니다.
      • 베개, 침구류: 정전기 방지 처리된 침구류를 사용합니다.
    4. 정전기 제거제 사용:
      • 의류, 장비 등에 정전기 제거제를 사용하여 표면의 전하를 중화시킵니다.
    5. 이온화 공기 발생기 설치:
      • 공기 중에 이온을 발생시켜 정전기를 중화시키는 장치를 설치합니다.
    6. 교육:
      • 의료진에게 정전기의 위험성과 예방 방법에 대한 교육을 실시합니다.
    7. 정기적인 점검:
      • 정전기 방지 시설의 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유지보수합니다.

    ○S03 정전기의 발생을 유발하는 정전기의 대전 종류 5가지를 제시하고 설명

    모범답안(정전기 대전 종류 QVS03)

    3)정전기 대전현상(=원인)

    • 마찰대전
      물체에 마찰할 때 일어나는 대전현상
    • 유도대전
      대전물체 가까이에 전열체가 있을 때 정전유도를 받아 대전물체와 반대의 극성이 절연체에 나타나는 현상
    • 박리현상
      접촉되어 있는 물체가 벗겨질 때 전하분리가 일어나는 현상
    • 분출대전
      액체류, 분체류가 단면적이 작은 개구부에서 분출될 때에 마찰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정전기
    • 저하대전
      고체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액체류가 비산해서 분리되고 많은 물방울이 될때에 새로운 표면을 형성하여 정전기 발생
    • 침강대전
    • 충돌대전
      액체, 분체가 충돌할 때 빠르게 접촉 분리되면서 일어나는 정전기
    • 비말대전
      비말(물보라)은 공간에 분출할 액체류가 비산해서 분리되고 많은 물방울로 될 때 새로운 표면을 형성하여 정전기 발생
    • 유동대전
      액체가 파이프 내에서 이동할 때 발생하는 정전기

    ●S04 빌딩에서의 정전기 발생원인과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정정기 QVS01)

    정전기 발생 원인

    • 마찰: 서로 다른 물체가 마찰될 때 전자가 이동하여 정전기가 발생합니다. (예: 의료용 장갑과 환자의 몸, 옷과 침구류 사이의 마찰)
    • 유도: 대전된 물체가 다른 물체에 가까이 갈 때 전하가 유도되어 정전기가 발생합니다. (예: 의료 장비에 접근할 때)
    • 분리: 서로 달라붙어 있던 물체가 분리될 때 전하가 불균형해져 정전기가 발생합니다. (예: 테이프를 떼어낼 때)

    인체에 대한 충격 방지 대책

    1. 접지:
      • 바닥재: 도전성이 우수한 바닥재를 사용하여 인체에 축적된 정전기를 땅으로 흘려보냅니다.
      • 신발: 정전기 방지 신발을 착용하여 인체와 바닥 사이의 절연을 방지합니다.
      • 의료 장비: 의료 장비를 접지하여 장비 내부에 축적된 정전기를 방지합니다.
    2. 습도 조절:
      •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면 공기 중의 습기가 정전기를 중화시켜 발생을 억제합니다.
    3. 대전 방지 물품 사용:
      • 의류: 면 소재 등 정전기가 잘 발생하지 않는 의류를 착용합니다.
      • 장갑: 정전기 방지 장갑을 착용하여 의료 장비를 다룰 때 정전기 발생을 방지합니다.
      • 베개, 침구류: 정전기 방지 처리된 침구류를 사용합니다.
    4. 정전기 제거제 사용:
      • 의류, 장비 등에 정전기 제거제를 사용하여 표면의 전하를 중화시킵니다.
    5. 이온화 공기 발생기 설치:
      • 공기 중에 이온을 발생시켜 정전기를 중화시키는 장치를 설치합니다.
    6. 교육:
      • 의료진에게 정전기의 위험성과 예방 방법에 대한 교육을 실시합니다.
    7. 정기적인 점검:
      • 정전기 방지 시설의 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유지보수합니다.

