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사용설명서(눌러서 자세히보기)
► 가독성을위해 내용을 숨겨둔곳입니다. 눌러서 펼쳐보실수있습니다.
밑줄이있는글자를 누르시면 해당내용이 열립니다.
밑줄이 있는 내용을 펼쳐보고싶을때 색이있는 부분을 누르시면 펼쳐집니다.
❯전원설비
- A 수변전설비의 에너지 절약설계방안
위치,종류,고효율,용량,방식,전압강하 - B 전력관리 측면에서의 에너지 절약대책
부하,역률,전압 - C 수용가 전력제어(첨두부하제어=수요관리=부하율관리)
피크컷,피크시프트,발전기,프로그램,열병합,냉온수기,신재생 - E 최대 수요전력제어
💯기출문제
●A01수변전설비에서 에너지 절약방안을 제시하시오
모범답안(수변전설비에서 에너지 절약방안)
1)고효율 변압기 선정
- 용량이 증가할수록 효율이 증가
- 동일용량의 경우 절연계급이 낮은 변압기가 효율이 증가
- 변압기 무부하 손실은 대부분 철손이 차지하므로 고자속 밀도와 규소강판을 사용하면 효율을 증가
- 기존의 규소강판 대신 아몰퍼스 합금을 사용하면 무부하손(철손)을 기존변압기의 1/5로 줄일 수 있다
- 하이브리드 변압기 사용 시 고조파 방지, 에너지 손실 절감
2)적정용량 선정
- 부하 변동을 고려하여 적정 용량의 변압기를 선정하여 과대 용량으로 인한 손실을 방지
- 변압기용량≥합성최대부하=(설비부하의 합계*수용률)/부등률
- 수용률=(최대수용전력/설비용량)*100[%]
- 부등률=(각각의 최대 수용전력의 합/합성 최대 수용전력)
3)변압기 운전방식을 고려한 전력 절약계획
- 운전대수 제어
- 복수대의 변압기를 설치하여 부하의 변동에 따라 가장 효율이 좋게 되는 쪽(통합운전)으로 조합하여 운전하고 나머지는 차단하는 방식
- 소용량 변압기로 교체
- 대, 소용량 변압기 2대를 설치하여 부하 상태에 따라 변압기 교체 사용
4)온도관리
변압기 주변 온도를 낮춰 손실을 줄이고 수명을 연장
5)무부하 손실 감소
운전하지 않는 변압기는 차단하여 무부하 손실을 최소화
○C02경부하와 첨두부하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 부하관리방안을 설명하시오
모범답안
1. 수요 반응 (Demand Response)
- 시간대별 요금제: 소비자들이 전력 사용량이 적은 시간대에 전력을 많이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요금제입니다.
- 직접 부하 제어: 전력 공급자가 소비자의 전력 사용량을 직접 제어하여 첨두 부하 시 전력 수요를 줄이는 방식입니다.
- 간접 부하 제어: 소비자에게 전력 사용량을 줄이도록 유도하고, 이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2. 에너지 저장 시스템 (ESS)
- 첨두 부하 시에는 방전하여 전력을 공급하고, 경부하 시에는 충전하여 에너지를 저장함으로써 전력 수요의 변동을 완화시킵니다.
-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와 연계하여 활용하면 에너지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습니다.
3. 스마트 그리드
- 다양한 전력 소비자와 에너지 생산 시설을 정보통신기술(ICT)로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고 제어하는 시스템입니다.
- 수요 반응, ESS 등 다양한 부하관리 기술과 연계하여 효율적인 전력 시스템 운영을 가능하게 합니다.
4. 산업 부문의 부하 관리
- 대규모 전력 소비자인 산업 부문에서 시간대별 전력 사용량을 조절하여 첨두 부하를 완화시키는 방안입니다.
- 생산 공정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에너지 효율적인 설비를 도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 (BEMS)
- 건물 내의 난방, 냉방, 조명 등 다양한 설비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시스템입니다.
- 태양광 발전 등 재생에너지와 연계하여 활용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6. 전기 자동차 충전 관리
- V2G (Vehicle to Grid) 기술을 활용하여 전기 자동차 배터리를 에너지 저장 시스템으로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 전기 자동차 충전 시간을 분산시키고, 첨두 부하 시간대의 충전을 제한하여 전력 수요를 관리하는 방식입니다.
●A03대전력 수용가의 입장에서 본 전력분야의 에너지절감을 위한 방법 및 절감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에너지 진단 및 효율화
- 정기적인 에너지 진단: 전문가를 통해 시설 내 에너지 소비 현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에너지 낭비 요인을 찾아 개선합니다.
