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시론
명시론의 주요 항목
1)물체의 보임
- 밝음
빛이 있으면 물체가 잘 보이고, 빛이 없으면 물체가 잘 보이지 않으므로 적당한 도도가 확보되어야 물체를 잘 볼 수 있다
- 물체의 크기
조도가 확보되어 빛이 있더라도 크기가 너무 작으면 보이지 않는다
- 대비
빛이 있고 물체의 크기가 있더라도 배경의 밝음과 보려는 물체의 밝음의 비가 차이가 나지 않으면 물체가 잘 보이지 않는다.
- 시간
밝음, 크기, 대비가 충분하다 해도 물체가 너무 빠른 속도로 움직인다면 눈으로 볼 수 없다
2)눈부심
- 정의
시야 내의 어떠한 고휘도 물체로 인해 고통, 불쾌, 눈의 피로나 시력의 일시적 감퇴를 초래하는 현상을 말한다
- 원인
- 고휘도 광원 : 고회도 광원에 의한 눈부심으로 보려고 하는 물체의 문제 야기
- 반사및 투과면
- 순응의 결핍
- 눈에 입사하는 광속의 과다
- 시선 부근에 노출된 광원
- 물체와 그 주위 사이의 고후도 대비
- 눈부심을 주는 광원을 오랫동안 주시할때
- 눈부심의 종류
- 감능 글레어
- 불쾌 글레어
- 직시 글레어
- 반사 글레어
3)밝음의 분포
- 시야 내가 고르게 밝으면 눈의 피로가 발생하지 않으나, 고르지 않으면 정도의 차이에 따라 눈부심과 눈의 피로, 권태가 일어난다.
- 작업대상물의 광속발산도
실내를 기준으로 최대 광속발산도는 3배 이하로 최소 광속발산도는 1/3 이상을 허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