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20년기출B’

제공

에너지 20년기출B
19A19B19C
20A20B20C
20D
21A*21B21C

1️⃣ 증기트랩 ☑️B1

장단16B03
종류24a0820d0118A0722A06
기능19C0723a12
19C0518B0820B01

열역학적 증기 트랩에 대한 물음에 답하시오.

(1) 작동원리를 설명하시오. (2) 종류 2개를 쓰시오.

B1 증기트랩

증기관의 도중에 설치하여 증기를 사용하는 설비의 배관 내에 고여있는 응축수 (증기의 일부가 드레인된 상태)를 자동배출시키는 장치

❶기계식트랩 : 볼플로트식, 버킷식

❷열역학식 : 오리피스식, 디스크식 

증기와 응축수의 열역학적 유체역학적 특성차를 이용한 것이다

❸온도조절식 : 바이메탈식, 벨로즈식

2️⃣ 요로 ☑️D1

슬래킹16A1017A0621C04
온도22A1123A1120C0418B07
가마울림17A0122C0323b03
요로16B0716b0823B0220B02
20A06

16B07 20B02

터널요의 구조부, 구성장치에 대해 각각 3가지씩 쓰시오

  • 예열부
  • 소성부
  • 냉각부
  • 대차
  • 샌드실
  • 푸셔

3️⃣ 폐열회수장치☑️B2

효불효연
공기예열
장단
20C0323C04
열불응연
절탄기
16A0220A0118A1023c08
과열기
장단
17A0223b0819b0321b02
20D03
조절18A0818B06
명칭19C0120B0318C0317C05
24c02
계산23B10

보일러 배기가스 현열을 이용하여 급수를 예열하는 장치를
( )라 하며, 공기를 예열는 장치를 ( )라 한다.
( ) 안에 알맞은 명칭을 쓰시오.

B2 절탄기

과열기 → 재열기 → 절탄기 → 공기예열기

보일러 배기가스 현열을 이용하여 급수를 예열하는 장치를 (절탄기)라 하며, 공기를 예열는 장치를 (공기예열기)라 한다.

4️⃣ 단열재효과

 공업용 로의 에너지 절감방안 4가지를 쓰시오

D2요로의 효율개선
  • 단열조치를 강화하여 방사열량을 감소시칸다.
  • 가열온도를 적정온도로 유지시켜 과열이 발생하지
  • 적정 공기비를 유지시켜 완전연소가 되도록 한다.
  • 연소용 공기는 배열을 이용하여 예열시켜 공급한다.

5️⃣ 인터록 J3

17A0820B0518C05
프리퍼지16b0221A06

보일러에 적용하는 자동제어 중 인터록(interlock)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J3 인터록

어떤 일정한 조건이 충족하지 않으면 다음 단계의 동작이 작동하지 못하도록 저지하는것으로 보일러의 안전한 운전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6️⃣ 신,재생에너지 ☑️Q1

20b0621b1723a04
열병합17b04

[보기]에 주어진 것은 신 재생에너지 종류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1) 신에너지에 해당하는 것 2가지를 기호로 쓰시오.
(2) 재생에너지에 해당하는 것 5가지를 기호로 쓰시오.

  • 해양에너지
  • 지열에너지
  • 수소에너지
  • 풍력
  • 연료전지
  • 수력
  • 태양에너지

Q1 신에너지, 재생에너지

● 신에너지 : 수소에너지, 연료전지, 석탄을 액화, 가스화한 에너지, 중질잔사유를 가스화한 에너지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수소, 산소 등의 화학반응을 통하여 전기 또는 열을 이용하는 에너지

● 재생에너지 : 태양에너지, 풍력, 수력, 해양에너지, 지열에너지

햇빛, 물, 지열(地熱), 강수(降水), 생물유기체 등을 포함하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로서 다음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

● 해양에너지에 관련된 신재생에너지 종류 2가지를 쓰시오.

조수, 파도, 해류, 온도차

● 바이오에너지의 범위
생물유기체를 변환시킨 바이오가스, 바이오에탄올, 바이오액화유 및 합성가스 쓰레기 매립장의 유기성 폐기물을 변환시킨 매립지 가스 동물·식물의 유지를 변환시킨 바이오디젤 생물유기체를 변환시킨 땔감, 목재칩 펠릿 및 목탄 등의 고제연료

7️⃣ 관류 보일러

(종류)17A0320C02 24b05
(명칭)17B0520B0721C11
(장단)16C0421B14

드럼 없이 하나로 된 관에 급수를 압입하여 가열, 증발, 과열과정을 거쳐 과열증기를 발생하는 보일러의 명칭을 쓰시오.

A5 관류 보일러(명칭)

급수펌프에 의해 급수를 압입하여 하나로 된 관에서 가열, 증발, 과열과정을 거쳐 순환하는 보일러

8️⃣ 윈드박스

보염장치 중 윈드박스의 기능 2가지를 쓰시오.

® 안정된 착화를 도모한다. ® 화염의 형상을 조절한다. ® 공기와 연료의 혼합을 촉진한다 ® 전열효율을 향상시킨다

9️⃣ 쉘 앤 튜브식 열교환기 E

쉘 앤 튜브식 열교환기에 사용되는 스파이럴 튜브의장점 2가지를쓰시오.

E2 쉘 앤 튜브식 열교환기
  • 튜브 전열면적이 증가된다.
  • 유체의 흐름이 난류가 되어 전열효과가 우수하다

🔟 보온재(전내흡비온) ☑️D1

조건17C0720B1022B11
전내흡비온두16c0322C09
원인17a0724c1219A06
내화물23C0124A0916A01

보온재의 구비조건 5가지를 쓰시오.