- 고효율 설비 도입: 노후화된 설비를 고효율 설비로 교체하고, 에너지 효율이 높은 신기술을 도입합니다. (예: 고효율 모터, 인버터, LED 조명 등)
- 공정 개선: 생산 공정을 분석하고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유발하는 요소를 개선합니다. (예: 열 회수 시스템 도입, 공기 압축 시스템 최적화 등)
-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BEMS) 도입: 건물 내 에너지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최적의 에너지 사용 환경을 조성합니다.
2. 수요 관리
- 피크 시간대 전력 사용량 감축: 피크 시간대에 에너지 소비가 큰 설비의 가동을 줄이거나, 비피크 시간대로 전환합니다.
- 시간대별 요금제 활용: 전력 사용량이 적은 시간대에 전력을 많이 사용하여 요금을 절감합니다.
- ESS(에너지 저장 시스템) 도입: 잉여 전력을 저장하여 피크 시간대에 활용하고, 전력 요금 변동에 대응합니다.
3. 신재생에너지 도입
- 태양광 발전: 자체적으로 전력을 생산하여 에너지 자립도를 높이고, 전력 구매 비용을 절감합니다.
- 지열 발전: 냉난방에 활용하여 에너지 소비를 줄입니다.
- 연료전지: 고효율 발전으로 전력과 열을 동시에 생산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킵니다.
4. 제도 활용
- 정부 지원 사업: 에너지 절약 투자에 대한 정부 지원 사업을 적극 활용합니다. (예: 투자 세액 공제, 저금리 융자 등)
- 에너지 절약 컨설팅: 전문 컨설팅 기관을 통해 맞춤형 에너지 절감 방안을 수립합니다.
5. 직원 교육 및 참여 유도
- 에너지 절약 교육: 직원들에게 에너지 절약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실천 방법을 교육합니다.
- 에너지 절약 경진대회: 직원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에너지 절약 문화를 확산시킵니다.
대전력 수용가를 위한 에너지 절감 성공 사례
- 상업시설: LED 조명 교체, BEMS 구축, 자연 채광 활용으로 에너지 비용 절감
- 제조업: 생산 공정 개선, 고효율 설비 도입, BEMS 구축을 통해 에너지 소비를 30% 이상 절감
- 데이터센터: 냉각 시스템 개선, 서버 가상화, 친환경 냉매 도입으로 에너지 효율 향상
●E04에너지 절약을 위한 수용가의 최대수요전력 제어방법을 설명하시오
최대수요전력이란?
최대수요전력이란 일정 시간 동안 사용한 전력 중 가장 높은 값을 의미합니다. 전기요금은 이 최대수요전력에 기반하여 산정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최대수요전력을 낮추는 것은 곧 전기요금 절감으로 이어집니다.
최대수요전력 제어 방법
1. 첨두부하 억제 (Peak Clipping)
- 최대수요전력제어장치 활용: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설정된 최대 수요전력을 초과할 경우 자동으로 일부 부하를 차단하여 최대 수요를 억제합니다.
- 수동 제어: 운전자가 직접 비중이 낮은 부하를 수동으로 차단하여 최대 수요를 낮추는 방법입니다.
- 발전기 이용 부하 분담: 자가 발전기를 이용하여 일부 부하를 분담함으로써 외부 전력망으로부터 공급받는 전력량을 줄입니다.
- 신재생에너지 적용: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하여 자체 발전량을 늘리고, 외부 전력 의존도를 낮춥니다.
2. 첨두부하 이동 (Peak Shift)
- 심야 시간대 이용: 전기 요금이 저렴한 심야 시간대에 전력 소비량이 많은 작업을 미리 수행하여 피크 시간대의 부하를 줄입니다.
- 축열 및 축냉: 심야 시간대에 물이나 얼음을 이용하여 열에너지 또는 냉기를 저장해 두었다가 피크 시간대에 사용합니다.
- 에너지저장장치(ESS) 활용: 경부하 시간대에 전기를 저장하여 피크 시간대에 방출함으로써 부하 변동을 완화합니다.
3. 기타 방법
- 고효율 설비 도입: 에너지 효율이 높은 설비로 교체하여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전력 소비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에너지 절약 캠페인: 직원들에게 에너지 절약의 중요성을 교육하고, 실천을 유도하는 캠페인을 진행합니다.
-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 도입: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을 도입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입니다.
최대수요전력 제어의 효과
- 전기요금 절감: 최대수요전력을 낮추면 전기요금의 주요 구성 요소인 기본요금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 피크 전력 부담 완화: 최대수요전력을 줄임으로써 전력 시스템의 부담을 완화하고, 안정적인 전력 공급에 기여합니다.
