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락전류

단락전류 (기본이론)*

고장(단락전류 지락전류)

단락전류 기본이론
단락전류 종류
단락전류 계산법 종류
대칭좌표법
수변전설비 단락용량 경감대책
계통연계기
초전도 한류기

단락전류 계산 FLOW
A점과 B점의 단락전류 계산
3상단락전류 및 단락용량
단락전류 계산(전동기)
단락용량 계산(분산전원)
3상단락고장(한류리액터)
1선지락전류와 3상단락전류계산
2선 단락고장과 3상 단락사고의 비 계산
1선지락과 유효접지

목차(단락전류)

☑️단릭전류계산목적(개보시씨 케계유)

단락전류

❓단락이란

  • 회로가 설계한 선로로 전기가 흐르지않고 임피던스가 적은 다른경로로 흐르는현상
  • 단락전류: 이로인해 설계전류보다 많은전류가흐르는데 이때의 전류
  • 단락전압: 단락상태에서 정격전류가 흐를수있도록 낮춘 전압
  • %Z: 단락전압을 정격전압으로나눈것을 %로 나타낸값
  • 임피던스(Z): 저항과 리액턴스의 합을의미하는 값
  • 단락상태에서 임피던스값은 상당히 낮은값

1️⃣단락전류(Is) 계산목적

☑️단릭전류계산목적(개보시씨 케계유)

  • 개폐기류(차단기등)의 차단용량 산출
  • (보호)계전기의 형식 및 정정 계산
  • 보호계전기의 한시탭
  • CT선정, 보호계전기의 순시탭
  • 케이블 배선 등의 굵기 결정
  • 계통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 유효접지 검토
  • 기기의 (열적)기계적강도
  • 타 회로에 미치는 단락 시의 전압강하

2️⃣%임피던스

%임피던스는 임피던스의 값을 백분율

3️⃣기준MVA의 의미

  • 전원 측에서 부하 측 또는 단락점으로 보낼수 있는 최대용량
  • 발전소의 최대 변압기 용량이나 수전 측 최대변압기 용량으로 결정
  • 대부분 전력회사 측에서 수용가 측에 보내는 용량으로 한국에서는 100[MV], 22[kV]급을 많이 사용

4️⃣차단기의 정격

1)정격전압(25kV)
2)정격전류
3)정격차단전류
4)정격차단용량

5️⃣전압의 종류

1)표준전압
2)공칭전압 (22.9kV)
3)최고전압 (23.8kV)
4)정격전압 (25.8kV)
5)기준전압 (20.8kV)
6)기준충격절연강도(BIL)

6️⃣단락전류를 산출시 가정할 항목

  • 2차 간선(Feeder) 단락 가정
  • 3상 단락사고를 가정: 가장 큰 고장전류
  • 무부하 가정: 3상 단락전류인 이상전류만 있다고 가정
  • 변압기 %임피던스 값은 실제 값을 사용하고, 모를 때는 7.5[%]까지 가정하여 제시
  • 동기전동기나 유도전동기를 사고 발생 시 정격운전 가정
  • X/R비를 정확히 모를 때는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가정: X/R비가 클수록 과도현상이 커지고 단락전류가 커짐 일반적으로 154[kV]에서는 20, 22[kV]급에서는 4 정도를 예상
  • 배전반이나 분전반의 모선 임피던스는 무시한다고 가정
  • 모든 계산은 정확한 계산이 불가능하므로 약(About)을 전제
  • 과도상태는Xd'(과도 리액턴스) 상태를 고려 : Xd”(초기 과도 리액턴스), Xd'(과도리액턴스), Xd(동기리액턴스)
  • Xd’는 1/2~3사이클 이내

7️⃣기여전류

  • 기여전류는 단락사고가 발생했을 때, 특정 전기기기나 시스템이 전체 단락 전류에 기여하는 전류량
  • 단락점에서 흐르는 총 전류 중 해당 기기나 시스템이 얼마만큼의 전류를 공급하는지를 나타내는 값

8️⃣단락전류를 %Z법으로 구하는 이유

  • 한전 측에서 제공하는 선로조건에 기준MVA와 %Z치로 주어지기 때문에 같은 FLOW로 임피던스맵 도식에 적용
  • 기준용량에 %Z 일치가 용이
  • 선로의 각 전압에 따른 선로 %Z를 바꿀 필요가 없음
  • 임피던스법으로 나타낸 수치를 %Z로 바꾸기가 용이
\[ \%Z=\frac{kVA\cdot Z}{10V^2} \]
  • %Z로부터 단락전류 및 차단용량의 계산이 용이
\[ I_s=\frac{100}{\%Z}\times I_n\]
\[ 차단용량=\sqrt{3}(3상)정격전압[kV]\times I_s\times (1.1\sim 1.6)\]

(비대칭 계수에 따른 증가 계수)

고장(단락전류 지락전류)

단락전류 기본이론
단락전류 종류
단락전류 계산법 종류
대칭좌표법
수변전설비 단락용량 경감대책
계통연계기
초전도 한류기

단락전류 계산 FLOW
A점과 B점의 단락전류 계산
3상단락전류 및 단락용량
단락전류 계산(전동기)
단락용량 계산(분산전원)
3상단락고장(한류리액터)
1선지락전류와 3상단락전류계산
2선 단락고장과 3상 단락사고의 비 계산
1선지락과 유효접지

목차(단락전류)

💯기출문제

○A10.단락사고 시 전동기 기여전류와 과도 리액턴스를 설명하시오

기여전류

○A11.배전계통에서 고장계산을 하는 이유 5가지를 설명하시오.

☑️단락전류계산목적(개보시씨 케계유)

○A12.변압기 등가회로를 그리고 임피던스 전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단락전류 임피던스

●A16.단락시 역률이 저하되는 이유

임피던스감소, 유도성부하의영향, 비선형부하의영향

  • 임피던스 감소: 단락이 발생하면 회로의 임피던스가 급격히 감소합니다. 임피던스는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성분으로, 임피던스가 감소하면 전류가 크게 증가하게 됩니다. 이때 유도성 부하의 영향으로 무효 전력 성분이 증가하여 역률이 저하됩니다.
  • 유도성 부하의 영향: 대부분의 전기 기기는 유도성 부하를 가지고 있습니다. 단락 시 유도성 부하의 리액턴스 성분이 증가하여 무효 전력이 크게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역률이 저하됩니다.
  • 비선형 부하의 영향: 비선형 부하는 고조파를 발생시켜 전력 품질을 저하시키고, 역률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단락 시 비선형 부하의 영향이 더욱 커져 역률 저하를 가속화시킬 수 있습니다.

고장(단락전류 지락전류)

단락전류 기본이론
단락전류 종류
단락전류 계산법 종류
대칭좌표법
수변전설비 단락용량 경감대책
계통연계기
초전도 한류기

단락전류 계산 FLOW
A점과 B점의 단락전류 계산
3상단락전류 및 단락용량
단락전류 계산(전동기)
단락용량 계산(분산전원)
3상단락고장(한류리액터)
1선지락전류와 3상단락전류계산
2선 단락고장과 3상 단락사고의 비 계산
1선지락과 유효접지

목차(단락전류)

🌐V0929M244

임피던스

기여전류

전압 전위

차단기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