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베이터 설비(JV)
엘리베이터의 기본
엘리베이터 설계시 고려사항
E/V설계 및 시공 시 고려사항
기타 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의 구성과 안전장치
군관리 방식
엘리베이터의 설계(대수, 용량, 교통량)
엘리베이터의 소음 원인과 대책
(초)고층용 엘리베이터 설계시 고려사항
에스컬레이터 설계 및 시공 시 고려사항
에스컬레이터의 설비구성 및 안전장치
수평보행기(무빙워크)
목차(엘리베이터 설계 고려사항 LVP)
엘리베이터 설계(고려사항)
1️⃣엘리베이터 설계시 고려사항
엘리베이터는 모든 건축물의 수직 운반수단으로 이용되는 반송설비로서 건축물의 규모에따라 설치를 의무화됨
설치규정 :건축법 제57조 제 1항, 2항 시행령 제89, 90조의 비상용 승강기 설치 의무 대상
- 대상건축물의 교통수요량에 적합
- 대기시간은 평균 운전 간격이하가 되게 한다
- 운용에 편리한 배열, 배치를 건축물의 중심부에 설치
- 출입층이 2개층인 경우 각각 교통수요 이상
- 교통수요량이 많은 경우 출발 기준층이 1개층으로 계획
- 군관리 운전의 경우 동일군 내의 서비스층을 같게 함
- 초고층, 대규모 빌딩의 경우 서비스 그룹의 분할을 검토
2️⃣설계순서
1)설치 대수 결정
- 속도 결정
- 수량 결정
- 정원 결정
2)운영계획
- 서비스층 결정
- 배치결정
- 운전방식 결정
3)전원설비계획
- 구동방법결정
- 전원용량계산
- 간선계산
3️⃣설치 대수 결정(설치기준)
1)속도 결정
- 초고속형
210~540[m/min]이상
30층 이상 건축물
- 고속형
- 120~180[m/min]이상
- 16~30층 건축물
- 중속도형
60~105[m/min]정도
6~15층
- 저속도형
45[m/min]이하 속도
병원침대용, 5층이하
2)설치 대수 결정
- 건축법
건축물의 용도, 규모에 따른 설치 대수 결정
- 승객용(일반)
구분 | 3000[㎡] 이하 | 3000[㎡]초과 |
관람, 영업, 의료 집회시설 | 2대 | \[\frac{6층이상거실면적-3000}{2000}+2\] |
전시장, 업무, 동식물원 숙박위락시설 | 1대 | \[\frac{6층이상거실면적-3000}{2000}+1\] |
공동추택, 연구, 기타시설, 교육 | 1대 | \[\frac{6층이상거실면적-3000}{3000}+1\] |
- 비상용(높이 31[m] 넘는 건축물 의무설치)
- 각층 바닥면적 중 최대 바닥면적이 1,500[㎡]이하인 건출물은 1대이상
- 각층 바닥면적 중 최대 바닥면적이 1500[㎡]를 넘는 건축물에는 1재에 1500[㎡]를 넘는 매 3000[㎡]마다 1개씩 가산한 대수이상 설치
- 계산식(수송 인원에 따른 설치 대수:용도 및 규모와 무관)
- 정원결정
1인당 65kg으로 정원 산출
4️⃣운용계획
1)서비스 층 결정
- 각 서비스존은 10~15층 정도로 구분
- 존별 승강기 수량은 가능한 8대 이내
- 대규모 지하층 경우 기준층까지 별도의 셔틀 존 수성
2)배치의 결정
- 일련배치, 대면배치, 일렬 코브 배치
- 교통 동선의 중심 배치, 그룹별 배치(4대 이하), 군관리 방식(여러대)
3)운전방식
단독운전, 군 관리 운전
5️⃣전원설비계획
1)구동방법 결정
- 교류 엘리베이터
- 직류 엘리베이터
2)변압기 용량
3)허용전압강하
4)전선의 종류
5)전동기 용량
6)차단기 용량
7)고조파 저감 대책
- 대부분의 E/V는 인버터 제어 : 고조파 발새에 대한 대책이 필요
- 뇌서지 유입 시 제어회로가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6️⃣건축적 고려사항
1)설치규정 : 건축법 제57조
- 승용 :
6층이상 건축물, 건축물 용도, 규모에 따른 대수 산출 - 비상용 :