- 에너지 절약: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줄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환경 보호에도 기여합니다.
○A05전력제어설비 장치에 사용되는 부품 중에서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의 사용온도와 수명과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 개요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는 높은 정전용량을 얻을 수 있어 전력 제어 시스템에서 필터링, 커플링, 에너지 저장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하지만 다른 부품들에 비해 온도에 민감하여 사용 온도에 따라 수명이 크게 달라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용 온도와 수명의 관계
- 온도 상승, 수명 감소: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는 온도가 상승할수록 내부 전해액의 증발이 가속화되어 수명이 단축됩니다. 일반적으로 온도가 10℃ 상승하면 수명이 약 절반으로 감소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온도 하강, 수명 증가: 반대로 온도가 낮아지면 전해액의 증발이 억제되어 수명이 연장됩니다. 하지만 너무 낮은 온도에서는 전해액의 점도가 증가하여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 정격 온도: 각 콘덴서에는 정격 온도가 명시되어 있으며, 이 온도를 넘지 않도록 사용해야 합니다. 정격 온도를 초과하면 콘덴서의 수명이 급격히 감소하고, 심각한 경우 폭발할 수도 있습니다.
사용 온도가 수명에 미치는 영향의 원리
- 전해액 증발: 고온에서는 전해액의 증기압이 높아져 증발 속도가 빨라집니다. 전해액이 감소하면 콘덴서의 정전 용량이 감소하고, ESR(등가 직렬 저항)이 증가하여 성능이 저하됩니다.
- 절연 파괴: 고온에서는 절연체의 절연 내력이 감소하여 누설 전류가 증가하고, 결국 절연 파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재료 열화: 고온에서는 콘덴서 내부의 재료가 열화되어 수명이 단축됩니다.
전력제어설비에서의 고려 사항
- 냉각 시스템: 콘덴서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충분한 냉각 시스템을 구축해야 합니다.
- 열 설계: 콘덴서 주변의 열 설계를 신중하게 진행하여 열 축적을 방지해야 합니다.
- 정기적인 점검: 콘덴서의 온도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이상이 발견되면 즉시 교체해야 합니다.
- 여유 설계: 콘덴서의 정격 용량을 충분히 확보하고, 온도 상승에 따른 성능 저하를 고려하여 여유를 두고 설계해야 합니다.
●B06빌딩 내 전력시스템 제어방식을 종류별로 설명하시오
모범답안(전력시스템 제어방식을 종류)
1. 수동 제어 방식
- 개요: 사람이 직접 스위치, 컨트롤러 등을 조작하여 전력을 제어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식입니다.
- 장점: 간단하고 저렴하며, 즉각적인 조작이 가능합니다.
- 단점: 에너지 효율이 낮고, 실시간 모니터링 및 제어가 어렵습니다.
- 적용 분야: 소규모 건물, 단순한 전력 시스템에 주로 사용됩니다.
2. 자동 제어 방식
- 개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으로 전력을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 종류:
- 온도 기반 제어: 실내 온도에 따라 난방, 냉방 설비를 자동으로 가동합니다.
- 시간 기반 제어: 시간대별로 전력 사용량을 제한하거나, 특정 시간에 설비를 자동으로 가동/정지시킵니다.
- 조도 기반 제어: 외부 빛의 양에 따라 조명을 자동으로 조절합니다.
- 장점: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사람의 개입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단점: 유연성이 부족하고, 복잡한 시스템에는 적용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3. 최적화 제어 방식
- 개요: 건물의 특성, 외부 환경 조건, 사용자의 요구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에너지 사용 계획을 수립하고, 이에 따라 전력을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 종류:
- 모델 기반 제어: 건물의 열적 모델을 기반으로 최적의 제어 전략을 수립합니다.
- 인공지능 기반 제어: 머신러닝, 딥러닝 등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분석하고 최적의 제어를 수행합니다.
- 장점: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고, 시스템의 적응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 단점: 초기 구축 비용이 높고,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합니다.
4. 통합 시스템 제어 방식
- 개요: 빌딩 내 다양한 시스템(조명, 난방, 냉방, 환기, 보안 등)을 통합하여 하나의 시스템으로 관리하고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 장점: 시스템 간의 상호 작용을 고려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운영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단점: 시스템이 복잡하고, 구축 및 유지보수 비용이 높습니다.
5. 스마트 그리드 연계 제어 방식
- 개요: 빌딩을 스마트 그리드에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전력 수요를 관리하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방식입니다.
