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18년기출C
에너지 18년기출C
1️⃣ 보일러의 부식 ☑️K3
►부식의 분류 중 균열을 동반하지 않는 국부부식의 종류 5가지를 쓰시오.
- 일반부식
- 알칼리부식
- 점식
2️⃣ 온도차
열수송 및 저장설비 평균 표면온도의 목표치는 주위온도에 몇[°C]를 더한 값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30[°C]
3️⃣ 폐열회수장치☑️B2
효불효연 공기예열 장단 | 20C03 | 23C04 | ||
열불응연 절탄기 장 | 16A02 | 20A01 | 18A10 | 23c08 |
과열기 장단 | 17A02 | 23b08 | 19b03 | 21b02 |
20D03 | ||||
조절 | 18A08 | 18B06 | ||
명칭 | 19C01 | 20B03 | 18C03 | 17C05 |
24c02 | ||||
계산 | 23B10 |
►보일러 배기가스 여열(餘熱)을 이용하여 급수를 예열하면 보일러 열효율이 향상되고 연료가 절감되며, 급수와 관수의 온도차로 인한 열응력을 감소시키는 장치의 명칭을 쓰시오
B2 절탄기
과열기 → 재열기 → 절탄기 → 공기예열기
✲보일러 배기가스 현열을 이용하여 급수를 예열하는 장치를 (절탄기)라 하며, 공기를 예열는 장치를 (공기예열기)라 한다.
4️⃣ 피토관 ☑️I2
1)피토관(Pito tube)의 측정원리를 설명하시오.
2)피토관식 유량계 사용 시 주의사항 4가지만 쓰시오
I2 피토관
배관 내에 흐르는 유체의 전압과 정압을 측정하여 그 차이인 동압을 이용하여 베르누이 방정식에 의해 속도수두에서 유속을 구하고 그 값에 관로 단면적을 곱하여 유량을 측정하는 것
- 피토관의 헤드 부분은 유동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부착
- 프름에 대해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한다
- 5m/s이하의 기체에는 부적당하다
- 더스트, 미스트 등이 많은 유체에 부적합하다
5️⃣ 인터록 J3
보일러에 적용하는 자동제어 중 인터록(interlock) 명칭을 쓰시오.
(1) 보일러 수위가 안전 저수위에 도달할 때 전자밸브를 닫아 보일러 기동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2) 증기압력이 일정 압력에 도달할 때 전자밸브를 닫아 보일러의 가동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3) 버너 착화 시 점화되지 않거나 운전 중 실화가 될 경우 전자밸브를 닫아 연료공급을 중지하여 보일러 가동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저수위인터록, 압력초과인터록, 불착화인터록
06.버너선정기준
유류버너의 선정기준을 4가지만 쓰시오
- 가열조건과 연소실 구조에 적합하여야 한다
- 버너 용량이 보일러 용량에 적합하여야 한다
- 부하변동에 따른 유량 조절범위를 고려하여야 한다
- 자동제어방식에 적합한 버너형깃을 고려하여야 한다
7️⃣ 스트레이너 ☑️D5
►연료유 중의 슬러지, 협잡물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인 스트레이너 설치로 얻을 수 있는 효과를 4가지만 쓰시오
- 펌프롤 보호한다
- 유량계를 보호한다
- 연료노즐 및 연료유 조절밸브를 보호한다
- 분무효과를 높여 연소를 양호하게 하고 생성물을 억제한다
8️⃣ 게이트밸브 ☑️D5
►게이트밸브의 특징을 4가지만 쓰시오
- 유체가 밸브 내를 통과할 때 그 통로의 변화가 작으므로 압력손실이 작다
- 핸들 회전력이 글로브밸브에 비해 가벼워 대형 및 고압밸브에 사용된다
- 원통지을 그대로 열리므로 양정이 크게 되어 개폐에 시간이 걸린다
- 밸브를 절반 정도 열고 사용하면 와류가 생겨 유체저항이 크게 되어 유량특성이 나빠지므로 이 밸브는 완전 개폐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D5 게이트벨브(슬루스벨브)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가장 일반적인 밸브로서 냉수,온수,난방 배관 등 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완전히 열거나 닫도록 설계되어 있다. 벨브 개방시 유체 흐름의 단면적 변화가 없어 압력손실이 적은 특징
- 게이트벨브 또는 사절변이라 한다
- 리프트가커서 개폐시간이 걸린다
- 밸브를 완전히 열면 밸브본체속에 관로의 단면적과 거의 같게된다
- 쐐기형의 밸브 본페가 밸브 시트안을 눌러 기밀을 유지한다
- 유로의 개폐용으로 사용한다
- 밸브를 절반 정도 열고 사용하면 와류가 생겨 유체의 저항이 커지기 때문에 유량조절에는 적합하지 않다.
