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의 기본

고층 건물의 각 층에 설치하여 사람이나 화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만든 승강 장치를 말한다
최근에는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인공지능 엘리베이터등 기존의 단점을 많이 보완한 엘리베이터 등이 출시되고 있다

설치기준

1)일반용(승객용)승강기

구분3000[㎡]
이하
3000[㎡]초과
관람, 영업, 의료
집회시설
2대\[\frac{6층이상거실면적−3000}{2000}+2\]
전시장, 업무,
동식물원
숙박위락시설
1대\[\frac{6층이상거실면적−3000}{2000}+1\]
공동추택, 연구,
기타시설, 교육
1대\[\frac{6층이상거실면적−3000}{3000}+1\]

2)비상용 승강기

  • 각층 바닥면적 중 최대 바닥면적이 1,500[㎡]이하인 건출물은 1대이상
  • 각층 바닥면적 중 최대 바닥면적이 1500[㎡]를 넘는 건축물에는 1재에 1500[㎡]를 넘는 매 3000[㎡]마다 1개씩 가산한 대수이상 설치
\[설치대수N=\frac{31[m]초과층중최대바닥층바닥면적−1500[㎡]}{3000}+1\]

엘리베이터의 분류

1)용도에 따른 분류

승용, 화물용, 인화용, 침대용, 자동차용, 비상용, 장애자용, 전망용 등

2)속도에 따른 분류

  • 초고속형
    210~540[m/min]이상
    30층 이상 건축물
  • 고속형
    • 120~180[m/min]이상
    • 15~30층 건축물
  • 중속도형
    60~105[m/min]정도
  • 저속도형
    45[m/min]이하 속도

3)전원에 의한 분류

교류 엘리베이터, 직류 엘리베이터

4)감속기 유무에 따른 분류

기어드 엘리베이터, 기어리스 엘리베이터

5)동력 매체를 운행시키는 방법에 의한 분류

로프식 엘리베이터, 유압식 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운전방식

1)단식자동 방식

  • 승강장의 목적층 호출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출발하고 정지하는 승객 자신이 운전하는 조작방식이다
  • 이방식은 운전 중 다른 호출신호가 있어도 운전 종료까지 응답하지 않는다

2)승함전자동 방식

  • 목적층의 버튼과 승강장의 호출신호에 의해 출발 및 정지하는 조작방식이다
  • 승객 자신이 운전하는전자동 엘리베이터로서 누른 순서에 관계없이 각 호출에 따른다

3)전자동 군관리방식

  • 3~8대에 적용되며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건물 전체에 교통정보를 엘리베이터 전용 컴퓨터가 종합분석하여 적절한 교통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교통 상태에 대응할 수 있는 적절한 운전 상태를 선택하는 방식이다.
  • 각 엘리베이터에 운전 명령을 내림으로써 교통이 혼잡할 때에는 교통수요를 신속하게 처리하고 교통이 한산할 때에는 대기 시간을 단축시켜 주는 편리한 방식이다
  • 중소빌딩에서부터 초고층 빌딩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사용한다

엘리베이터의 최근 동향

1)리니어 모터 엘리베이터

  • 기계실 없는 로프리스방식
  • 성 에너지화, 저소음화, 중저층빌딩 적용

2)퍼지 엘리베이터

  • 군관리 시스템 퍼지이론 도입, 4대 이상 엘리베이터 1개 버튼 사용
  • 승객대기 시간 최소화, 전력소모량 최소화
엘리베이터 설비
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고려사항(설계)
엘리베이터 고려사항(시공)
MRL
엘리베이터(구성과 안전장치)
군관리 방식
엘리베이터(대수,용량,교통량)
엘리베이터(소음 원인과 대책)
더블덱 엘리베이터
초고층용 엘리베이터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