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항에 의한 한류방식(BBS)

초전도 한류기

제공

, ,
고장(단락 지락) BB

단락전류(기본이론)
기여전류
단락전류(종류)
단락전류(계산법 종류)
대칭좌표법
단락용량 경감대책(수변전설비)
계통연계기
초전도 한류기

단락전류(계산)
단락전류 계산(기본)
1선지락전류 유효접지
2선단락 3상단락
3상단락(단락전류 단락용량)
단락전류 계산(전동기)
단락전류 계산(분산전원)
단락전류 계산(한류리액터)
단락전류 계산(1선지락전류 3상단락전류)

목차(초전도한류기 BBS)

1️⃣초전도 한류기 구성

저항에 의한 한류방식(BBS)
저항에 의한 한류방식(BBS)

2️⃣초전도 한류기 동작

  • 0.1[ms]내에 감지하여 수[ms]이내에 사고전류를 제한
  • 영하196[℃]에서 손실없이 전류가 흐름
  • 초전도소자의 임계전류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초전도 성질을 잃어(Quench)임피던스가 발생하여 사고전류 제한

3️⃣초전도 한류기 특징

  • 선로에 손실 없음
  • 1/4사이클 이내에 사고전류를 제한하여 피해를 최소화함
  • 0.5초 이내에 다시 초전도 상태로 복귀함
  • 기존의 기기 교체 없이도 적용이 가능함
  • 한류효과가 우수하나 초전도소자가 이상전압에 쉽게 손상될 수 있는 단점이 있음

4️⃣초전도 한류기 종류

1)저항형

  • 초전도 도체에 고장전류가 흐를때 초전도성을 잃어 저항이 발생하는 성질은 이용
  • 전류가 과도하게 흘러 일정한 값(임계전류)을 넘으면 초전도성을 잃어 저항이 급속하게 발생

2)포화철심

  • 각각 AC코일을 감아 선로에 연결하고 반대쪽을 DC코일로 감아 DC회로에 연결해 구성
  • 상시 : DC 코일에 전류를 인가해 철심이 포화(전류가 잘 흐름)
  • 고장시 : 철심의 포화를 풀어 AC코일의 임피던스가 커져 전류를 제한

3)자기차폐형

  • 철심의 1차측에 AC코일, 2차측에 초전도체 설치
  • 상시 : 2차측 초전도체에 흐르는 전류가 적어 초전도 상태를 유지하면서 철심의 자기장이 Zero가 되므로 1차측 코일의 임피던스가 거의 없음
  • 고장시 : 고장전류가 흐르면 초전도체가 초전도성을 잃어 철심 자기장에 의해 임피던스 발생
https://c-mk.s3.ap-northeast-2.amazonaws.com/2022/11/c_초전류한류기.jpeg

고장(단락 지락) BB

단락전류(기본이론)
기여전류
단락전류(종류)
단락전류(계산법 종류)
대칭좌표법
단락용량 경감대책(수변전설비)
계통연계기
초전도 한류기

단락전류(계산)
단락전류 계산(기본)
1선지락전류 유효접지
2선단락 3상단락
3상단락(단락전류 단락용량)
단락전류 계산(전동기)
단락전류 계산(분산전원)
단락전류 계산(한류리액터)
단락전류 계산(1선지락전류 3상단락전류)

목차(초전도한류기 BBS)

💯기출문제

●S15 초전도 전류제한기 조건과 전류 제한형 초전도 변압기

모범답안(초전도 한류기 BBS15)

초전도 전류제한기 조건

초전도 전류제한기는 전력 시스템에서 과도 전류를 제한하는 장치입니다. 초전도체의 고유한 특성, 즉 임계 전류를 초과하면 저항이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작동합니다. 효과적인 초전도 전류제한기가 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빠른 응답 속도: 사고 발생 시 즉각적으로 전류를 제한해야 합니다.
  • 낮은 정상 상태 손실: 정상 작동 시에는 전력 손실이 최소화되어야 합니다.
  • 높은 임계 전류: 높은 전류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어야 합니다.
  • 빠른 복구 시간: 사고 후 시스템이 빠르게 정상 상태로 복귀할 수 있어야 합니다.
  • 경제성: 제작 및 유지 보수 비용이 합리적이어야 합니다.

전류 제한형 초전도 변압기

전류 제한형 초전도 변압기는 변압기의 기능과 전류 제한 기능을 결합한 장치입니다. 초전도 코일을 사용하여 높은 효율과 전류 제한 기능을 동시에 제공합니다.

  • 작동 원리: 정상 작동 시에는 초전도 코일의 낮은 저항으로 인해 높은 효율을 유지합니다. 사고 발생 시에는 초전도 코일의 임계 전류를 초과하여 저항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전류가 제한됩니다.
  • 장점: 기존 변압기에 비해 높은 효율, 작은 크기, 가벼운 무게, 우수한 전류 제한 능력을 제공합니다.
  • 적용 분야: 전력 시스템의 안정성 향상, 스마트 그리드, 대용량 전력 전송 등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추가 정보

  • 초전도 전류 제한기는 저항형, DC 리액터형, 자속 구속형 등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 전류 제한형 초전도 변압기는 전력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사고 전류로 인한 피해를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 초전도 전류 제한기 및 전류 제한형 초전도 변압기는 극저온 환경이 필요합니다.

더 자세한 정보는 다음 자료를 참고하세요.

변압기 결합형 초전도 한류기의 전력계통 적용특성: https://www.dbpia.co.kr/pdf/pdfView.do?nodeId=NODE10609809

변압기를 이용한 고온 초전도 한류기의 사고전류제한 특성에 관한 연구: https://www.dbpia.co.kr/pdf/pdfView.do?nodeId=NODE11986145

고장(단락 지락) BB

단락전류(기본이론)
기여전류
단락전류(종류)
단락전류(계산법 종류)
대칭좌표법
단락용량 경감대책(수변전설비)
계통연계기
초전도 한류기

단락전류(계산)
단락전류 계산(기본)
1선지락전류 유효접지
2선단락 3상단락
3상단락(단락전류 단락용량)
단락전류 계산(전동기)
단락전류 계산(분산전원)
단락전류 계산(한류리액터)
단락전류 계산(1선지락전류 3상단락전류)

목차(초전도한류기 BBS)

🌐V1010P24 / BBS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