    S135-06 정전기의 방전현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정정기 QVS01)

    정전기 발생 원인

    • 마찰: 서로 다른 물체가 마찰될 때 전자가 이동하여 정전기가 발생합니다. (예: 의료용 장갑과 환자의 몸, 옷과 침구류 사이의 마찰)
    • 유도: 대전된 물체가 다른 물체에 가까이 갈 때 전하가 유도되어 정전기가 발생합니다. (예: 의료 장비에 접근할 때)
    • 분리: 서로 달라붙어 있던 물체가 분리될 때 전하가 불균형해져 정전기가 발생합니다. (예: 테이프를 떼어낼 때)

    인체에 대한 충격 방지 대책

    1. 접지:
      • 바닥재: 도전성이 우수한 바닥재를 사용하여 인체에 축적된 정전기를 땅으로 흘려보냅니다.
      • 신발: 정전기 방지 신발을 착용하여 인체와 바닥 사이의 절연을 방지합니다.
      • 의료 장비: 의료 장비를 접지하여 장비 내부에 축적된 정전기를 방지합니다.
    2. 습도 조절:
      •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면 공기 중의 습기가 정전기를 중화시켜 발생을 억제합니다.
    3. 대전 방지 물품 사용:
      • 의류: 면 소재 등 정전기가 잘 발생하지 않는 의류를 착용합니다.
      • 장갑: 정전기 방지 장갑을 착용하여 의료 장비를 다룰 때 정전기 발생을 방지합니다.
      • 베개, 침구류: 정전기 방지 처리된 침구류를 사용합니다.
    4. 정전기 제거제 사용:
      • 의류, 장비 등에 정전기 제거제를 사용하여 표면의 전하를 중화시킵니다.
    5. 이온화 공기 발생기 설치:
      • 공기 중에 이온을 발생시켜 정전기를 중화시키는 장치를 설치합니다.
    6. 교육:
      • 의료진에게 정전기의 위험성과 예방 방법에 대한 교육을 실시합니다.
    7. 정기적인 점검:
      • 정전기 방지 시설의 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유지보수합니다.

    모범답안(정전기 방전현상)

    방전현상

    전하분리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하면 그 주위의 매질 중에 전계가 형성되는데 전계의 크기는 전하의 축적에 의하여 더불어 상승한다.

    한계값에 도달하면 매질은 전기에 의해 절연성을 잃고 도전성을 잃고 도전성이 도어 중화되기 시작한다

    이 현상을 방전현상이라 하고 빛과 소리를 수반한다.

    136-44 건축물에 발생되는 정전기의 다음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발생원인
    2)정전기 영향
    3)장해 대책

    QVS

    1. 발생원인

    ① 접촉·마찰·박리에 의한 대전

    • 접촉 대전: 서로 다른 재질(예: 카펫-신발, 플라스틱-유리)이 접촉 시 전하 이동 발생13.
    • 마찰 대전: 건축자재(합성수지 바닥재, 커튼)의 반복적 마찰로 정전기 축적14.
    • 박리 대전: 필름·시트류 분리 시 전하 불균형 발생(예: 건축용 보호필름 제거)13.

    ② 건조한 환경

    • 상대습도 40% 미만에서 공기의 절연성 증가 → 전하 누설 억제34.

    ③ 재료 특성

    • 부도체 재질 사용: PVC, 폴리에스터 등 표면저항 10¹²Ω 이상 재료는 정전기 유지45.

    2. 정전기 영향

    ① 화재·폭발 위험

    • 스파크 방전: 대전된 인체·물체가 가연성 가스·분진과 접촉 시 착화(최소 착화에너지 0.1mJ)45.
      예시: 페인트 도장 공정 중 솔벤트 증기와 정전기 스파크 접촉.

    ② 전자기기 장애

    • ESD(Electrostatic Discharge): 반도체·전자제품의 절연파괴 유발(2kV 이상 방전 시)5.

    ③ 인체 불편

    • 전격 충격: 문고리 접촉 시 8kV 이상 전위차 발생 → 근육 경련·심리적 불안34.

    ④ 공정 효율 저하

    • 먼지 흡착: 대전된 벽체·바닥에 분진 부착 → 청소 주기 단축5.

    3. 장해 대책

    ① 접지·본딩 시스템

    • 접지저항 100Ω 이하: 금속구조물·배관 등 도체 부품 접지45.
    • 등전위 본딩: 독립된 금속체 상호 연결(전위차 제거)4.

    ② 재료 선택

    • 도전성 재질:
      • 바닥재: 표면저항 10⁶~10⁹Ω(KS C IEC 61340-4-1).
      • 벽체: 카본 함유 도료 도포5.

    ③ 환경 제어

    • 습도 관리: 상대습도 50~60% 유지(가습기 설치)34.
    • 이온화 장치: 제전기(ionizer) 설치로 공기 중 이온 농도 조절35.

    ④ 설계·시공 기준

    • ESD 보호구역(EPA) 설계:
      • 작업대: 표면저항 10⁶~10⁹Ω, 접지선 연결5.
      • 인체 접지: 정전화(10⁵~10⁸Ω), 리스트랩 사용35.

    ⑤ 유지관리

    • 정기 측정:
      • 표면저항(매월), 접지저항(분기별)5.
      • 정전전위 측정기로 100V 미만 유지 확인4.

