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명 실제 (JA)
도로조명
도로조명(교차로,횡단보도)
터널조명
터널조명(L20,터널조명제어)
터널조명(플리커 현상)
주택조명
학교조명
병원조명 설계
전시조명
백화점 조명
경기장 조명
경관조명 설계
빛공해 방지법
광고조명의 조명방식
목차(경관조명 설계 JAE)
경관조명 설계
1️⃣경관조명의 목적
- 역사적인 건조물, 도로, 교량, 공원 등에 야간도시 경관의 연출효과 극대화
- 사람과 차량 등의 안전 확보 상업 활동 조성
- 도시경쟁력 강화

2️⃣경관조명의 종류
1)건축물의 투명조명
- 건조물의 조명은 야간의 도시경관을 돋보이게 하는 중요한 요소로 주간의 경관을 해치지 않고 건조물 자체를 조명하여 주간과는 다른 입체감, 미적 효과를 강조
- 역사적, 종교적으로 중요한 건조물, 상징탑 기념탑 등의 건조물에는 본래의 모습을 바르게 표현해야 하는데 특히 색채와 입체감의 표현에 주의하고 조화와 격조를 높이도록
- 상업용 빌딩에서는 존재감을 나타내고 미적 효과를 강조하여야 하므로, 빛과 그림자를 함께 사용.
2)광장의 조명
- 역전광장, 버스터미널, 사찰광장, 시가지 광장, 건물 앞 광장 등이 있는데 역이나 버스터미널 광장 등은 사람이나 차량의 흐름이 많으며 랜드마크적인 장소인 경우가 많아 광장 전체를 조명하거나 거리의 상징성을 표현
- 시가지 광장은 도시공간의 휴식의 장으로 공원적 성격이 강하여 보행자의 조명이 기본이다. 공개 광장과 조명이 복잡화 되고 있다
3)분수조명
- 분수는 물에 친숙한 사람의 마음을 평온하게 할 수 있고, 사람이 쉬는 광장, 공원등에 설치
- 분수의 조명은 분수의 연출을 맡는 형상에 맞춰 효과적으로 행하는 것이다. 물이 크게 변동하는 경우에는 투과광의 확산효과를 이용하여 빛이 반짝이는 것을 활용하는 효과적인 조명이 자주 행하여진다.
4)가로의 조명
- 도로, 가로, 지하도 등의 조명 목적은 보행자가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고 가로에서의 범되방지, 사고재해의 방지를 위해서 적절한 밝기를 확보하는 것
- 건축물의 색채, 보행자의 복장, 안색 등의 자연에 가까운 상태를 보일 수 있는 연색성이 좋은 광원을 사용하고, 조명기구, 등주가 거리의 경관에 조화되고 정연하게 배열되어 통일성을 갖도록 하여 가로 전체의 인상을 향상시켜야 한다.
5)공원조명
- 공원의 조명은 그 공원이 갖는 특징을 시각 환경의 시점으로부터 천공, 식재, 지면 등과의 조화를 고려하면서 계획을 진행한다
- 공원은 산책, 휴식, 오락 등의 행동을 하는 장이며, 경기의 광장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 공원의 조명은 야간의 범죄방지, 안전확보는 물론 공원에 들른 사람들에게 쉬는 편안한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는 계획이 중요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안전확보를 위하여 명시조명을 고려해 어두운 인상을 갖지 않게 하기 위한 5[lx]이상의 밝기가 요구된다
- 환경이 좋은 조명의 확보가 주체이므로 식대를 아름답게 보이도록 광원의 연색성의 검토, 수목의 그림자, 밝기의 농담으로 깊이의 느낌을 준다.
6)교량조명
- 도시의 야경을 개선하고 여행자에게 아름다움을 인식시켜 줌
- 도시공간 속에서 지역을 대표하는 상징물로서의 역할
- 빛으로 장식함으로써 시민 통행의 안전성 향상
3️⃣경관 조명기법

1)조명기법에 의한 분류
- 직접투광
- 투광기로 대상물을 직접 조명하는 방법
- 근대건축이나 역사적 건조물, 탑의 형태나 전체 모습, 그늘이 강조된다
- 발광
- 일루미네이션 장식의 조명을 설치하는 방법
- 탑의 외형, 구조가 강조된다
- 투과광
- 실내조명에서 창밖의 야경을 연출하는 경우 활용하는 방법
- 고층건물이나 현대 건축물의 높이와 위용감을 표현한다

2)조명기구 설치방법에 따른 분류
- 지면에서 빛을 투사하는 방법
- 도로 등에 폴을 써서 설치하는 방법
- 건물 자체에 설치하는 방법
- 인접 건물에 설치하는 방법

3)조명방식에 따른 분류
- 전반조명
- 대상물을 전체적으로 조명하는 방식
- 건물의 인지도를 높이고 전반적인 안정감을 제공한다
- 부분조명(=국부조명)
- 대상물의 특정 부분을 조명하는 방식
- 특정한 부분을 강조할 때 사용한다
4️⃣조명계획절차

