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설비재료
🔯내화물, 단열재, 보온재 🗄️
👍D1 스폴링, 슬래킹, 버스팅
D1 스폴링, 슬래킹, 버스팅
● 스폴링(spalling)현상 : 박락현상이라 하며 급격한온도변화로인해 내화물이 사용하는 도중에 갈라지든지, 떨어져 나가는 현상을 말한다.
● 슬래킹(slacking)현상 : 수증기를 흡수하여 체적변화를 일으켜 균열이 발생하 거나 떨어져 나가는 현상으로 염기성 내화물에서 공통적으로 일어난다.
● 버스팅(bursting)현상 : 크롬 철광을 원료로 하는 내화물이 1600[°C]이상에서 산화철을 흡수하여 표면이 부풀어 오르고 떨어져 나가는 현상으로 크롬질 내회물에서 발생한다.
👍D2 보온제의 안전사용온도(1580)
보온재온도
명칭 | 최고사용안전온도 |
---|---|
폴리우레탄폼 | 130[℃] |
탄화코르크 | 130[℃] |
폼글라스 | 300[℃] |
규조토 | 500[℃] |
암면 | 600[℃] |
펄라이트 | 650[℃] |
규산칼슘 | 815[℃] |
세라믹 파이버 | 1000~1300[℃] |
● 보냉재 : 100[℃] 이하
● 보온재 : 무기 300~800[℃], 유기 100~300[℃]
● 단열재 : 800~1200 [℃]
● 내화 단열재 : 1300[℃] 이상
● 내화물 : 1580[℃] 이상
17A01►가마울림 현상의 방지대책 4가지를 쓰시오.
K4 가마울림현상 (수밸량면2)
- ❶ 연료 속에 함유된 수분이나 공기는 제거한다
- ❷ 연료량과 공급되는 공기량의 밸런스를 맞춘다
- ❸ 무리한 연소와 연소량의 급격한 변동은 피한다
- ❹ 연도의 단면이 급격히 변화하지 않도록 한다
- ● 2차 연소를 방지한다
- ● 2차 공기를 가열하여 통풍조절을 적정하게 한다
- ● 노 내의 연도 내에 불필요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 ● 연소실내에서 완전연소시킨다
- ● 연소실이나 연도를 연소가스가 원활하게 흐르도록 개량한다
16B07►터널요의 구조부, 구성장치에 대해 각각 3가지씩 쓰시오
터널요의 구조부, 구성장치
- 예열부, 소성부, 냉각부
- 대차, 샌드실, 푸셔
►요로의 효율을 좋게 운전하기 위한 방법 2가지를 쓰시오.
D2 요로의 효율개선
- 단열조치를 강화하여 방사열량을 감소시칸다.
- 가열온도를 적정온도로 유지시켜 과열이 발생하지
- 적정 공기비를 유지시켜 완전연소가 되도록 한다.
- 연소용 공기는 배열을 이용하여 예열시켜 공급한다.
요(嘉)를 조업방법에 의하여 분류할 때 연속식 요 3가지를 쓰시오
요의 조업방식
- 연속요 : 윤요, 연속식 가마, 터널 가마, 반터널식 가마 등
- 반연속요 : 등요, 셔틀 가마 등 불연속요 : 승염식요, 횡염식요, 도염식요, 종가마 등
공업용 요로에 단열제를 사용하였을 때 나타나는 단열효과 4가지를 쓰시오
D2 공업용 요로에 단열효과
- 축열 및 전열손실이 적어진다
- 노내 온도가 균일해진다
- 노벽의 온도구배를 줄여 스폴링현상을 방지한다
- 노벽의 내화물의 내구력이 증가한다
- 열손실을 방지하여 연료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17C07►보온재의 구비조건 5가지를 쓰시오.
D4 보온재 구비조건(전내흡비온,두)
- 열전도율이 작을것
- 적당한 내구성을 가질것
- 흡습성 흡수성이 작을것
- 부피, 비중이 작을것
- 안전 사용온도 범위에 적합할것
- 시공성이 좋을것
- 내열성 내약성이 있을것
D4 보온재 열효율
- 보온재의 두께를 두껍게 한다.
- 보온재의 비중(밀도)을 작게 한다.
-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를 줄인다
- 보온재 내부의 수분을 제거한다.
23C01►다음 내화물의 분류에 해당하는 내화물의 종류 각각 2가지 쓰시오
16A01►무기질 보온재의 특징 5가지 쓰시오
D3 무기질 보온재의 특징
- 경도가 높다
- 최고안전사용 온도가 높다
- 불연성이며 열전도율이 낮다
- 내수성, 내소성변형성이 우수하다
- 비싼편이지만 수명이 길다.
👍D4 보온재 구비조건(전내흡비온,두)
🔯D5 배관재 및 밸브
18b04►급수펌프 후단(토출측)에 설치하는 것으로 급수가 반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의 명칭과 종류 2가지를 쓰시오.
펌프 토출측에 설치하여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밸브
종류(스윙식, 리프트식, 해머리스 체크벨브)
18c08►게이트밸브의 특징을 4가지만 쓰시오
D5 게이트벨브(슬루스벨브)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가장 일반적인 밸브로서 냉수,온수,난방 배관 등 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완전히 열거나 닫도록 설계되어 있다. 벨브 개방시 유체 흐름의 단면적 변화가 없어 압력손실이 적은 특징