    이 대책들은 KS C IEC 61340(정전기 방지 표준) 및 한국소방설비기준을 준수하며, 건축물의 기능성·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합니다.

    Citations:

    1. https://www.keyence.co.kr/ss/products/static/static-electricity/basic/cause.jsp
    2. https://allsobang.tistory.com/402
    3. https://humanse.tistory.com/entry/%EC%A0%95%EC%A0%84%EA%B8%B0-%EC%97%86%EC%95%A0%EB%8A%94-%EA%B0%80%EC%9E%A5-%EC%A2%8B%EC%9D%80-%EB%B0%A9%EB%B2%95
    4. https://www.kfpa.or.kr/mem/pdf_file/F/162/F162_1.pdf
    5. https://lindstromgroup.com/ko/article/%EC%A0%9C%EC%A0%84%EB%B3%B5-2/
    6. https://www.youtube.com/watch?v=QHD3a5bTFWw
    7. https://electronics.stackexchange.com/questions/164215/static-shocks-all-over-the-building
    8. http://www.esdbank.com/03_data/data_list11.php
    9. https://www.kosha.or.kr/extappKosha/kosha/guidance/fileDownload.do?sfhlhTchnlgyManualNo=E-142-2013&fileOrdrNo=3
    10. https://ww2.muellerelectric.com/static-electricity-hazards-generation-grounding-industry/
    11. https://www.wassada.com/bbs_detail.php?bbs_num=584215&id=&num=&pg=&tb=board_freetalk
    12. https://blog.naver.com/quishin/100059699780
    13. https://firedoor.tistory.com/entry/%EC%A0%95%EC%A0%84%EA%B8%B0%EB%8A%94-%EC%99%9C-%EC%83%9D%EA%B8%B0%EB%8A%94-%EA%B1%B8%EA%B9%8C-%EC%89%BD%EA%B2%8C-%EC%95%8C%EC%95%84%EB%B3%B4%EC%9E%90
    14. https://meech.com/wp-content/uploads/2020/07/Static_Electricity_Causes_and_Cures.pdf
    15. https://blog.naver.com/wellmen1/222133329444
    16. https://koreascience.kr/article/JAKO200064634294897.pdf
    17. https://www.moel.go.kr/local/chungju/common/downloadFile.do?file_seq=20201100097&bbs_seq=20201100069&bbs_id=LOCAL1
    18. https://vmspace.com/report/report_view.html?base_seq=MTc4OA%3D%3D
    19. https://www.vackerglobal.com/articles/reduce-static-current-commercial-buildings/
    20. https://blog.naver.com/PostView.nhn?isHttpsRedirect=true&blogId=iamjung99&logNo=221393001105
    21. https://www.reseat.or.kr/portal/cmmn/file/fileDown.do?menuNo=200019&atchFileId=b0561689a9e64c3688d370f19b0275f2&fileSn=1&bbsId=
    22. https://koreascience.kr/article/JAKO199311922388302.pdf
    23. https://blog.naver.com/a1234net/221205039092
    24. http://ftz.myds.me/wordpress/%EA%B1%B4%EC%B6%95%EB%AC%BC-%EB%82%B4%EC%9D%98-%ED%86%B5%EC%8B%A0%EC%84%A0%EB%A1%9C%EC%97%90-%EB%B0%9C%EC%83%9D%ED%95%98%EB%8A%94-%EC%9C%A0%EB%8F%84%EC%9E%A5%ED%95%B4%EC%9D%98-%EC%9B%90%EC%9D%B8/
    25. https://www.law.go.kr/LSW/flDownload.do?flSeq=130852715&flNm=%5B%EB%B3%84%ED%91%9C+2%5D+%EC%A0%84%EA%B8%B0%EB%B0%9C%ED%8C%8C+%EC%8B%9C+%EC%A0%95%EC%A0%84%EA%B8%B0%EC%97%90+%EC%9D%98%ED%95%9C+%EC%9E%AC%ED%95%B4%EC%98%88%EB%B0%A9+%EB%8C%80%EC%B1%85%28%EC%A0%9C20%EC%A1%B0%EA%B4%80%EB%A0%A8%29&bylClsCd=200201
    26. https://vietnamcleanroom.com/en/post/static-electricity-prevention-guide-660.htm

    전압변동 정전기(QV)

    V 선로의 전압 변동
    D 순시 전압강하 원인과 방지대책
    K 플리커 현상 및 대책
    S 정전기
    E 제전기
    H 과도 불안정 발생원인과 영향
    F 패란티 현상
    C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SVC)

    목차(정전기 QVS)

    🌐V1010Z24 / QVS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