1)경관조명의 계획 시 고려사항
- 공공시설에 대한 이해와 친밀감을 향상
- 야간 도시생활을 활성화
- 상업활동의 진흥
- 시민생활 문화의 다양화
- 역사적 건물의 역사의식 고취
- 도시의 자연환경 인식 향상
- 관광산업 진흥
- 교통 흐름의 이해
2)설계 시 요건의 조사와 계획순서
- 주변환경의 밝음
- 대상물의 형상과 크기
- 대상물의 표면의 재질 및 색
- 보는 사람, 대상물, 조명기구의 위치관계
- 기대하는 조명효과
- 대상물의 경년적 변화 및 자연생태계와의 관계
- 주간의 미관
- 안정성과 보수성
- 사용, 광원에 따른 조도조절
- 주변 환경조건
3)조명의 요건
- 조도의 결정
- 필요조도는 조명 대상물 표면의 마감상태(재료반사율)와 배경이 되는 조명 환경의 밝기에 따라 설정된다
- 대상물을 조명에 의하여 주위로부터 부각시키기 위해서는 대상물의 면은 주위에 비하여 밝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 광원의 종류와 선정
- 광원에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으며, 각각의 색온도와 연색성등이 다르다. 대상물 표면 재료의 채색, 마감의 정도 등에 따라 최적의 것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 광원 선정의 요령 : 광원 선정의 요령은 광원, 효율, 수명, 동정특성, 광색(색온도) 연색성 및 색채 효과 등을 고려하여야 하며, 경관조명에서는 특히 조명대상물의 색채효과를 중요시하여야 한다
램프종류 | 효율 | 연색성 | 색온도 | 수명 | 강조색 | 약회색 |
---|---|---|---|---|---|---|
할로겐램프 | 낮다 | 우수 | 낮다 | 잛다 | 적,주황 | 청 |
고압수은램프 | 높다 | 약간낮다 | 낮다~높다 | 대단히 길다 | 적,녹,청 | 적,주황 |
메탈할라이드램프 | 수은램프보다 높다 | 높다 | 높다 | 길다 | 적,녹,청 | 적 |
고압나트륨램프 | 대단히높다 | 낮다 | 낮다 | 대단히길다 | 주황,황 | 황색계를 제외한 색 |
램프의 종류 | 적용범위 |
---|---|
할로겐램프 | 소형으로 손쉽게 사용할 수 있고, 황색, 적색 등을 아름답게 눈에 뛰게하므로, 휴식광장이나 산책로에 적당하다. 수명이 빫으므로, 높이 1m전후의 정위치조명이나 투광기가 소형이므로 되도록 간판조명에 적합하다 |
고압수은램프 | 수목, 잔디의 녹색을 선명하게 눈에 띄게 하기에는 적당한 광원이다. 수명이 길며 보수도 쉬워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된다 |
메탈할라이드램프 | 고효율과 연색성도 우수하므로, 사람들이 많이 왕래하는 광장, 도로, 유원지, 박람회장, 산책도로 등에 적당한 광원이다. |
고압나트륨램프 | 일반형은 고효율, 장수명, 경제성이나 보수성을 중요시 하는 차량교통이 많은 광장 등에 적절한 광원이다. 여연색형은 전구에 가까운 광색으로 연색성이 우수하므로 메탈할라이드 램프와 같이 사람 왕래가 많은 장소에 적당한 광원이다. |
- 표면색과 광원 : 대상물의 채색에 따른 적합광원은 다음 표와 같다. 백색계통의 마감색의 경우는 광원색으로 보이게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계절감이나 시간의 변화를 연훌하는 것도 가능하다
벽면의 마감색 | 광원 | |
---|---|---|
백,적,오렌지계통 | 백역전구, 할로겐 램프, 고압 나트륨 램프 | 제논램프,메탈할라이드램프 |
백,청,녹 계통 | 수은램프, 형광수은 램프 |
- 조명기구의 종류와 선정
- 건축물, 탑의 조형미와 경관미를 밤하늘에 부각시키는 경관조명에는, 일반적으로 투광조명 방식이 사용되며, 이러한 조명방식에는 보통 투광기가 사용된다. 투광기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투광기의 외관 구조, 사용관원및 용량, 배광특성등이 다르다. 대상물의 구조 및 마감색, 대상범위와 소요조도, 위치관계를 고려하여 최적의 조명기구를 선정
- 기구의 선정 요령 : 투광기의 선정은 설치장소나 주위환경, 조명대상물, 피조면의 형상, 넓이에 따른 조명의 질, 경제성, 도시경관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투광기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환형 투광기와 각형 투광기의 두 종류로 대별
- 투광기의 종류
- 광각형 배광의 투광기 : 넓은 범위에 낮은 조도로 조명할 경우나 근거리로부터 조명하는 경우
- 협각형 배광의 투광기 : 좁은 범위에 높은 조도로 조명할 경우나 원거리에서 조명하는 경우
- 조명기구 배치상의 유의점
- 주간의 경관 : 조명기구와 배관 배선이 될 수있는대로 눈에 잘 보이지 않도록 하여 주강의 경관으 해치지 않는 배치를 고려하여야 한다
- 눈부심 : 부근의 건물과 주거의 거주자, 보행자, 자동차의 운전 등에 유해한 눈부심을 주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 보수와 조정 : 보수의 면에서 최소 설치 시의 조명효과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경우 보수의 작업성과 낙엽, 적설 등에 대한 대책을 고려하여야 한다
5️⃣경관조명의 광해
1)정의
- 경관조명이란 공간의 아름다움을 빛으로 실현하고 쾌적한 생활과 풍요로움을 제공하는 것이다
- 경관조명을 설계할 때에는 아름다운 경관창조, 공간인지 및 유연성 확보 등도 중요하지만 반드시 광해에 대한 대책이 고려
- 환경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주변에 대해 배려하지 못하면 교통 및 안전에 대한 방해가 될 뿐아니라 동식물에도 영향을 미치고 사람에게도 불쾌감을 주어 밤하늘을 오염시키는 결과도 초래
2)광해의 영향
- 동식물에 대한 영향
- 농작물 : 야간조명에 영향이 큰 농작물에는 발육에 영향을 끼친다(벼 등)