D4 보온재 구비조건(전내흡비온,두)
  • 열전도율이 작을것
  • 적당한 내구성을 가질것
  • 흡습성 흡수성이 작을것
  • 부피, 비중이 작을것
  • 안전 사용온도 범위에 적합할것
  • 시공성이 좋을것
  • 내열성 내약성이 있을것

1️⃣1️⃣ 습도계 ☑️I8

20B1118a14

방 안의 온도가 25[°C]인데 온도를 낮추었더니 20[°C]에서 물방울이 생성되었다고 하면 방 안의 온도가 25[°C]일 때의 상대습도[%]는 얼마인가? (단, 20[°C], 25[°C]에서의 포화수증기압은 2.23[kPa], 3.15[kPa]이다.)

I8 습도계

►수증기분압

\[ P_w=P_{ws}-\frac{P}{1500}\times(t-t’)\]

►상대습도

\[ \phi=\frac{P_w}{P_s}\times 100 \]

►절대습도

\[ X=0.662\times\frac{P_w}{760-P_w} \]

$$ \phi=\frac{P_w}{P_s}\times 100 $$

$$ =\frac{2.23}{3.15}\times 100=70.793 $$

1️⃣2️⃣ 상당증발량, 환산증발량

16B1622A13
16C12
22B02

20[°C] 물 10[kg]을 100[°C] 수증기로 만들 때 필요한 열량[kJ] 구하시오.
(단, 물의 비열은 4.186[kJ/kg]. 증발잠열은 2257[kJ/kg]이다.)

C2 상당증발량, 환산증발량
\[G_e=\frac{G_a(h_2-h_1)}{539\times 4.1868}=\frac{G_a(h_2-h_1)}{100[℃]증발잠열}\] \[=\frac{G_a(h_2-h_1)}{\gamma}\]
$$ Q_1=CG\Delta t \\ Q_2=G\gamma $$

$$ Q_1=mC\Delta t $$

$$ =10\times 4.186\times (100-20)=3348.8[kJ] $$

$$ Q_2=m\times \gamma $$

$$ =10\times 539\times4.1868=22570[kJ] $$

$$ Q=Q_1+Q_2=3348.8+22570=25918.8[kJ] $$

1️⃣3️⃣ 보일러효율 ☑️C4

16a1524A0218C1521B06 
22B1620B1317B15
23A0223B1717A12
21C08

연료의 발열량이 23,000[kJ/kg]인 연료를 연소시키는
보일러에서 연료 1[kg]당 발생하는 연소가스가 10[N㎡],
비열이 1.38[kJ/N㎡·°C], 외기온도 0[°C],
배기가스 평균온도가 300[°C] 일 때 효율[%]은 얼마인가?

(단, 불완전 연소에 의한 손실열은 연료 발열량의 10%이다.)

C4 보일러효율

입출열법에 의한 효율

$$ \eta=\frac{G_a\times (h_2-h_1)}{G_f\times H_l}\times 100 $$

열손실법에 의한 효율

$$ \eta=(1-\frac{손실열}{입열})\times 100 $$

$$ \eta=(1-\frac{손실열}{입열})\times 100 $$
$$ =(1-\frac{10\times 1.38\times (300-0)}{23000\times 0.9})\times 100 $$

1️⃣4️⃣ 고위발열량계산 H1

 

메탄(CH4) 가스를 공기 중에서 연소시키려 한다. 메탄의 저위발열량이 50,000[kJ/kg]이라면 고위발열량[kJ/kg]은 얼마인가? (단, 물의 증발잠열은 2480[kJ/kg]이다)

H1 고위발열량계산

$$ H_h=8100C+34000(H-\frac{O}{8})+2500S \\ H_h=H_l+600(9H+w) $$

$$ H_l=33858C+142120(H-\frac{O}{8})+10450S $$

1️⃣5️⃣ 엔트로피 N4

랭킨N4
(효율)
17C1418A1118C16
19C1523C17
18C1222C12
습증기
N5
20C14
재생재열16C0818C17
폴리19A1421C01
엔트로피
N7
16B1517C1320B15 
냉매순환22C10
단열압축

정압비열이 20.9[kJ/kmol・K]인 이상기체를 25[°C], 1[atm] 상태에서 가역단열과정으로 10[atm]까지 압축하였을 때 온도는 몇 [°C]인가? (단, 0[K]는 -273.15[°C]를 기준으로 한다.)

● 정적비열 계산 기체상수 R=8.314[kJ /kmol・K]이다.

$$ C_v=C_p-R=20.9-8.314=12.546[kJ/kmol K] $$

● 비열비계산

$$ k=\frac{C_p}{C_v}=\frac{20.9}{12.59}=1.66 $$

● 압축후 온도계산

$$ \frac{T_2}{T_1}=(\frac{P_2}{P_1})^{\frac{k-1}{k}} $$

$$ T_2=T_1\times(\frac{P_2}{P_1})^{\frac{k-1}{k}}=(273+25)\times(\frac{10}{1})^{\frac{1.66-1}{1.66}}=744.400[K]-273=471.4[℃] $$
N0 단열압축

$$ \frac{T_2}{T_1}=(\frac{P_2}{P_1})^{\frac{k-1}{k}} $$

$$ T_2=T_1\times(\frac{P_2}{P_1})^{\frac{k-1}{k}}=(273+25)\times(\frac{10}{1})^{\frac{1.4-1}{1.4}} \\ =575.347[K]-273=302.347[℃] $$

에너지 20년기출B

*********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