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
KEC130(절연)
130 전로의 절연 131️⃣ 전로의 절연 원칙 132️⃣ 전로의 절연저항 및 절연내력 133️⃣ 회전기 및 정류기의 절연내력 134️⃣ 연료전지 및 태양전지 모듈의 절연내력 135️⃣ 변압기 전로의 절연내력 136️⃣ 기구 등의 전로의 절연내력
-
연색성,색온도,시감도,순응,균제도*
1️⃣연색성 1)정의 2)연색성 평가법 3)램프의 연색성과 용도와의 관계(적용 연색지수) 2️⃣색온도 1)정의 2)조도와 색온도에 대한 일반적 느낌 3)색온도의 예 3️⃣시감도 1)정의 2)비시간도 곡선 4️⃣순응 1)정의 2)종류 3)퍼킨제 효과 5️⃣균제도 1)정의 2)균제도 표현 3)균제도 측정 시 작업대상물의 높이 4)균제도의 평가 및 범위 5)조명설계에서 균제도의 적용
-
발전기 용량 산정방식*
❓발전기 용량 산정은 1️⃣발전기 용량산정시 고려사항 1)단상부하 감안 2)감전압 시동기 감안 3)고조파 부하 감안 2️⃣일반부하 발전기 용량산정방식 1)수용 부하운전 시 용량 2)기동 부하전류 중 최대 기동용량 3️⃣소방부하용 용량 산정방식 1)GP방식 2)PG방식 3)RG방식
-
비상발전기실 설계시 고려사항*
❗디젤엔진 비상발전기 설계 시 고려사항 1️⃣발전기 용량 2️⃣발전기 대수 3️⃣회전수 4️⃣기동방식 및 기동에 요하는 시간 5️⃣환경공해 문제 6️⃣열효율 및 연료 소비량 7️⃣설치 장소 및 발전기실의 크기 8️⃣냉각방식 9️⃣건축 분야와의 관계 🔟부속기기의 위치
-
변압기(손실과 효율)
1️⃣변압기 손실의 종류 1)부하손 2)무부하손 2️⃣변압기 손실 1)동손(=부하손=저항손) 2)철손 3)표유뷰하손 4)변압기의 손실비 3️⃣변압기 손실에 대한 개선 방향 4️⃣변압기 효율 1)실측효율 2)규약효율 3)전일효율 5️⃣변압기 효율과 부하율의 관계
-
변류기 (CT)*
❓계기용 변류기(CT)란 1️⃣CT 작동원리 1)구조 2)등가회로 3)벡터도 2️⃣CT정격 1)CT계급 2)최고전압 3)정격전류 4)정격부담 5)정격내전류 6)과전류 정수 7)과전류 강도 8)계기정확도등급 9)등급요소 3️⃣CT의 종류 1)절연구조에 따른 분류 2)권선형태에 따른 분류 3)특성에 따른 분류 4️⃣계측기용과 보호계전기용CT차이점 1)정확도 2)포화 특성 3)응답 속도 4)기타 특징 5)정리표 6)결론 7)IPL(순시과전류한계)란 8)FS(고장개시전류)란 5️⃣변류기 표시방법** 6️⃣CT개방 시 이상현상 1)CT의 2차측 개방 시의 현상** 2)CT의 2차측…
-
피뢰기
❓피뢰기 1️⃣구조 및 구성요소 1)특성요소 2)직렬갭(주갭) 3)소호코일 4)측로갭 5)분로저항 2️⃣종류 1)갭저항형 2)갭리스형 3)피뢰기의 방전특성 3️⃣피뢰기 특성 1)피뢰기 구비조건 3)동작특성 4)보호레벨 4️⃣피뢰기 용어 설명 2)정격전압 3)제한전압 5)제한전압비 4)상용주파 방전개시전압 5)충격파 방전 개시전압 4)충격비 6)공칭방전전류 3)방전내량 6)방전내량(내구성 개념) 7)속류 5️⃣피뢰기의 설치 및 결정 1)설치 2)위치 3)피뢰기의 시설 7️⃣열폭주현상 8️⃣피뢰기의 정격 및 절연협조 1)정격전압 선정 2)방전전류 검토 3)피보호기의…
-
전원설비 신뢰성 향상대책*
1️⃣전기설비 정전대책 1)고장률 저하 2)평균 고장 정지시간의 극소화 3)고신뢰도 전원시스템 채택 2️⃣전원설비 신뢰성 향상 대책 1)특고압 변압기의 복수 뱅크 구성 2)비상용 자가발전설비 설치 3)모선의 이중 계통 구성 4)간선의 이중 배전계통 구성 5)UPS설비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