- 식물 : 식물의 생태에 영향을 주어 성장이 미비하여 곤충등의 번식 실패, 가로수 등과 영향을 받는다(버드나무 등)
- 포유류, 파충류 : 야행성이 있는 것은 생식기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조류 : 교외 지역외 도시화에 따른 조류 생식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곤충 : 광에 유인되는 주광성의 종자 등에 인류의 피해 발생과 종의 소멸 우려된다
- 주거환경에 미치는 영향
- 잘못된 경관조명은 거실안으로 새어 들어와 광으로 인하여 수면방해나 글레어 발생
- 도로에서의 잘못된 경관조명은 교통안전 방해나 불쾌감을 유발
- 천공에 미치는 영향
- 천공으로 새어나가는 광은 먼지에 산란되고 난반사되어 천체 관측을 방해
- 지구온난화 요소발생
- 효과적이지 못한 경관조명은 에너지 낭비
3)광해 대책
- 조명기구의 제한
- 경기장 조명과 같은 옥외 조명은 광원의 중심과 전등 갓 선이 만나는 부분이 수평 또는 그것 이하로 향하도록 설치
- 옥외에서의 투광기는 수평 이하로 향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외에는 사용하지 않는것
- 건축물, 간판등 등 조명하는 경우 아래에서 위로 투광기 사용 제한
- 광원은 상단에 설치하여 수평 이상으로 빛이 비치지 않는 설계의 조명 기구 사용
- 미관상 등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옥외조명에는 천체 관측에 방해되는 등기구 사용자제
- 광원의 제한
- 가능한 한 투광등 사용제한
- 용도에 따라 필요한 최소한의 광량을 발산 광원사용
- 광원의 배광 곡선이 수평방향 위쪽으로 최소가 되도록
- 사용시간의 제한
- 경관조명의 점등시간을 가능한 최소화 한다. 오후 10시 이후부터 익일 일출까지는 소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계절별로 경관조명의 점등시간을 최단으로 조정하여 점등
조명 실제 (JA)
도로조명
도로조명(교차로,횡단보도)
터널조명
터널조명(L20,터널조명제어)
터널조명(플리커 현상)
주택조명
학교조명
병원조명 설계
전시조명
백화점 조명
경기장 조명
경관조명 설계
빛공해 방지법
광고조명의 조명방식
목차(경관조명 설계 JAE)
경관조명 설계
💯기출문제
●E02 건축물의 경관조명에 대하여 설계 시 고려사항을 설명하시오
모범답안(경관조명 설계시 고려사항4️⃣)
1)경관조명의 계획 시 고려사항
- 공공시설에 대한 이해와 친밀감을 향상
- 야간 도시생활은 활성화
- 상업활동의 진흥
- 시민생활 문화의 다양화
- 역사적 건물의 역사의식고취
- 도시의 자연환경 인식 향상
- 광광산업 진흥
- 교통 흐름의 이해
●E05 경관조명과 관련하여 방해광(Obstructive Lighl)을 설명하시오
모범답안(경관조명의 광해 JAE055️⃣)
5️⃣경관조명의 광해
1)정의
- 경관조명이란 공간의 아름다움을 빛으로 실현하고 쾌적한 생활과 풍요로움을 제공하는 것이다
- 경관조명을 설계할 때에는 아름다운 경관창조, 공간인지 및 유연성 확보 등도 중요하지만 반드시 광해에 대한 대책이 고려
- 환경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주변에 대해 배려하지 못하면 교통 및 안전에 대한 방해가 될 뿐아니라 동식물에도 영향을 미치고 사람에게도 불쾌감을 주어 밤하늘을 오염시키는 결과도 초래
2)광해의 영향
- 동식물에 대한 영향
- 농작물 : 야간조명에 영향이 큰 농작물에는 발육에 영향을 끼친다(벼 등)
- 식물 : 식물의 생태에 영향을 주어 성장이 미비하여 곤충등의 번식 실패, 가로수 등과 영향을 받는다(버드나무 등)
- 포유류, 파충류 : 야행성이 있는 것은 생식기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조류 : 교외 지역외 도시화에 따른 조류 생식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곤충 : 광에 유인되는 주광성의 종자 등에 인류의 피해 발생과 종의 소멸 우려된다
- 주거환경에 미치는 영향
- 잘못된 경관조명은 거실안으로 새어 들어와 광으로 인하여 수면방해나 글레어 발생
- 도로에서의 잘못된 경관조명은 교통안전 방해나 불쾌감을 유발
- 천공에 미치는 영향
- 천공으로 새어나가는 광은 먼지에 산란되고 난반사되어 천체 관측을 방해
- 지구온난화 요소발생
- 효과적이지 못한 경관조명은 에너지 낭비
3)광해 대책
- 조명기구의 제한
- 경기장 조명과 같은 옥외 조명은 광원의 중심과 전등 갓 선이 만나는 부분이 수평 또는 그것 이하로 향하도록 설치
- 옥외에서의 투광기는 수평 이하로 향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외에는 사용하지 않는것
- 건축물, 간판등 등 조명하는 경우 아래에서 위로 투광기 사용 제한
- 광원은 상단에 설치하여 수평 이상으로 빛이 비치지 않는 설계의 조명 기구 사용
- 미관상 등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옥외조명에는 천체 관측에 방해되는 등기구 사용자제
- 광원의 제한
- 가능한 한 투광등 사용제한
- 용도에 따라 필요한 최소한의 광량을 발산 광원사용
- 광원의 배광 곡선이 수평방향 위쪽으로 최소가 되도록
- 사용시간의 제한
- 경관조명의 점등시간을 가능한 최소화 한다. 오후 10시 이후부터 익일 일출까지는 소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계절별로 경관조명의 점등시간을 최단으로 조정하여 점등
●E08 광해의 종류와 그 광해를 고려한 경관조명방식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모범답안(경관조명의 광해 JAE055️⃣)
5️⃣경관조명의 광해
1)정의
- 경관조명이란 공간의 아름다움을 빛으로 실현하고 쾌적한 생활과 풍요로움을 제공하는 것이다
- 경관조명을 설계할 때에는 아름다운 경관창조, 공간인지 및 유연성 확보 등도 중요하지만 반드시 광해에 대한 대책이 고려
