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장(단락 지락) BB
I 단락전류(기본이론)
→A 기여전류
→Z 단락전류(종류)
C 단락전류(계산법 종류)
→Y 대칭좌표법
P 단락용량 경감대책(수변전설비)
→N 계통연계기
→S초전도 한류기
F 단락전류(계산)
→0 단락전류 계산(기본)
→1 1선지락전류 유효접지
→2 2선단락 3상단락
→3 3상단락(단락전류 단락용량)
→M 단락전류 계산(전동기)
→D 단락전류 계산(분산전원)
→R 3상단락고장(한류리액터)
→T 1선지락전류 3상단락전류
목차(기여전류 BBA)
기여전류
1️⃣기여전류
- 기여전류는 단락사고가 발생했을 때, 특정 전기기기나 시스템이 전체 단락 전류에 기여하는 전류량
- 단락점에서 흐르는 총 전류 중 해당 기기나 시스템이 얼마만큼의 전류를 공급하는지를 나타내는 값
1)기여전류계산 목적
- 보호계전기 설정: 🔗BPP
- 단락사고 발생 시, 보호계전기가 정확하게 동작하기 위해서는 단락전류의 크기를 정확히 예측해야함
- 이를 위해 각 기기의 기여전류를 계산하여 합산
- 차단기 선정: 🔗TDO
- 단락전류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차단기를 선정해야함
- 각 기기의 기여전류를 계산하여 전체 단락전류를 예측하고, 이에 맞는 차단 용량을 가진 차단기를 선택
- 시스템 설계:
- 전력 시스템을 설계할 때, 단락전류를 고려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축
2)기여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 기기의 임피던스:
- 임피던스가 작을수록 기여전류가 커집니다.
- 전압:
- 시스템의 전압이 높을수록 기여전류가 커집니다.
- 단락점 위치:
- 단락점과 기기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기여전류가 커집니다.
- 기기의 종류:
- 발전기, 변압기, 모터 등 기기의 종류에 따라 기여전류의 특성이 다름
3)기여전류 계산 방법
기여전류는 일반적으로 전력계통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계산합니다. 프로그램에 시스템의 구성, 기기의 파라미터 등을 입력하면, 단락점 위치에 따른 단락전류를 계산
2️⃣기여전류의 종류
- 사고전류의 기본source는 전력회사system, 발전기, 동기전동기,유도전동기 등
1)전원 측(Utility)
- 정상전압과 기준 MVA에 의한 기여전류 공급에 의한 단락전류
2)동기발전기
- %9로 적용하여 대부분 정상전류분의 약 11배 크기의 기여전류 공급에 의한 단락전류
3)동기전동기
- %10로 적용하여 대부분 정상전류분의 약 10배 크기의 기여전류 공급에 의한 단락전류
4)유도전동기
- %25로 적용하여 대부분 정상전류분의 약 4배 크기의 기여전류 공급에 의한 단락전류

3️⃣기여전류 계산 시 주의사항
- 모든 기기의 임피던스 고려:
- 변압기의 변압비 고려
- 회전기기의 영향 고려
고장(단락 지락) BB
I 단락전류(기본이론)
→A 기여전류
→Z 단락전류(종류)
C 단락전류(계산법 종류)
→Y 대칭좌표법
P 단락용량 경감대책(수변전설비)
→N 계통연계기
→S초전도 한류기
F 단락전류(계산)
→0 단락전류 계산(기본)
→1 1선지락전류 유효접지
→2 2선단락 3상단락
→3 3상단락(단락전류 단락용량)
→M 단락전류 계산(전동기)
→D 단락전류 계산(분산전원)
→R 3상단락고장(한류리액터)
→T 1선지락전류 3상단락전류
목차(기여전류 BBA)
기여전류
💯기출문제
○A10 단락사고 시 전동기 기여전류와 과도 리액턴스를 설명하시오
모범답안(기여전류와 과도리액턴스 BBA10)
단락사고란?
- 회로가 설계한 선로로 전기가 흐르지않고 임피던스가 적은 다른경로로 흐르는현상
- 이는 짧은 시간에 매우 큰 전류가 흐르게 되어 설비 손상, 화재 등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전동기 기여전류란?
- 단락사고가 발생하면 전력계통에 연결된 전동기는 부하의 관성에 의해 계속 회전하면서 마치 발전기처럼 작동
- 전동기는 사고점으로 전류를 공급하는데, 이를 기여전류라고 합니다. 즉, 전동기는 단락사고 발생 시 오히려 사고 전류를 증가시키는 역할
- 기여전류의 특징:
- 크기: 일반적으로 전동기 정격전류의 6~8배 정도로 매우 큽
- 지속시간: 약 3~4 사이클 정도로 짧다.
- 영향: 단락사고 시 차단기를 선정하고 보호계전기를 설정하는 데 중요한 요소
과도 리액턴스란?
- 전동기의 과도 리액턴스는 단락사고 발생 직후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리액턴스
- 전동기의 권선에 흐르는 전류가 급격하게 변화하면서 자기장이 변화하고, 이로 인해 유도되는 전압이 발생하여 마치 코일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과도 리액턴스라고 합니다.
- 과도 리액턴스의 특징:
- 크기: 정상 상태의 리액턴스보다 훨씬 큽니다.
- 지속시간: 매우 짧은 시간 동안만 유지됩니다.
- 영향: 과도 리액턴스는 기여전류의 크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과도 리액턴스가 클수록 기여전류는 작아짐
전동기 기여전류 고려이유
- 차단기 선정:
- 단락사고 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차단기의 차단용량을 충분히 확보해야함
- 따라서 전동기 기여전류를 고려하여 차단기를 선정
- 보호계전기 설정:
- 보호계전기는 단락사고 발생 시 빠르게 차단기를 동작시켜 설비를 보호하는 역할을함
- 전동기 기여전류를 고려하여 보호계전기를 설정하지 않으면 오동작이나 미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결론
- 단락사고 시 전동기는 기여전류를 발생시켜 사고 전류를 증가시키는 역할
- 과도 리액턴스는 기여전류의 크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전동기 기여전류는 차단기 선정 및 보호계전기 설정에 있어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요소
고장(단락 지락) BB
I 단락전류(기본이론)
→A 기여전류
→Z 단락전류(종류)
C 단락전류(계산법 종류)
→Y 대칭좌표법
P 단락용량 경감대책(수변전설비)
→N 계통연계기
→S초전도 한류기
F 단락전류(계산)
→0 단락전류 계산(기본)
→1 1선지락전류 유효접지
→2 2선단락 3상단락
→3 3상단락(단락전류 단락용량)
→M 단락전류 계산(전동기)
→D 단락전류 계산(분산전원)
→R 3상단락고장(한류리액터)
→T 1선지락전류 3상단락전류
목차(기여전류 BBA)
기여전류
🌐V0929P24 / BBA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