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조명률 JDR)
조명률
❗조명률 정의
- 조명률이란 광원의 전광속이 피조면(작업면, 바닥면)에 도달하는 유효광속의 비율
- U=작업면에 입사하는 광속/램프의 전광속
1️⃣조명률의 영향 요소
1)조명기구의 배광
- 협조형 조명기구가 광조형 조명기기보다 직접비가 크고 조명률이 높다
2)기구효율
- 동일배광 조명기구를 사용 하였을 때 기구 효율이 높은 조명기구가 조명률이 높다
3)실지수
- 천장과 실지수와의 관계 : 천장이 낮을수록 실지수가 커지며, 천장이 높을수록 실지수는 낮아진다
- 실지수가 클수록 조명률이 높다
4)조명기구의 설치 간격과 설치 높이와의 비(S/H비)
- 실지수가 같고 동일 배광 조명기구를 사용할 때 S/H 비가 클수록 조명률이 높아진다
5)실내 표면의 반사율
- 실내 표면의 반사율이 높을 수록 조명률이 높아진다.
2️⃣조명률 계산법
- 3배광법 : 현재 잘 사용하지 않음
- 구역공간법(ZCM) : 미국조명학회 추천방법
- 영국구대법(BZM) : 영국조명학회 추천방법
- CIE법 : 국제조명위원희 추천방법
목차 (조명률 JDR)
조명률
💯기출문제
○R13 건축물 조명설계 시 보수율의 구성요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보수율 JDD139️⃣)
4)보수율(M)
- 조도계산 시 조도감소를 예상하여 전광 속에 여유를 주는 것을 의미
M₁: 램프노화에 따른계수
M₂: 기구노화에 따른 계수
M₃: 램프 조명기구 오염에 따른 계수
M₄: 실내면 오염에 따른 계수
○R14 조명률에 관련되는 요소
모범답안(조명률에 관련되는요소 JDR141️⃣)
❗조명률 정의
- 조명률이란 광원의 전광속이 피조면(작업면, 바닥면)에 도달하는 유효광속의 비율
- U=작업면에 입사하는 광속/램프의 전광속
1️⃣조명률의 영향 요소
1)조명기구의 배광
- 협조형 조명기구가 광조형 조명기기보다 직접비가 크고 조명률이 높다
2)기구효율
- 동일배광 조명기구를 사용 하였을 때 기구 효율이 높은 조명기구가 조명률이 높다
3)실지수
- 천장과 실지수와의 관계 : 천장이 낮을수록 실지수가 커지며, 천장이 높을수록 실지수는 낮아진다
- 실지수가 클수록 조명률이 높다
4)조명기구의 설치 간격과 설치 높이와의 비(S/H비)
- 실지수가 같고 동일 배광 조명기구를 사용할 때 S/H 비가 클수록 조명률이 높아진다
5)실내 표면의 반사율
- 실내 표면의 반사율이 높을 수록 조명률이 높아진다.
○D15 건축물에서 구역공간법으로 평균조도를 계산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공간비율
모범답안(구역공간법 JDR152️⃣)
구역공간법은 건축물 내부의 평균조도를 계산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특히, 실내 공간을 여러 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각 구역에서의 조도 기여도를 계산하여 전체 공간의 평균조도를 산출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법은 조명 설계 시, 조명기구의 종류, 개수, 배치 등을 결정하는 데 활용됩니다.
공간비율이란?
공간비율은 구역공간법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실내 공간의 형태와 크기를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비율들을 고려합니다.
- 길이비(Length ratio): 실의 길이와 폭의 비율
- 높이비(Height ratio): 실의 높이와 폭의 비율
- 반사율(Reflectance): 천장, 벽, 바닥 등의 표면 재료에 따른 빛의 반사율
공간비율이 평균조도 계산에 미치는 영향
공간비율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평균조도 계산에 영향을 미칩니다.