- 환경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주변에 대해 배려하지 못하면 교통 및 안전에 대한 방해가 될 뿐아니라 동식물에도 영향을 미치고 사람에게도 불쾌감을 주어 밤하늘을 오염시키는 결과도 초래
2)광해의 영향
- 동식물에 대한 영향
- 농작물 : 야간조명에 영향이 큰 농작물에는 발육에 영향을 끼친다(벼 등)
- 식물 : 식물의 생태에 영향을 주어 성장이 미비하여 곤충등의 번식 실패, 가로수 등과 영향을 받는다(버드나무 등)
- 포유류, 파충류 : 야행성이 있는 것은 생식기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조류 : 교외 지역외 도시화에 따른 조류 생식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곤충 : 광에 유인되는 주광성의 종자 등에 인류의 피해 발생과 종의 소멸 우려된다
- 주거환경에 미치는 영향
- 잘못된 경관조명은 거실안으로 새어 들어와 광으로 인하여 수면방해나 글레어 발생
- 도로에서의 잘못된 경관조명은 교통안전 방해나 불쾌감을 유발
- 천공에 미치는 영향
- 천공으로 새어나가는 광은 먼지에 산란되고 난반사되어 천체 관측을 방해
- 지구온난화 요소발생
- 효과적이지 못한 경관조명은 에너지 낭비
3)광해 대책
- 조명기구의 제한
- 경기장 조명과 같은 옥외 조명은 광원의 중심과 전등 갓 선이 만나는 부분이 수평 또는 그것 이하로 향하도록 설치
- 옥외에서의 투광기는 수평 이하로 향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외에는 사용하지 않는것
- 건축물, 간판등 등 조명하는 경우 아래에서 위로 투광기 사용 제한
- 광원은 상단에 설치하여 수평 이상으로 빛이 비치지 않는 설계의 조명 기구 사용
- 미관상 등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옥외조명에는 천체 관측에 방해되는 등기구 사용자제
- 광원의 제한
- 가능한 한 투광등 사용제한
- 용도에 따라 필요한 최소한의 광량을 발산 광원사용
- 광원의 배광 곡선이 수평방향 위쪽으로 최소가 되도록
- 사용시간의 제한
- 경관조명의 점등시간을 가능한 최소화 한다. 오후 10시 이후부터 익일 일출까지는 소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계절별로 경관조명의 점등시간을 최단으로 조정하여 점등
●J10 경관조명 시 광해대책을 경기장 조명을 중심으로 설명하시오
○J12 도심지 초고층 주상복합건물의 옥탑층 경관조명 설계 시 고려사항을 설명하시오
●E14 최근 초대형 빌딩의 증가에 따라 도시환경의 개선이 요구된다. 이를 위한 경관조명의 구성 및 설계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경관조명 JAE141️⃣)
1️⃣경관조명의 목적
- 역사적인 건조물, 도로, 교량, 공원 등에 야간도시 경관의 연출효과 극대화
- 사람과 차량 등의 안전 확보 상업 활동 조성
- 도시경쟁력 강화
2️⃣경관조명의 종류
1)건축물의 투명조명
- 건조물의 조명은 야간의 도시경관을 돋보이게 하는 중요한 요소로 주간의 경관을 해치지 않고 건조물 자체를 조명하여 주간과는 다른 입체감, 미적 효과를 강조
- 역사적, 종교적으로 중요한 건조물, 상징탑 기념탑 등의 건조물에는 본래의 모습을 바르게 표현해야 하는데 특히 색채와 입체감의 표현에 주의하고 조화와 격조를 높이도록
- 상업용 빌딩에서는 존재감을 나타내고 미적 효과를 강조하여야 하므로, 빛과 그림자를 함께 사용.
2)광장의 조명
- 역전광장, 버스터미널, 사찰광장, 시가지 광장, 건물 앞 광장 등이 있는데 역이나 버스터미널 광장 등은 사람이나 차량의 흐름이 많으며 랜드마크적인 장소인 경우가 많아 광장 전체를 조명하거나 거리의 상징성을 표현
- 시가지 광장은 도시공간의 휴식의 장으로 공원적 성격이 강하여 보행자의 조명이 기본이다. 공개 광장과 조명이 복잡화 되고 있다
3)분수조명
- 분수는 물에 친숙한 사람의 마음을 평온하게 할 수 있고, 사람이 쉬는 광장, 공원등에 설치
- 분수의 조명은 분수의 연출을 맡는 형상에 맞춰 효과적으로 행하는 것이다. 물이 크게 변동하는 경우에는 투과광의 확산효과를 이용하여 빛이 반짝이는 것을 활용하는 효과적인 조명이 자주 행하여진다.
4)가로의 조명
- 도로, 가로, 지하도 등의 조명 목적은 보행자가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고 가로에서의 범되방지, 사고재해의 방지를 위해서 적절한 밝기를 확보하는 것
- 건축물의 색채, 보행자의 복장, 안색 등의 자연에 가까운 상태를 보일 수 있는 연색성이 좋은 광원을 사용하고, 조명기구, 등주가 거리의 경관에 조화되고 정연하게 배열되어 통일성을 갖도록 하여 가로 전체의 인상을 향상시켜야 한다.
5)공원조명
- 공원의 조명은 그 공원이 갖는 특징을 시각 환경의 시점으로부터 천공, 식재, 지면 등과의 조화를 고려하면서 계획을 진행한다
- 공원은 산책, 휴식, 오락 등의 행동을 하는 장이며, 경기의 광장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 공원의 조명은 야간의 범죄방지, 안전확보는 물론 공원에 들른 사람들에게 쉬는 편안한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는 계획이 중요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안전확보를 위하여 명시조명을 고려해 어두운 인상을 갖지 않게 하기 위한 5[lx]이상의 밝기가 요구된다
- 환경이 좋은 조명의 확보가 주체이므로 식대를 아름답게 보이도록 광원의 연색성의 검토, 수목의 그림자, 밝기의 농담으로 깊이의 느낌을 준다.
6)교량조명
- 도시의 야경을 개선하고 여행자에게 아름다움을 인식시켜 줌
- 도시공간 속에서 지역을 대표하는 상징물로서의 역할
- 빛으로 장식함으로써 시민 통행의 안전성 향상
모범답안(경관조명기법JAE143️⃣)
3️⃣경관 조명기법