높이 31[m]가 넘는 건축물 의무설치, 최대층 바닥면적에 따른 대수산출
2)평균 대기시간
- 오피스, 호텔 : 40초
- 병원 : 60초
- 아파트 : 90초
3)승강로
적재하중 → 바닥면적 산출 → 승강로(카 바닥면적의 1.2배 이상)
화물용 : 1[㎡]당 250[kg], 승용1인당 65[kg]산정

4)진동의 영향
- 원인
- 가동시 저층부에서는 로프의 진동범위가 적게 나타나지만 고층부로 올라갈수록 로프의 진동수가 커지고 주파수가 증가
- 그 결과 로프가 Hoist Way를 치게 되면서 로프가 손상이 되어 E/V안전에 영향을줌
- 대책
- 이동식 로프 가이드 설치
- 빌딩의 고유 진동수에 대한 주기, 크기, 조건 기재

5)Piston Effect
- 원인
- 540[m/min]의 초고속으로 운행되고 운행거리도 길면 승강로 내 바람의 이동이나 충격이 발생
- 대책
- 바람의 이동이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승강로 최상층, 중간 및 최하층에 공기 충격 흡수(완화)공간을 설치
- 카를 유선형으로 제작하여 Piston Effect효과 축소

6)굴뚝의 영향(Stack Effect)
- 정의
- 기계실 창문이 열려 있을 때, 1층 현관문을 열려 있으면 공기는 E/V열린 문을 통하여 1층부터 최상층까지 도달하게 되어 심하면 문이 닫히지 않거나 저층부에서 화재 발생 시 고층 거주자 등의 질식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 대책
- 현관문을 이중문 또는 회전문으로 할 것
- 엘리베이터 기계실의 창문을 닫힌 상태로 유지 또는 크기를 최소화할 것
7)승강로 및 기계실의 소음 영향
- 고속 주행에 의한 소음으로 승객과 거주자에게 불쾨감 유발
- 적절한 방음설치
- 공기 마찰음 : 승강로의 본체의 틈을 크게 한다
- 협부 통과음 : 요철제거, 경사판 및 막음판 설치
- 돌입음 : 1.5~1.8[㎡]의 통풍구 설치
- 기계실 내 기기음 : 흡음판 설치
8)기타 건축적 고려사항
- 기계실 바닥은 하중에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구조로 설치
- 기계실 천장 중앙에 기기 반입을 위한 훅설치
- 기계실 발열량에 대한 대책수립 : 용량에 맞는 냉방장치 설치
- 기계실 면적은 승강로 면적의 2배 확보
- 기계식 층고는 최소한 2[m]이상 확보
- 기계실의 기기 반입을 위하여 바닥 콘크리트 타설 시 임시 개구부 설치
- 지진발생 시 견딜 수 있는 내진 설계
7️⃣시공 시 고려사항
- 기계실 바닥은 하준에 견디도록 설계
- 기계실 발열량에 대한 대책 : 벽 양쪽에 갤러리 창 또는 냉방설치
- 장비 인입구를 감안하여 시공
- 기계실 면적은 승강로 면적의 2배, 층고 2[m]이상
엘리베이터 설비(JV)
엘리베이터의 기본
엘리베이터 설계시 고려사항
E/V설계 및 시공 시 고려사항
기타 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의 구성과 안전장치
군관리 방식
엘리베이터의 설계(대수, 용량, 교통량)
엘리베이터의 소음 원인과 대책
(초)고층용 엘리베이터 설계시 고려사항
에스컬레이터 설계 및 시공 시 고려사항
에스컬레이터의 설비구성 및 안전장치
수평보행기(무빙워크)
목차(엘리베이터 설계)
엘리베이터 설계
💯기출문제(엘리베이터 구성)
●P01 건축물에 로프식 엘리베이터를 설치할 경우 엘리베이터의 구조, 건축설비등 건축적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엘리베이터 건축적고려사항 JVP01)
1. 엘리베이터 구조
- 권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상하 운동시키는 동력원으로, 기계실에 설치됩니다.