- 조명기구에서 나온 빛이 실내 공간에 분포되는 방식: 공간비율에 따라 빛이 천장, 벽, 바닥 등에 반사되는 정도가 달라지고, 이는 곧 작업면에 도달하는 빛의 양에 영향을 미칩니다.
- 조명기구의 효율: 공간비율에 따라 조명기구의 효율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천장이 높은 공간에서는 조명기구의 효율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 균제도: 공간비율에 따라 조도의 균제도가 달라집니다. 즉, 공간의 어떤 부분은 밝고, 어떤 부분은 어두울 수 있습니다.
평균조도 계산 시 고려해야 할 사항
- 조명기구의 종류: 형광등, LED 등 조명기구의 종류에 따라 광분포 곡선이 다르므로, 이를 고려하여 계산해야 합니다.
- 조명기구의 배치: 조명기구의 배치에 따라 조도 분포가 달라지므로, 적절한 배치를 선택해야 합니다.
- 작업면의 높이: 작업면의 높이에 따라 필요한 조도가 달라집니다.
- 주변 환경: 창문의 크기, 위치, 방향 등 주변 환경에 따라 자연광의 기여도가 달라지므로, 이를 고려해야 합니다.
○D16 옥내조명의 조도계산 시 적용하는 감광 보상률과 광손실률
감광 보상률과 광손실률이란?
옥내조명 설계 시, 처음 설계한 조도를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는 감광 보상률과 광손실률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 두 요소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명 시스템의 효율이 감소하는 것을 보정하기 위한 값입니다.
- 감광 보상률: 조명 기구, 반사면 등의 오염, 램프의 광속 감소 등으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도가 감소하는 것을 보상하기 위한 비율입니다. 즉, 설계 조도를 유지하기 위해 실제 설치 시 더 많은 광속을 확보해야 합니다.
- 광손실률: 조명 기구의 효율, 반사면의 반사율, 램프의 광속 유지율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빛이 손실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이는 조명 시스템의 전체적인 효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왜 감광 보상률과 광손실률을 고려해야 할까요?
- 조도 유지: 시간이 지나도 설계된 조도를 유지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고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에너지 효율: 불필요한 광원 설치를 방지하여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 유지보수 계획: 정기적인 청소 및 램프 교체 등 유지보수 계획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감광 보상률과 광손실률을 적용하는 이유
- 조명 기구 및 반사면의 오염: 시간이 지나면 조명 기구나 반사면에 먼지 등이 쌓여 빛의 투과율이 감소합니다.
- 램프의 광속 감소: 램프의 수명이 다해감에 따라 광속이 감소합니다.
- 램프의 온도 변화: 주변 온도에 따라 램프의 광속이 변화할 수 있습니다.
- 조명 기구의 효율: 조명 기구의 종류와 설치 방식에 따라 효율이 달라집니다.
- 반사면의 반사율: 천장, 벽, 바닥 등의 재료에 따라 빛의 반사율이 다릅니다.
감광 보상률과 광손실률 계산
감광 보상률과 광손실률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지므로, 정확한 계산을 위해서는 관련된 표준이나 설계 기준을 참고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요소를 고려하여 계산합니다.