1)조명기법에 의한 분류
- 직접투광
- 투광기로 대상물을 직접 조명하는 방법
- 근대건축이나 역사적 건조물, 탑의 형태나 전체 모습, 그늘이 강조
- 발광
- 일루미네이션 장식의 조명을 설치하는 방법
- 탑의 외형, 구조가 강조
- 투과광
- 실내조명에서 창밖의 야경을 연출하는 경우 활용하는 방법
- 고층건물이나 현대 건축물의 높이와 위용감을 표현

2)조명기구 설치방법에 따른 분류
- 지면에서 빛을 투사하는 방법
- 도로 등에 폴을 써서 설치하는 방법
- 건물 자체에 설치하는 방법
- 인접 건물에 설치하는 방법

3)조명방식에 따른 분류
- 전반조명
- 대상물을 전체적으로 조명하는 방식
- 건물의 인지도를 높이고 전반적인 안정감을 제공
- 부분조명(=국부조명)
- 대상물의 특정 부분을 조명하는 방식
- 특정한 부분을 강조할 때 사용
○E18 최근 도시환경 개선 관점에서 시행되고 있는 경관조명의 구성요소와 조명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경관조명 JAE141️⃣)
1️⃣경관조명의 목적
- 역사적인 건조물, 도로, 교량, 공원 등에 야간도시 경관의 연출효과 극대화
- 사람과 차량 등의 안전 확보 상업 활동 조성
- 도시경쟁력 강화
2️⃣경관조명의 종류
1)건축물의 투명조명
- 건조물의 조명은 야간의 도시경관을 돋보이게 하는 중요한 요소로 주간의 경관을 해치지 않고 건조물 자체를 조명하여 주간과는 다른 입체감, 미적 효과를 강조
- 역사적, 종교적으로 중요한 건조물, 상징탑 기념탑 등의 건조물에는 본래의 모습을 바르게 표현해야 하는데 특히 색채와 입체감의 표현에 주의하고 조화와 격조를 높이도록
- 상업용 빌딩에서는 존재감을 나타내고 미적 효과를 강조하여야 하므로, 빛과 그림자를 함께 사용.
2)광장의 조명
- 역전광장, 버스터미널, 사찰광장, 시가지 광장, 건물 앞 광장 등이 있는데 역이나 버스터미널 광장 등은 사람이나 차량의 흐름이 많으며 랜드마크적인 장소인 경우가 많아 광장 전체를 조명하거나 거리의 상징성을 표현
- 시가지 광장은 도시공간의 휴식의 장으로 공원적 성격이 강하여 보행자의 조명이 기본이다. 공개 광장과 조명이 복잡화 되고 있다
3)분수조명
- 분수는 물에 친숙한 사람의 마음을 평온하게 할 수 있고, 사람이 쉬는 광장, 공원등에 설치
- 분수의 조명은 분수의 연출을 맡는 형상에 맞춰 효과적으로 행하는 것이다. 물이 크게 변동하는 경우에는 투과광의 확산효과를 이용하여 빛이 반짝이는 것을 활용하는 효과적인 조명이 자주 행하여진다.
4)가로의 조명
- 도로, 가로, 지하도 등의 조명 목적은 보행자가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고 가로에서의 범되방지, 사고재해의 방지를 위해서 적절한 밝기를 확보하는 것
- 건축물의 색채, 보행자의 복장, 안색 등의 자연에 가까운 상태를 보일 수 있는 연색성이 좋은 광원을 사용하고, 조명기구, 등주가 거리의 경관에 조화되고 정연하게 배열되어 통일성을 갖도록 하여 가로 전체의 인상을 향상시켜야 한다.
5)공원조명
- 공원의 조명은 그 공원이 갖는 특징을 시각 환경의 시점으로부터 천공, 식재, 지면 등과의 조화를 고려하면서 계획을 진행한다
- 공원은 산책, 휴식, 오락 등의 행동을 하는 장이며, 경기의 광장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 공원의 조명은 야간의 범죄방지, 안전확보는 물론 공원에 들른 사람들에게 쉬는 편안한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는 계획이 중요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안전확보를 위하여 명시조명을 고려해 어두운 인상을 갖지 않게 하기 위한 5[lx]이상의 밝기가 요구된다
- 환경이 좋은 조명의 확보가 주체이므로 식대를 아름답게 보이도록 광원의 연색성의 검토, 수목의 그림자, 밝기의 농담으로 깊이의 느낌을 준다.
6)교량조명
- 도시의 야경을 개선하고 여행자에게 아름다움을 인식시켜 줌
- 도시공간 속에서 지역을 대표하는 상징물로서의 역할
- 빛으로 장식함으로써 시민 통행의 안전성 향상
모범답안(경관조명기법JAE143️⃣)
3️⃣경관 조명기법

1)조명기법에 의한 분류
- 직접투광
- 투광기로 대상물을 직접 조명하는 방법
- 근대건축이나 역사적 건조물, 탑의 형태나 전체 모습, 그늘이 강조
- 발광
- 일루미네이션 장식의 조명을 설치하는 방법
- 탑의 외형, 구조가 강조
- 투과광
- 실내조명에서 창밖의 야경을 연출하는 경우 활용하는 방법
- 고층건물이나 현대 건축물의 높이와 위용감을 표현

2)조명기구 설치방법에 따른 분류
- 지면에서 빛을 투사하는 방법
- 도로 등에 폴을 써서 설치하는 방법
- 건물 자체에 설치하는 방법
- 인접 건물에 설치하는 방법