- 승강로: 엘리베이터 카가 이동하는 공간으로, 엘리베이터의 높이와 규모에 따라 크기가 결정됩니다.
- 카: 승객이나 화물을 싣고 이동하는 공간입니다.
- 균형추: 엘리베이터 카의 무게와 균형을 맞추기 위한 추입니다.
- 가이드 레일: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로 내에서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레일입니다.
- 도어: 엘리베이터 카와 층 사이의 출입을 위한 문입니다.
- 제어반: 엘리베이터의 모든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입니다.
2. 건축 설비 고려사항
- 기계실: 권상기 등 엘리베이터의 주요 기기가 설치되는 공간으로, 충분한 면적과 높이가 확보되어야 합니다.
- 피트: 엘리베이터 하부에 위치한 공간으로, 완충기 등 안전 장치가 설치됩니다.
- 전력 공급: 엘리베이터 운전에 필요한 전력 공급 시스템을 설계해야 합니다.
- 소음 및 진동: 엘리베이터 운전 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음 및 방진 대책이 필요합니다.
- 안전 장치: 비상 정지 장치, 과속 방지 장치 등 다양한 안전 장치를 설치해야 합니다.
- 화재 안전: 화재 발생 시 승객의 안전을 위한 소화 설비 및 비상 통화 장치를 설치해야 합니다.
- 건축 법규 준수: 건축법, 승강기 안전 관리법 등 관련 법규를 준수하여 설계 및 시공해야 합니다.
3. 건축적 고려사항
- 건물 구조: 엘리베이터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건물 구조를 설계해야 합니다.
- 승강로 위치: 승강로 위치는 건물의 동선과 이용 편의성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 인테리어: 엘리베이터 내부는 쾌적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인테리어를 설계해야 합니다.
- 에너지 효율: 에너지 효율이 높은 엘리베이터를 선택하고, 재생 에너지를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4. 기타 고려사항
- 유지보수: 엘리베이터의 안전하고 원활한 운행을 위해 정기적인 유지보수가 필요합니다.
- 장애인 편의: 장애인의 이용 편의를 위해 버튼 높이 조절, 점자 표시 등을 설치해야 합니다.
- 미관: 건물의 외관과 조화를 이루는 디자인을 선택해야 합니다.
●P02 엘리베이터 설비계획의 기본요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기출문제(엘리베이터 설계)
●P01최근 건설되고 있는 초고층 대형 건축물에서의 엘리베이터 설계시 전기적,건축적 고려사항을 설명하시오
●P02최근 건축물의 초고층화로 인하여 엘리베이터의 중요성이 매우 커지고 있다. 엘리베이터의 교통량 계산시 사전검토사항과 대수 산정에 대하여 설명
엘리베이터 설비(JV)
엘리베이터의 기본
엘리베이터 설계시 고려사항
E/V설계 및 시공 시 고려사항
기타 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의 구성과 안전장치
군관리 방식
엘리베이터의 설계(대수, 용량, 교통량)
엘리베이터의 소음 원인과 대책
(초)고층용 엘리베이터 설계시 고려사항
에스컬레이터 설계 및 시공 시 고려사항
에스컬레이터의 설비구성 및 안전장치
수평보행기(무빙워크)
목차(엘리베이터 설계)
엘리베이터 설계
🌐V1009Z24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