- 장점: 전력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신재생에너지와의 연계를 통해 에너지 자립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 단점: 스마트 그리드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며, 보안 문제에 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6.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기반 제어 방식
- 개요: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통해 빌딩 내 모든 에너지 사용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방식입니다.
- 장점: 에너지 사용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문제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 단점: 시스템 구축 및 운영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합니다.
●E07업무용빌딩의 첨두부하 제어방식(종류별)
모범답안(첨두부하 제어방식)
1. 시간대별 부하 관리 부하 이동 (Load Shifting)
- 개요: 시간대별로 전력 사용량이 많은 설비의 가동을 조절하여 첨두 부하를 분산시키는 방식입니다.
- 방법:
- 피크 시간대 회피: 냉난방, 조명 등 전력 소비가 큰 설비의 가동을 피크 시간대를 피해 운영합니다.
- 탄력적 운전: 생산 공정의 유연성을 활용하여 부하를 조절합니다.
- 시간대별 요금제 활용: 전력 사용량이 적은 시간대에 전력을 많이 사용하여 요금을 절감합니다.
2. 부하 제한 및 차단(Peak Clipping)
- 개요: 첨두 부하가 발생할 때 일부 부하를 제한하거나 차단하여 전체적인 전력 사용량을 줄이는 방식입니다.
- 방법:
- 최대수요전력 제어 장치: 실시간으로 전력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설정된 최대수요전력을 초과할 경우 자동으로 부하를 차단하거나 조절합니다.
- 비필수 부하 우선 차단: 조명, 냉난방 등 비필수적인 부하를 우선적으로 차단합니다.
3.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활용
- 개요: 잉여 전력을 저장하여 첨두 부하 시 방출함으로써 전력 수요의 변동을 완화시키는 방식입니다.
- 방법:
- 피크 시 방전: 첨두 부하 시 저장된 에너지를 방출하여 외부 전력 구매량을 줄입니다.
- 밸런싱: 전력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을 해소하여 시스템 안정성을 향상시킵니다.
4. 고효율 설비 도입
- 개요: 에너지 효율이 높은 설비를 도입하여 기본적인 전력 소비량을 줄이는 방식입니다.
- 방법:
- 고효율 모터: 기존 모터를 고효율 모터로 교체하여 에너지 손실을 줄입니다.
- LED 조명: 백열등이나 형광등 대신 LED 조명을 사용하여 에너지 소비를 줄입니다.
- 고효율 냉난방 설비: 냉난방 효율을 높여 에너지 소비를 줄입니다.
5.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BEMS) 활용
- 개요: 건물 내 모든 에너지 사용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방식입니다.
- 방법:
- 실시간 모니터링: 실시간으로 에너지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이상 징후를 감지합니다.
- 최적화된 운전: 실시간 데이터 분석을 통해 최적의 운전 조건을 설정합니다.
- 예측 제어: 미래의 에너지 사용량을 예측하고, 사전에 에너지 사용을 조절합니다.
6. 스마트 그리드 연계
- 개요: 빌딩을 스마트 그리드에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전력 수요를 관리하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방식입니다.
- 방법:
- 수요 반응: 전력 수요가 높을 때 전력 사용량을 줄이고, 낮을 때는 전력 사용량을 늘리는 방식으로 전력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합니다.
- 신재생에너지 연계: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하여 에너지 자립도를 높입니다.
7. 인공지능 활용
- 개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빌딩의 에너지 사용 패턴을 분석하고, 최적의 제어 전략을 수립합니다.
- 방법:
- 머신러닝: 과거의 데이터를 학습하여 미래의 에너지 사용량을 예측하고, 최적의 제어 전략을 제시합니다.
- 딥러닝: 복잡한 패턴을 분석하여 더욱 정확한 예측과 제어를 수행합니다.
●B08전력설비 관리개념을 3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 전력자산의 운영정책 입안 시 고려할 사항을 기술적측면과 경제적 측면으로 나누어 설명하시오
1. 전력설비 관리 개념 3단계
1단계: 계획 단계
- 장기 계획 수립: 시스템 확장, 노후 설비 교체, 예비력 확보 등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합니다.
- 유지보수 계획 수립: 설비별 점검 주기, 예방 정비 계획 등을 수립하여 예상되는 고장을 미리 방지하고 시스템 안정성을 확보합니다.
- 투자 계획 수립: 설비 투자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예산을 확보합니다.
2단계: 운영 단계
- 실시간 모니터링: 설비의 운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이상 징후를 조기에 감지합니다.
- 고장 진단 및 복구: 발생한 고장을 신속하게 진단하고 복구하여 시스템 가동률을 높입니다.