- 게이트벨브 또는 사절변이라 한다
- 리프트가커서 개폐시간이 걸린다
- 밸브를 완전히 열면 밸브본체속에 관로의 단면적과 거의 같게된다
- 쐐기형의 밸브 본페가 밸브 시트안을 눌러 기밀을 유지한다
- 유로의 개폐용으로 사용한다
- 밸브를 절반 정도 열고 사용하면 와류가 생겨 유체의 저항이 커지기 때문에 유량조절에는 적합하지 않다.
18c07►연료유 중의 슬러지, 협잡물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인 스트레이너 설치로 얻을 수 있는 효과를 4가지만 쓰시오
21b08►펌프 등 배관계통에서 유체의 흐름 속에 이물질 등으로 인하여 설비의 파손 또는 오동작 그리고 흐름상 저항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주요 설비 전단에 설치하는 장치로서 Y형과 U형 등 형태로 배치되는 부속품
17B03►펌프 입구 및 토출 측에 설치하는 플렉시블 조인트(flexible joint)를 설치하는 이유목적 및 종류를 쓰시오
B8 플렉시블조인트
- 펌프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
- 배관에 발생되는 열응력제거
- 배관의 신축 흡수로 배관 파손이나 밸브 파손 방지
- 상온 스프링형
- 루프형
- 밸로스형
열전달
🔯D6 열의 이동
👍D7 열전도계산
17B14 | 17C12 | 18B11 | 20C17 | |
중간온도 | 16B12 | 19A12 | 20A12 | |
22A07 | 21B11 | |||
중공원통 | 16C11 | 18C13 | 19C12 | |
다층벽 | 22B18 | 21A18 | 20D12 | 23B12 |
23A13 | ||||
구형용기 | 22C13 | 16A14 | 24B17 | |
스케일 | 16C09 | 20D16 | ||
복사 | 20A15 |
열전도율[kcaI/m·h·℃], 열관류율[kcaI/m²·h·℃], 내외부온도차[℃]
20C17►노 내부부터 두께 40[cm] 열전도도 1.2[W/m·K]인 내화벽돌, 그 외측에 열전도도가 0.12[W/m·K]인 단열재로 노벽을 시공하고자 한다. 노 내부의 온도가 1300[℃]이고 실내온도가 30[℃]라 할때 단열재는 안전사용온도 850[℃]로 유지되고 있다면 단열재의 두께는 몇 [㎜]로 시공하여야 하는가?
D7 열전도율계산
b 벽의두께, λ 열전도율, F 표면적
16C11►배관 외경이 30[㎜]인 길이 15[m]의 증기관에
두께 15[㎜]의 보온재를 시공하였다. 관 표면온도 100[℃] 보온재 외부온도 20[℃]일 때 단위 시간당 손실열량은 몇[kJ]인가?
D8 전도열계산(중공원통)
21A18►내부온도 200[℃], 외부온도 20[°C]인 곳에 열전도율이 각각 다른 “A”, “B”, “C”, “D”재료로 그림과 같이 3중 구조체가 설치되었고, 구조체의 중간 부분은 “B”와 “C”가 2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B’’와 “D”의 경계면 온도가 90[℃]로 측정되었을 때 “A”의 열전도율[W/m·°C]을 계산하시오.
D8 다층벽 열전도열 계산
22C13►안쪽 반지름 50[㎝], 바깥반지름 90[㎝], 열전도율(λ) 41.87[W/m·K]인 구형 고압반응용기 내외의 표면온도가 각각 563[K], 543[K]일 때 열손실은 몇[kW]인가?
D8 전도열계산(구형용기)
16C09►두께 20[㎜] 강관에 스케일이 3[㎜] 부착하였을 때 열전도 저항은 초기상태인 강관의 몇 배에 해당되는가?
20A15►노내의 온도가 600[°C]인 상태에서 500*500[㎜]의 노 문을 열었다. 이때 노 문을 통한 방사전열 손질 열량은 몇[W]인가 (단, 실내온도는 30[°C] 화염의 방사율은 0.38, 스테판-볼츠만 상수()는 5.67[W/m² K⁴]이다.
D9 복사전열량
👍D9 복사전열량, 대류전열량
15B08 외기온도 21[℃]일 때 표면온도 221[℃]인 관 표면에서 방사에 의한 전열량은 자연대류에 의한 전열량의 몇 배가 되는지 계산하시오. (단, 방사율은 0.9, 스테판-볼츠만 상수는 5.67 X 10-8[W/m2•K], 대류 열전달률은 5.56[W/m2•K)이다.)
D9 복사전열량
복사열전달률
D9 대류전열량
👍D0 단위 면적당 복사 전열량

https://m.blog.naver.com/booster2222/221303582129

글로브밸브

👍 게이트벨브(슬루스벨브)

👍D 체크밸브
👍D 신축이음
👍 스트레이너
3️⃣증기보일러에 설치되는 주증기 밸브에 대한 물음에 답하시오.
(1) 주증기 밸브를 사용하는 목적을 쓰시오. (2) 주증기 밸브를 개페할 때 천천히 조작하여야 하는 이유를 쓰시오.
(l) 보일러에서 발생된 증기를 송기 및 정지하기 위하여 (2) 주증기관에서 수격작용 방지 및 본체 내에서 프라이밍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