3)조명방식에 따른 분류
- 전반조명
- 대상물을 전체적으로 조명하는 방식
- 건물의 인지도를 높이고 전반적인 안정감을 제공
- 부분조명(=국부조명)
- 대상물의 특정 부분을 조명하는 방식
- 특정한 부분을 강조할 때 사용
○E20 도심하천(천변. 교량 등율 모두 포함)에 대한 친환경 경관조명 설계 시 고려할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기획특집] 포항시 학산천 4대 생태하천복원 운동 친환경 도시로 ...](https://d2u1z1lopyfwlx.cloudfront.net/thumbnails/f614070f-37f0-50c8-9d83-33182beb63d7/8ba5a37a-fbbc-56c9-be26-c8d444ebeb42.jpg)
도심하천(천변, 교량 등 포함) 친환경 경관조명 설계 시 고려사항
1. 생태환경 및 자연성 보전
- 하천의 생태자원(식생, 수생생물 등) 보존을 우선시하며, 조명설계 시 직접조명이 수면이나 하천변에 비추지 않도록 설치하여 광공해로 인한 생태계 교란을 최소화
- 인공시설물(교량, 난간 등)은 자연친화적 소재(목재, 석재 등)를 활용하고, 자연환경과 조화로운 색채를 적용한다. 침수 가능성과 내구성, 내오염성도 고려
2. 야간경관과 안전성 확보
- 조명은 하천변의 주요 동선, 교량, 보행로, 광장 등 이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적정 조도를 확보
- 눈부심(Glare) 방지, 균일한 조도 분포, 적정 색온도 및 연색성을 고려해 쾌적한 야간환경을 조성
- 범죄예방을 위해 은닉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개방형 경관을 유지
3. 빛공해 및 에너지 절감
- 조명기구는 빛이 수평 이상으로 퍼지지 않도록 설계하고, 투광기 사용을 최소화한다. 필요 최소한의 광량만 사용하며, 경관조명의 점등시간도 최소화(예: 22시 이후 소등)
- LED 등 고효율 조명기구와 자동조명제어(센서, 타이머 등)를 적극 도입해 에너지 절감 및 친환경 조명을 실현
- 빛공해 방지법 등 관련 법령과 조도·휘도 기준을 준수
4. 경관의 연속성과 조화
- 하천의 시각적 연속성과 조망을 해치지 않도록 조명기구의 위치, 형태, 색채를 계획한다. 교량 등 인공구조물은 주변 경관을 압도하지 않도록 규모와 디자인을 조정
- 인접 공원, 녹지, 오픈스페이스와 연계해 계절 변화에 따라 다양한 경관을 연출할 수 있는 식재 및 조명 계획을 수립
- 하천 및 교량 내 시설물은 통일감 있고 과도한 디자인을 지양
5. 접근성 및 이용자 중심 설계
- 다양한 계층(노약자, 장애인 등)이 쉽게 접근·이용할 수 있도록 경계부 단차를 최소화하고, 슬로프 등 진출입로를 마련
- 하천구역 내에서 친수활동(교육, 체험, 관찰 등)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조명과 시설 배치를 계획
6. 유지관리 및 시민참여
- 조명시설의 유지관리 용이성을 고려해 설계하며, 시민과 사업자가 참여할 수 있는 경관조명 요소를 안내하고 홍보
- 야간경관사업은 행정뿐 아니라 시민이 주체가 되어 모두가 즐길 수 있는 방향으로 추진
요약
도심하천의 친환경 경관조명 설계는 생태보전, 빛공해 저감, 에너지 절감, 경관의 연속성, 안전성, 접근성, 유지관리 등 다양한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법적 기준과 지역 특성을 반영한 통합적 계획이 필요
https://www.asan.go.kr/design/main/index.php?m_cd=36
https://cq4l.com/cd-%EC%A1%B0%EB%AA%85-%EC%8B%A4%EC%A0%9C/
http://www.yg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5867
https://memory.library.kr/files/original/6a1389d3a6c57453f8a523cfc4473aa0.pdf
https://blog.naver.com/ilelee/10080570800
●E24 건축물에서의 경관조명의 요건
모범답안(경관조명 JAE141️⃣)
1️⃣경관조명의 목적
- 역사적인 건조물, 도로, 교량, 공원 등에 야간도시 경관의 연출효과 극대화
- 사람과 차량 등의 안전 확보 상업 활동 조성
- 도시경쟁력 강화
2️⃣경관조명의 종류
1)건축물의 투명조명
- 건조물의 조명은 야간의 도시경관을 돋보이게 하는 중요한 요소로 주간의 경관을 해치지 않고 건조물 자체를 조명하여 주간과는 다른 입체감, 미적 효과를 강조
- 역사적, 종교적으로 중요한 건조물, 상징탑 기념탑 등의 건조물에는 본래의 모습을 바르게 표현해야 하는데 특히 색채와 입체감의 표현에 주의하고 조화와 격조를 높이도록
- 상업용 빌딩에서는 존재감을 나타내고 미적 효과를 강조하여야 하므로, 빛과 그림자를 함께 사용.
2)광장의 조명
- 역전광장, 버스터미널, 사찰광장, 시가지 광장, 건물 앞 광장 등이 있는데 역이나 버스터미널 광장 등은 사람이나 차량의 흐름이 많으며 랜드마크적인 장소인 경우가 많아 광장 전체를 조명하거나 거리의 상징성을 표현
- 시가지 광장은 도시공간의 휴식의 장으로 공원적 성격이 강하여 보행자의 조명이 기본이다. 공개 광장과 조명이 복잡화 되고 있다
3)분수조명
- 분수는 물에 친숙한 사람의 마음을 평온하게 할 수 있고, 사람이 쉬는 광장, 공원등에 설치
- 분수의 조명은 분수의 연출을 맡는 형상에 맞춰 효과적으로 행하는 것이다. 물이 크게 변동하는 경우에는 투과광의 확산효과를 이용하여 빛이 반짝이는 것을 활용하는 효과적인 조명이 자주 행하여진다.
4)가로의 조명
- 도로, 가로, 지하도 등의 조명 목적은 보행자가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고 가로에서의 범되방지, 사고재해의 방지를 위해서 적절한 밝기를 확보하는 것
- 건축물의 색채, 보행자의 복장, 안색 등의 자연에 가까운 상태를 보일 수 있는 연색성이 좋은 광원을 사용하고, 조명기구, 등주가 거리의 경관에 조화되고 정연하게 배열되어 통일성을 갖도록 하여 가로 전체의 인상을 향상시켜야 한다.
5)공원조명
- 공원의 조명은 그 공원이 갖는 특징을 시각 환경의 시점으로부터 천공, 식재, 지면 등과의 조화를 고려하면서 계획을 진행한다
- 공원은 산책, 휴식, 오락 등의 행동을 하는 장이며, 경기의 광장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 공원의 조명은 야간의 범죄방지, 안전확보는 물론 공원에 들른 사람들에게 쉬는 편안한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는 계획이 중요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안전확보를 위하여 명시조명을 고려해 어두운 인상을 갖지 않게 하기 위한 5[lx]이상의 밝기가 요구된다
- 환경이 좋은 조명의 확보가 주체이므로 식대를 아름답게 보이도록 광원의 연색성의 검토, 수목의 그림자, 밝기의 농담으로 깊이의 느낌을 준다.
6)교량조명
- 도시의 야경을 개선하고 여행자에게 아름다움을 인식시켜 줌
- 도시공간 속에서 지역을 대표하는 상징물로서의 역할
- 빛으로 장식함으로써 시민 통행의 안전성 향상
모범답안(경관조명기법JAE143️⃣)
3️⃣경관 조명기법

