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압기종류 (T1)
B 변압기 원리 종류별 특징
M 몰드변압기
A 아몰퍼스 변압기
H 하이브리드 변압기
U 단권변압기
S 초전도변압기
C 콘덴서형 계기용 변압기
T 3권선 변압기
I 1대1변압기
N 노이즈 대책 변압기
목차(초전도변압기 T1S)
초전도변압기
❓초전도변압기
- 초전도 권선을 통해 변압기 동손을 감소하여 효율을 극대화한 변압기
1️⃣초전도변압기 구조
- 기본 구조는 일반 변압기와 크게 다르지 않음
- 초전도 권선을 냉각시키기 위한 극저온용기 안에 초전도 권선을 설치 후 액체질소로 냉각
- 냉각효율 측면에서 철심은 상온 유지

2️⃣초전도변압기 개발효과
- 변압기 전력손실이 회기적으로 감소
- 변압기 수명 증가
- 30[MVA]이상 변압기가 경쟁력이 있음
3️⃣초전도변압기 특징
1)변압기 손실
- 동손이 0이 되고 나머지 손실은 그대로 발생
2)냉각방식
- 액체질소 순환방식 : 액체질소를 순환시키는 방식으로 구조가 복잡
- 액체실소 비순환방식 : 액체질소를 순환시키지 않고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방식
- 구조가 간단하나 냉각손실이 큼
- 대용량 변압기에 적합
3)변압기 무게
(30[MVA] 용량을 기준)
- 일반 유입 변압기 30[ton]
- 순환방식 초전도 변압기는 24[ton]
- 비순환방식의 경우 16[ton]
4)전류특성
- 임계전류에 의해 제한을 받음
- 극저온에서 적용할 초고압기기 개발 필요
4️⃣초전도 변압기 장점
1)효율 상승
- 동손이 감소하여 효율이 상승
2)부피감소
- 냉각장치 등의 부대시설이 증가하나 동량을 20~100배 정도 줄일수 있어 부피가 감소
3)친환경
- SF6, 절연유 대신 질소 사용
- 화재 위험이 감소하고 SF6사용 감소로 친환경적임
4)과부하 내량이 큼
- 절연열화가 안 됨 : 변압기 수명이 증가
- 200%과부하에서도 양호한 특성
5️⃣향후 전망
- 초전도변압기는 일반 변압기가 가지고 있는 용량과 수명의 한계를 극복
- 향후 기술개발에 의해 초전도변압기가 상용화되면 전력계통의 신기원
- 초전도 선재의 경우 대량화가 진행되면 경제성 문제도 해결
변압기종류 (T1)
B 변압기 원리 종류별 특징
M 몰드변압기
A 아몰퍼스 변압기
H 하이브리드 변압기
U 단권변압기
S 초전도변압기
C 콘덴서형 계기용 변압기
T 3권선 변압기
I 1대1변압기
N 노이즈 대책 변압기
목차(초전도변압기 #T1S)
초전도변압기
●LLS13 초전도변압기의 초전도 특성, 기술적 특성, 개발효과 및 향후 전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초전도 현상 LLS10)
1️⃣초고전도 원리(BCS이론) 및 현상
1)원리
- 초전도체의 임계온도 이하에 A전자가 지나간 자리에 느린 양이온이 모여 ⊕영역이 형성
- B전자가 ⊕영역으로 끌려 들어간다
- A, B 두 전자가 마치 당기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를 쿠퍼페어라 한다
- 임계온도 이하에서 대부분 전자는 쿠퍼페어를 형성하고 같은 방향 및 속도로 이동한다
- 임계온도 이하에서 대부분 전자는 쿠퍼페어를 형성하고 같은 방향 및 속도로 이동한다
- 이온격자진동(포논)과 충돌을 일으키지 않아 전기저항없이 큰 전류를 흘릴 수 있다.
2)현상종류

- 제로저항효과
- 초전도체는 임계온도 이하에서 직류전류에 대해 전기저항이 완전히 “0”이 된다.
- 저항이 없으므로 열이 발생하지 않아 에너지 손실(I²R)이 없다.

- 조셉슨 효과
초전도체 사이에 앏은 절연막을 삽입하여 쿠퍼페어에 의해 전류를 통과시킬수 있는 현상

- 매이스너 효과
- 일반도체는 외부에서 자기장을 가하면 도체 내부에 자기장이 발생한다.
- 초전도체는 내부 자속밀도가 0이 되는 표면전류(차폐전류)에의해 외부로 자기장을 밀어낸다.
3)초전도 유지조건

4)초전도체 종류
- 1종 초전도체
- 임계자기장을 경계로 정상 상태와 초전도 상태로의 전이
- 초전도 상태에 마이너 효과로 인하여 자기장이 침투하지 못함
- 단원자 초전도체들이 주종
- 2종 초전도체
- 온도 상태에 따라 상부 임계자기장(Hc₂)과 하부 임계 자기장(Hc₁)이 존재
- 하부임계자기장(Hc₁) 이하 :자기장이 침투하지 못하는 마이스너 효과
- 하부임계자기장(Hc₁) 이상 :초전도 상태를 계속 유지, 일부 자기장들이 초전도체를 침투
- 상부임계자기장(Hc₂)이상 :초전도 상태 상실
- 대부분 혼합물 및 산화물 고온 초전도체들이 이에 속함
- 거의 모든 초전도체 응용에 이와 같은 특성을 가지는 2종 초전도체를 이용
모범답안(초전도변압기 T1S)
3️⃣초전도변압기 특징
1)변압기 손실
- 동손이 0이 되고 나머지 손실은 그대로 발생
2)냉각방식
- 액체질소 순환방식 : 액체질소를 순환시키는 방식으로 구조가 복잡하자
- 액체실소 비순환방식 : 액체질소를 순환시키지 않고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방식
- 구조가 간단하나 냉각손실이 큼
- 대용량 변압기에 적합
3)변압기 무게(30[MVA] 용량을 기준)
- 일반 유입 변압기 30[ton]
- 순환방식 초전도 변압기는 24[ton]
- 비순환방식의 경우 16[ton]
4)전류특성
- 임계전류에 의해 제한을 받음
- 극저온에서 적용할 초고압기기 개발 필요
4️⃣초전도 변압기 장점
1)효율 상승
- 동손이 감소하여 효율이 상승
2)부피감소
- 냉각장치 등의 부대시설이 증가하나 동량을 20~100배 정도 줄일수 있어 부피가 감소
3)친환경
- SF6, 절연유 대신 질소 사용
- 화재 위험이 감소하고 SF6사용 감소로 친환경적임
4)과부하 내량이 큼
- 절연열화가 안 됨 : 변압기 수명이 증가
- 200%과부하에서도 양호한 특성
5️⃣향후 전망
- 초전도변압기는 일반 변압기가 가지고 있는 용량과 수명의 한계를 극복
- 향후 기술개발에 의해 초전도변압기가 상용화되면 전력계통의 신기원
- 초전도 선재의 경우 대량화가 진행되면 경제성 문제도 해결
변압기종류 (T1)
B 변압기 원리 종류별 특징
M 몰드변압기
A 아몰퍼스 변압기
H 하이브리드 변압기
U 단권변압기
S 초전도변압기
C 콘덴서형 계기용 변압기
T 3권선 변압기
I 1대1변압기
N 노이즈 대책 변압기
목차(초전도변압기 T1S)
초전도변압기
🌐V1010P24 / T1S
- 초전도케이블 (#LLS)
- 초전도에너지저장장치 (#MNS)
- 초전도변압기 (#T1S)
- 초전도한류기 (#BBS)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