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비행장등화 KEC241.13 FAL)
비행장등화 KEC241.13
1️⃣전원 공급장치
항공등화에 필요한 전력을 1차전원과 2차전원으로 구분된다. 1차전원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말하는 상용전원을 말하고 2차전원이라 함은 예비전원을 의미하는데, 이들 각각의 설치방법은 다음과 같다
- 1차전원
- 공항의 전력은 대규모로 상호 연계되어 공급의 신뢰도가 높은 배전계통으로부터 수전
- 주요비행장의 경우는 2계통에서 독립된 배전선로로부터 수전
즉 서로다른 변전소로부터 각각 별도의 비전선로를 통해서 전력을 공급받는 방식으로 상시에는 A변전소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A변전소 또는 A변전소로부터의 배전선로에 고장이 발생했을때는 B변전소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방식
- 2차전원
- 2차전원으로는 신뢰성과 효율이 있는 UPS, 연료전지, 태양전지, 발전기 등의 사용
- 발전기 구동용 원동기는 디젤엔진, 가스터빈엔진, 가솔린엔진이 사용되고, 엔진의 기동장치로는 압축공기식보다는 주로 축전지가 사용
2️⃣항공 등화의 결선방식
- 항공등화는 장거리에 걸쳐서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활주로하나의 길이가 보통 2~4㎞) 여기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회로는 일반적인 병렬방식으로 하면 말단에 가서는 전압강하때문에 곤란하여 정전류형의 직렬방식
- 직렬방식인 CCR은 정전류 공급장치로 전류의 크기는 보통 6.6 이고 용량은 2차에 걸리는 부하에 야간의 여유를 두어 선택
- 직렬회로에 사용되는 변압기는 권수비 1:1의 절연변압기로 정상상태에서는 자기적으로 불포화이나 2차회로가 개로된 상태에서는 1차회로의 안전성을 위해 자기적으로 포화상태가 되도록 하며, 2차회로 단락 시에는 무부하상태가 된다
- 활주로에는 동일한 종류의 등이 다수설치되는 경우가 만시 때문에 격등 회로 방식을 사용한다. 격등 회로란 등을 하나씩 건너 뛰면서 서로 다른 CCR로 전력을 공급하여 만일 하나의 CCR이 고장나더라도 전체적인 소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
- 직렬회로에 사용되는 케이블은 주로 10[㎟]가 사용
- 항공등화에 사용되는 광원은 주로 할로겐 램프가 사용되며, 항공등화의 종류와 요구되는 광도에 따라 45[W], 100[W], 175[W], 200[W], 300[W], 500[W] 등이 사용
- 활주로에 매입되는 항공등화는 변압기, 안정기 및 램프를 직경 305[㎜]깊이 600[㎜]의 통에 넣어 매립

목차(비행장등화 KEC241.13 FAL)
비행장등화 KEC241.13
💯기출문제
○01모든 공항에 필수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는 진입각 지시 등의 설치목적, 구조와 설치기준 및 배선방법에 대하여 간략히 쓰시오
모범답안(진입각 지시 등 )
1. 진입각 지시 등의 설치 목적
진입각 지시 등은 항공기가 활주로에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도록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항공등 시설입니다. 주로 활주로 양측 끝에 설치되며, 항공기 조종사에게 활주로에 대한 정확한 진입각을 알려주어 안전한 착륙을 유도하는 역할을 합니다.
2. 진입각 지시 등의 구조
진입각 지시 등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등체: 강한 빛을 내는 광원으로, 일반적으로 할로겐 램프, LED 등이 사용됩니다.
- 렌즈: 등체에서 나온 빛을 특정한 각도로 집중시켜 조종사에게 명확한 시각 신호를 제공합니다.
- 하우징: 등체와 렌즈를 보호하고, 설치를 위한 지지대 역할을 합니다.
- 배선: 전원 공급을 위한 배선과 제어 회로로 구성됩니다.
3. 진입각 지시 등의 설치 기준
진입각 지시 등의 설치 기준은 국가별, 공항별로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준을 준수합니다.
-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규정 준수: ICAO에서 정한 항공등 시설 설치 기준을 따라야 합니다.
- 활주로 길이 및 폭에 따른 설치: 활주로의 길이와 폭에 따라 설치 위치와 수량이 결정됩니다.
- 진입각: 항공기의 안전한 착륙을 위한 적정한 진입각을 유지하도록 설치해야 합니다.
- 광도: 악천후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광도를 유지하여 조종사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점멸 주기: 일정한 주기로 점멸하여 다른 항공등 시설과 구분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4. 진입각 지시 등의 배선 방법
진입각 지시 등의 배선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 직접 매설: 지중에 케이블을 매설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안정성이 높지만 시공 비용이 많이 듭니다.
- 가공 배선: 지상에 케이블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시공이 간편하지만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손상될 위험이 있습니다.
- 관로 매설: 케이블을 보호관에 넣어 지중에 매설하는 방식으로, 직접 매설 방식에 비해 시공이 용이하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됩니다.
5. 추가 사항
- 유지보수: 진입각 지시 등은 항공 안전과 직결되는 중요한 시설이므로,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가 필요합니다.
- 예비 전원: 정전 시에도 작동할 수 있도록 예비 전원을 마련하는 것이 좋습니다.
- 항공기 충돌 방지: 항공기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이격 거리를 유지해야 합니다.
●02활주로 항공등화의 전기회로 구성방식 및 전원공급장치를 설명하시오
모범답안(활주로 항공등화 )
1. 전기 회로 구성 방식
활주로 항공등화의 전기 회로는 일반적인 병렬 방식과 달리 정전류 직렬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장거리 배선: 활주로는 매우 길기 때문에 병렬 방식으로 연결하면 말단으로 갈수록 전압 강하가 심해져 빛의 세기가 약해질 수 있습니다.
- 안정적인 빛 출력: 정전류 방식은 각 등에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여 빛의 세기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 고장 시 영향 최소화: 하나의 등이 고장 나더라도 다른 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정전류 직렬 방식의 구성:
- 정전류 조정기(CCR):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는 장치로, 회로의 전압 변동이나 부하 변동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전류를 유지합니다.
- 변압기: 높은 전압의 전원을 등에 적합한 전압으로 낮춰줍니다.
- 등: 활주로에 설치되는 다양한 종류의 항공등(접지대등, 중심선등, 진입각 지시등 등)
- 케이블: 각 등을 연결하는 케이블
[그림: 정전류 직렬 방식의 회로 구성]
2. 전원 공급 장치
활주로 항공등화는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필수적입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전원 공급 방식을 사용합니다.
- 1차 전원:
- 상용 전원: 일반적인 상용 전력망에서 전력을 공급받습니다.
- 예비 전원: 정전 시를 대비하여 디젤 발전기, UPS 등의 예비 전원을 마련합니다.
- 2차 전원:
- 정전류 조정기(CCR): 직렬 연결된 항공등에 일정한 전류를 공급합니다.
- 변압기: 전압을 조절하여 각 등에 적합한 전압을 공급합니다.
3. 기타 고려 사항
- 격등 회로: 하나의 CCR이 고장 나더라도 전체 등이 소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등을 여러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에 다른 CCR을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 케이블: 내구성이 강하고 외부 환경에 잘 견딜 수 있는 특수한 케이블을 사용합니다.
- 접지: 안전을 위해 모든 전기 설비는 철저하게 접지해야 합니다.
- 점검 및 유지보수: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를 통해 항상 최상의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목차(비행장등화 KEC241.13 FAL)
비행장등화 KEC241.13
🌐V1003S24 / FAL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