1)조명기법에 의한 분류
- 직접투광
- 투광기로 대상물을 직접 조명하는 방법
- 근대건축이나 역사적 건조물, 탑의 형태나 전체 모습, 그늘이 강조
- 발광
- 일루미네이션 장식의 조명을 설치하는 방법
- 탑의 외형, 구조가 강조
- 투과광
- 실내조명에서 창밖의 야경을 연출하는 경우 활용하는 방법
- 고층건물이나 현대 건축물의 높이와 위용감을 표현

2)조명기구 설치방법에 따른 분류
- 지면에서 빛을 투사하는 방법
- 도로 등에 폴을 써서 설치하는 방법
- 건물 자체에 설치하는 방법
- 인접 건물에 설치하는 방법

3)조명방식에 따른 분류
- 전반조명
- 대상물을 전체적으로 조명하는 방식
- 건물의 인지도를 높이고 전반적인 안정감을 제공
- 부분조명(=국부조명)
- 대상물의 특정 부분을 조명하는 방식
- 특정한 부분을 강조할 때 사용
●E34 대형교량의 야간경관 조명설계
○E41 주상복합건축물의 경관조명 설계 시 고려사항과 설계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35-15 문화재 및 문화재 보호구역의 아간조명 설계기준과 디자인 원칙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JAE