- 조명 기구의 종류: 형광등, LED 등 조명 기구의 종류에 따른 광속 유지율
- 램프의 종류: 백열등, 할로겐 램프, LED 램프 등 램프의 종류에 따른 광속 유지율
- 반사면의 재질: 천장, 벽, 바닥의 재질에 따른 반사율
- 실내 환경: 먼지 발생량, 온도, 습도 등
- 유지보수 주기: 조명 기구 청소 및 램프 교체 주기
○D17 조도계산 시 광손실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D18 전반조명 설계순서 및 항목별 검토사항
☑️전반조명설계(대광조치도방률감램광)
대상물의파악
광원의결정
조명기구의선택
조명기구의 간격과 배치
필요조도의 결정
방지수의결정
조명률의 결정
유지율(감광보상률의 결정)
광원의 크기 계산
실내면의 광속발산도 계산
●D19 자연채광과 인공조명설계
○D20 조명설계에서 조명시뮬레이션의 입력데이터와 출력 결과물
○D21 휘도측정방법(Ks C 7613)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1)측정 목적 2) 측정기준점의 높이 및 측정 휘도각 3) 각 작업에서의 눈의 위치
●D22 조명설비설계에 대하여 아래의 내용을 설명하시오
1)전반조명설계(광속법) 절차
2) 명시적 조명과 장식적 조명 비교
3) 평균조도 계산방법 중 3배광법과 ZCM(구역공간법) 비교
☑️전반조명설계(대광조치도방률감램광)
대상물의파악
광원의결정
조명기구의선택
조명기구의 간격과 배치
필요조도의 결정
방지수의결정
조명률의 결정
유지율(감광보상률의 결정)
광원의 크기 계산
실내면의 광속발산도 계산
모범답안(명시조명과 분위기 조명의 차이점 JLV02)
명시조명과 분위기 조명의 차이점
구분 | 명시조명 | 분위기 조명 |
---|---|---|
목적 | 특정 공간이나 물체를 밝혀 시각적인 정보를 명확하게 전달 | 공간의 분위기를 연출하고,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는 것을 목표 |
조도 | 높음 | 낮음 |
광원 | 직접광 | 간접광 |
조도 분포 | 균일 | 불균일 |
색온도 | 중립적인 색온도 | 다양한 색온도 |
예시 | 사무실, 공장, 병원 수술실 등 | 호텔 로비, 레스토랑, 주거 공간 등 |
우수한 명시조명 설계를 위한 고려 사항
명시조명은 작업 효율성을 높이고 시각적인 피로를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하여 설계
1. 조도
- 작업 종류에 따른 적정 조도: 작업의 정밀도, 난이도에 따라 필요한 조도가 다름
- 균일한 조도 분포: 눈부심을 방지하고 시각적인 피로를 줄이기 위해 균일한 조도를 유지
- 눈부심 방지: 직접광원이나 반사광에 의한 눈부심은 작업 효율을 저하시키므로, 눈부심 방지 기구를 사용하거나 설치 각도를 조절
2. 색온도
- 작업 종류에 따른 적정 색온도: 차가운 백색광은 집중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며, 따뜻한 백색광은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좋음
- 연색성: 물체의 색을 자연스럽게 보여주는 연색성이 높은 광원을 선택해야 합니다. 특히 색상 구분이 중요한 작업에서는 고연색성 광원이 필요
3. 광원 배치
- 작업 면에 집중: 작업 면에 충분한 빛을 공급하여 그림자를 최소화
- 균일한 배치: 광원을 균일하게 배치하여 조도를 균일하게 유지
- 눈부심 방지: 광원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여 눈부심을 방지
4. 그림자
- 작업 방해 최소화: 그림자는 작업 시야를 방해하므로 최소화
- 조명 방식: 직접광보다는 간접광을 활용하여 그림자를 줄일 수 있다.
5. 유지 관리
- 주기적인 청소: 조명 기구의 먼지나 오염물질은 빛의 투과를 방해하므로 주기적으로 청소해야함
- 램프 교체: 램프 수명이 다하면 즉시 교체하여 밝기를 유지해야함
추가 고려 사항
- 에너지 효율: 에너지 효율이 높은 LED 조명을 사용하여 에너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안전: 안전 기준을 준수하여 설치하고, 정기적인 안전 점검을 실시해야함
- 미관: 조명은 공간의 미관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인테리어와 조화를 이루도록 설계해야함
모범답(조명률 계산법 JDR222️⃣)
2️⃣조명률 계산법
CIE법 : 국제조명위원희 추천방법
3배광법 : 현재 잘 사용하지 않음
구역공간법(ZCM) : 미국조명학회 추천방법
영국구대법(BZM) : 영국조명학회 추천방법
목차(조명률 JDR)
조명률
🌐V1008Z24 / JDR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