- 성능 평가: 설비의 성능을 정기적으로 평가하여 효율성을 향상시킵니다.
3단계: 개선 단계
- 데이터 분석: 운영 데이터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합니다.
- 시스템 최적화: 시스템 효율을 높이기 위한 개선 작업을 수행합니다.
- 신기술 도입: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여 시스템의 경쟁력을 강화합니다.
2. 전력자산 운영정책 입안 시 고려 사항
기술적 측면
- 설비 신뢰도: 설비의 고장률, 수명, 유지보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신뢰성 높은 설비를 선택해야 합니다.
- 최신 기술 도입: 스마트 그리드, IoT 등 최신 기술을 도입하여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고 미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합니다.
- 안전성: 안전 기준을 준수하고, 안전 시스템을 구축하여 인명 및 재산 피해를 방지해야 합니다.
- 환경 고려: 친환경 설비를 도입하고, 환경 규제를 준수해야 합니다.
경제적 측면
- 투자 비용: 설비 투자 비용, 유지보수 비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높여야 합니다.
- 운영 비용: 전력 요금, 인건비 등 운영 비용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 수익성: 투자 대비 수익률을 고려하여 투자 우선순위를 결정해야 합니다.
- 자산 가치: 설비의 가치를 유지하고 향상시켜 자산의 효율적인 활용을 도모해야 합니다.
●A09부하율 과다, 부하율 개선관련 변압기의 효율적 관리방안
모범답안(변압기의 효율적 관리방안)
부하율 과다의 문제점
- 온도 상승: 과도한 전류 흐름으로 인해 변압기 내부 온도가 상승하여 절연 파괴, 수명 단축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동손 증가: 동손은 전류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부하율이 높아질수록 동손이 크게 증가하여 에너지 손실이 커집니다.
- 효율 감소: 부하율이 낮을 때는 철손이 주요 손실이고, 부하율이 높을 때는 동손이 주요 손실이 되므로, 적정 부하율에서 변압기 효율이 최대가 됩니다. 부하율이 과도하면 효율이 감소하여 전력 손실이 커집니다.
- 변압기 수명 단축: 과부하 상태가 지속되면 변압기의 수명이 단축되어 자주 교체해야 할 수 있습니다.
변압기 효율적 관리 방안
1. 부하 분산:
- 여러 대의 변압기 병렬 운전: 부하를 여러 대의 변압기에 분산하여 단일 변압기의 부담을 줄입니다.
- 부하 이동: 피크 시간대의 부하를 비피크 시간대로 이동시켜 부하 곡선을 평탄화합니다.
- 부하 제어: 필요에 따라 특정 부하를 제어하여 전체 부하를 조절합니다.
2. 변압기 용량 적정화:
- 정기적인 부하량 조사: 변압기의 부하량을 정기적으로 조사하여 적정 용량의 변압기를 사용합니다.
- 과대 용량 변압기 교체: 과대 용량의 변압기를 적정 용량의 변압기로 교체하여 투자 비용을 절감하고 효율을 높입니다.
3. 변압기 유지보수 강화:
- 정기적인 점검: 절연유 상태, 온도, 소음 등을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합니다.
- 예방 정비: 예방 정비를 통해 고장을 미리 방지하고 수명을 연장합니다.
- 노후 변압기 교체: 노후화된 변압기를 신규 변압기로 교체하여 효율을 높입니다.
4. 최신 기술 활용:
- 스마트 변압기: IoT 기술을 활용하여 변압기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고장을 예측하여 사전에 조치합니다.
- 에너지 관리 시스템(EMS): 전체 시스템의 에너지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최적의 운영 방안을 제시합니다.
5. 효율적인 운전:
- 부하율 조정: 변압기의 부하율을 최대 효율점 부근으로 유지합니다.
- 무효전력 보상: 무효전력을 보상하여 역률을 개선하고, 전력 손실을 줄입니다.
- 온도 관리: 변압기 주변 온도를 낮춰 수명을 연장합니다.
●E10하절기 피크전력 제어 위한 최대 수요전력제어
4️⃣하절기 피크전력 제어 시 고려 사항
경제성: 초기 투자 비용과 운영 비용을 고려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높여야 합니다.
건물 특성: 건물의 규모, 용도, 냉방 방식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제어 방안을 수립해야 합니다.
외부 환경: 기온, 습도 등 외부 환경 변화를 고려하여 제어 시스템을 운영해야 합니다.
사용자 편의: 제어 시스템 운영으로 인해 사용자의 불편함이 최소화되도록 해야 합니다.
●A11수변전설비 설계시 에너지 절약방안
🌐V1010T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