문화재 및 문화재 보호구역의 야간조명 설계기준과 디자인 원칙
1. 야간조명 설계기준
1) 광원 및 색온도 기준
- 색온도: 문화재 및 보호구역의 야간조명은 따뜻하고 은은한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2,000~3,000K의 저색온도 광원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
- 연색성: 문화재의 본래 색상과 질감을 왜곡하지 않도록 연색지수(Ra)가 높은 광원을 사용
- 광원 선택: 신재생에너지 광원 또는 고효율 LED 광원의 도입을 적극 권장하며, 주변으로 반사되는 과도한 휘도의 광원 사용은 지양
2) 조명기구 설치 기준
- 누설광 방지: 조명기구는 컷오프형 렌즈타입을 우선 적용하여 연출 대상 외로 빛이 누설되지 않도록 하며, 부득이할 경우 덮개나 루버 등 보조장치를 미관을 고려해 부착
- 직접 부착 금지: 문화재의 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조명기구를 문화재에 직접 부착하지 않고, 충분한 거리를 두고 설치
- 내구성: 장수명의 내구성이 우수한 조명기구를 사용하고, 방진·방수 등급(IP코드)을 준수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3) 조명 연출 기준
- 빛공해 최소화: 빛공해 방지를 위해 산란광, 침입광, 글레어(눈부심) 유발을 억제하고, 원색의 광원이나 현란한 색상 및 밝기 변화, 반복 점멸 등은 지양
- 조도 및 휘도: 야간 활동의 편의성과 경관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조도, 휘도, 색채 등을 결정하며, 과도한 연출은 피합
- 생태환경 고려: 하천, 수변 등 자연환경과 인접한 경우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직접조명 방식은 지양
4) 유지관리 및 안전
- 자동 점멸장치: 에너지 절약과 야간활동을 고려해 자동 점멸장치 설치를 권장
- 전선 및 부속시설: 조명기구 및 부속시설, 전선 등은 매립 또는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
- 출입 제한: 일반인 출입 제한이 필요한 공간은 조명 설치를 최소화하거나 소등하여 출입을 방지
2. 디자인 원칙
1) 조화와 절제
- 주변 환경과의 조화: 문화재와 보호구역의 역사적, 자연적, 도시적 맥락을 고려하여 조명이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루도록 계획
- 간결한 디자인: 조명기구는 단순하고 간결한 형태로 디자인하며, 과도한 장식이나 상징물의 적용은 지양
- 색채 및 재질: 조명기구의 색상과 재질은 문화재와 조화롭게 선정하며, 무채색 또는 저채도의 색채를 권장
2) 문화재의 특성 강조
- 품격 있는 연출: 문화재의 고유한 특성과 품격을 살릴 수 있도록 은은하고 절제된 조명 연출을 적용
- 실루엣 중심 연출: 주간 및 야간 경관이 연속될 수 있도록 문화재의 실루엣을 중심으로 조명을 연출
- 이벤트 연출: 평시와 이벤트 시를 구분하여 계획하고, 문화재의 우수성을 높일 수 있는 연출을 도입
3) 안전과 친환경성
- 보행 안전: 야간 보행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여 빛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고, 범죄예방 환경디자인(CPTED) 기법을 적용
- 친환경 조명: 생태계와 자연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친환경적 조명기법을 적용
3. 요약 표
구분 | 설계기준 및 디자인 원칙 요약 |
---|---|
색온도 | 2,000~3,000K의 저색온도, 연색지수(Ra) 높음 사용 |
조명기구 | 컷오프형, 직접 부착 금지, 내구성·방수·방진 등급 준수 |
조명연출 | 빛공해 최소화, 과도한 연출 지양, 실루엣 중심 연출 |
디자인 | 간결·절제, 문화재와 조화, 무채색·저채도 권장 |
안전·친환경 | CPTED 적용, 생태환경 영향 최소화, 자동 점멸장치 |
4. 참고사항
- 설계 시 「문화재보호법」, 「인공조명에 의한 빛공해 방지법」, KS 및 CIE 등 국내외 기준을 준수해야 하며, 각 지자체의 야간경관 가이드라인도 참고
- 문화재의 보존과 경관 향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도록, 조명 설계와 디자인은 전문가의 협의를 거쳐 신중하게 결정
이와 같은 기준과 원칙을 준수하면 문화재 및 보호구역의 야간조명이 문화재의 가치를 보존하면서도 아름답고 안전한 야간경관을 연출할 수 있습니다
https://ebook.gg.go.kr/src/viewer/download.php?host=main&site=20210217_093814&no=1
https://nrich.go.kr/cmm/fms/FileDown.do?atchFileId=FILE_000000000000195&fileSn=4
http://imgsvr.riss4u.net/contents3/td_contents9/09988/348/09988348.pdf
https://memory.library.kr/files/original/6a1389d3a6c57453f8a523cfc4473aa0.pdf
●136-42 건축물의 경관 조명 설계시 고려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JAE
건축물의 경관 조명 설계 시에는 미관, 기능, 안전, 환경, 유지관리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최신 건설 설계기준(KDS 32 30 20:2024)과 관련 지침에 근거한 주요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미관 및 주변 환경 고려
- 주변 조명환경: 인근 조명의 밝기, 색상, 분위기와 조화를 이루도록 설계합니다. 상향광, 누설광, 눈부심 등 빛공해가 최소화되도록 검토해야 합니다5.
- 대상물의 특성: 건축물의 형태, 크기, 표면 재질과 색상, 경년 변화(노후화) 등을 분석해 조명기구의 배치와 광색을 결정합니다15.
- 주간 미관: 조명기구가 주간에도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설치 위치와 형태를 신중히 선정합니다15.
- 주변 환경 조건: 자연환경(지형, 식생, 기후)과 인접 건축물, 보행자 동선 등을 고려해 조명기구를 배치합니다5.
2. 기능 및 연출 효과
- 조명 방식: 업라이팅, 다운라이팅, 투광, 스팟, 테두리, 실루엣 등 다양한 기법을 조합해 의도한 경관 효과를 극대화합니다
- 조도 및 배광: KS A 3011 등 관련 기준에 따라 적정 조도를 확보하고, 조명기구의 배광 특성을 검토합니다5.
- 조명 컨셉: 공간의 기능, 성격, 규모에 맞는 조명개념을 먼저 설정한 뒤, 이에 어울리는 조명방식과 기구를 선정합니다5.
3. 안전 및 유지관리
- 안전성: 자연재해(태풍, 지진 등)에도 견딜 수 있도록 내진·내풍 설계를 적용하고, 보행자·이용자의 안전을 위해 눈부심, 그림자, 미끄럼 등 위험요소를 최소화합니다5.
- 유지관리성: 조명기구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설치 위치와 구조를 고려합니다15.
- 내구성: 옥외용 조명기구는 IP65 이상 방수·방습 구조를 사용하고, 내식성 재질을 적용합니다5.
4. 에너지 절약 및 친환경성
- 고효율 조명: LED 등 고효율 광원을 사용하고, 광효율이 높은 기구를 채택합니다5.
- 조명제어: 자동점멸장치, 타이머, 광센서 등으로 에너지 절약을 도모합니다5.
- 빛공해 방지: 상향광 제한, 누설광 최소화 등으로 불필요한 빛의 확산을 막아야 하며, 야생동물·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합니다58.
5. 법규 및 관련 기준 준수
- 설계·시공 기준: KDS 32 30 20(옥외 및 경관조명설비), 한국전기설비규정(KEC), 에너지절약설계기준 등 관련 법령과 표준을 준수합니다5.
- 빛공해 방지: 빛공해 방지를 위한 국가 권고기준을 참고해 최대휘도, 평균휘도, 산란광, 침입광 등을 관리합니다8.
6. 기타 고려사항
- 이용자 편의: 노약자, 장애인 등 다양한 이용자가 불편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합니다5.
- 설치 장소 특성: 파사드, 조형물, 보행로 등 설치 대상의 특성을 반영해 조명기구의 위치·방향·광색을 결정합니다5.
- 전문가 협업: 조경, 건축, 전기 등 관련 전문가와 협의해 통합적 설계를 추진합니다52.
요약
경관 조명 설계는 미관, 기능, 안전, 에너지, 환경, 유지관리, 법규 준수 등 다각적인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빛공해 최소화와 고효율·친환경 설계가 강조되고 있습니다158.
조명 실제 (JA)
도로조명
도로조명(교차로,횡단보도)
터널조명
터널조명(L20,터널조명제어)
터널조명(플리커 현상)
주택조명
학교조명
병원조명 설계
전시조명
백화점 조명
경기장 조명
경관조명 설계
빛공해 방지법
광고조명의 조명방식
목차(경관조명 설계 JAE)
경관조명 설계
🌐V1007Z24/1079 / JAE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