9️⃣ 노통보일러 갤러웨이관 A1
►노통 보일러에 갤러웨이 관을 직각으로 설치하는 이유 3가지만 쓰시오
- 노통을 보강하기 위하여
- 보일러수의 순환을 돕기 위하여
- 전열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10 열전대(연안강경) I7
► 열전대온도계의 특징을 4가지만 쓰시오
- 습기에 강하다
- 열기전력의 차를 이용한 것이다
- 자기가열에 주의할 필요 없다
- 온도에 대한 열기전력이 크며 내구성이 좋다
I7 열전대(구비조건)
- ❶열전도율이 작을것
- ❷전기저항과 온도계수가 작을것
- ❸기계적 강도가 크고 내열성 내식성이 있을것
- ❹온도상승에 따른 열기전력이 클것
- 온도상승에 따라 연속적으로 상승할 것
- 열기전력의 특성이 안정되고 장시간 사용해도 변형이 없을 것
- 재료의 구입이 쉽고(경제적이고) 내구성이 있을 것
- 재생도가 크고 가공이 용이할 것
1️⃣1️⃣ 응축수량계산 O7
증기압력 120[kPa] 의 포화증기를 내경52.9[mm] 길이 50[m]인 강관을 통해 이송하고자 할 때 트랩선정에 필요한 응축수량을 구하시오
(단, 외부온도 0℃ 강관의 질량 300[kg], 강관비열 0.46kJ/kg℃]이다)
1️⃣2️⃣ 랭킨사이클 ☑️N4
다음 그림은 랭킨사이클의 온도-엔트로피 선도이다 h₁=192[kJ/kg], h₂=194[kJ/kg], h₃=2802[kJ/kg], h₄=2010[kJ/kg] 일때, 열효율[%]을 구하시오.
1️⃣3️⃣ 열전도계산 D7
17B14 | 17C12 | 18B11 | 20C17 | |
중간온도 | 16B12 | 19A12 | 20A12 | |
22A07 | 16C11 | |||
중공원통 | 18C13 | 19C12 | 21B11 | |
다층벽 | 22B18 | 21A18 | 20D12 | 23B12 |
구형용기 | 22C13 | 16A14 | 24B17 | |
스케일 | 16C09 | 20D16 |
배관 외경이 30[mm]인 길이 15[m]의 증기관에 두께 15[mm]의 보온재를 시공하였다 관 표면온도 100[℃], 보온재 외부온도 20[℃]일 때 단위 시간당 손실열량은 몇[kJ]인가?
(단, 보온재의 열전도율은 0.2093[kJ/m·h·℃]이다.)
D8 전도열계산(중공원통)
보온재 피복 후 외측 반지름 및 강관 외측 반지름 계산
보온관 표면적 계산(대수평균면적)
방열량 계산
1️⃣4️⃣ 리벳이음 ☑️E9
강판 두께가 18[㎜]이고, 리벳의 지름이 20[㎜]이며,
피치 54[㎜]로 한줄 겹치기 리벳 조인트에서
한 피치마다 하중이 800[kgf] 작용하면
이 강판에 생기는 인장응력[kgf/㎜²]과
리벳 이음효율[%]을 구하시오.
E9 리벳이음
►인장응력계산
►이음효율[%]계산
P : 리벳의피치, d : 리벳의지름
►인장응력계산
►이음효율[%]계산
1️⃣5️⃣ 보일러효율 ☑️ C4
중유를 110kg/h 연소시키는 보일러가 있다.
이 보일러의 증기압력이 1[MPa] 급수온도가 50°C
실제증발량이 1500[kg/h] 일때 보일러의 효율[%]을 구하시오
(단, 중유의 저위발열량은 40,950[kJ/kg]이며
1MPa하에서 증기엔탈피는 2,864[kJ/kg],
50[°C] 급수엔탈피는 210[kJ/kg]이다)
C4 보일러효율
입출열법에 의한 효율
열손실법에 의한 효율
1️⃣6️⃣ 랭킨사이클(열효율)☑️N4
랭킨 (효율) | 17C14 | 18A11 | 18C16 | |
19C15 | 23C17 | |||
18C12 | 22C12 | |||
엔탈피 | 16B15 | 17C13 | ||
습증기 | 18C | 20C14 | ||
재생재열 | 16C08 | 18C17 | ||
폴리 | 19A14 | 21C01 | ||
엔트로피 | 18C* | 16B15 | 17C13 | |
냉매순환 | 22C10 | |||
단열압축 | 20B |
랭킨 사이클로 작동하는 증기원동소에서 과열증기 엔탈피 660[kcaI/kg], 습증기 엔탈피 530[kcal/kg], 포화수 엔탈피 80.87[kcal/kg]일 때 열효율[%]을 계산하시오.
N4 랭킨사이클(효율)
1️⃣7️⃣ 증발량 ☑️C2
탱크의 재증발증기량을 구하시오
- 응축수량 :2t
- 응축수엔탈피 159
- 재증발 증기엔탈피 646
- 배출 응축수 엔탈피 120
에너지 18년기출C
에너지 18년기출C
***********
5️⃣복사전열량, 대류전열량
외기온도 25[°C]일 때 표면온도 230[°C]인 관 표면에서 방사에 의한 전열량은 자연대류에 의한 전열량의 몇 배가 되는지 계산하시오.
(단, 방사율은 0.9, 스테판-볼츠만 상수는 5.67×10-8[W/㎡·K], 대류 열전달률은 5.56[W/㎡·K]이다.)
D9 복사전열량
D9 대류전열량
● 관 표면적 1[㎡]당 방사 전열량 계산
● 관표면적 1[㎡]단 대류 전열량 계산
● 전열량비교
🔟랭킨사이클(터빈출력계산) N4
최고압력 1400[kPa], 최고온도 350[°C], 배압이 100[kPa]로 작동되는 증기원동소 랭킨사이클의 증기소비량이 500[kg/h]일 때 터빈의 출력[kW]을 계산하시오. (단, 1400[kPa], 350[°C]의 과열증기 엔탈피는 3149.5[kJ/kg], 100[kPa]에서의 포화증기 엔탈피는 2675.5[kJ/kg], 포화수 엔탈피는 417.46[kJ/kg]이고, 터빈 출구 증기의 건도는 0.97 이다.)
👆N5 터빈출구의 습포화증기 엔탈피계산
터빈 출력계산
N5 습증기엔탈피계산
✋N71️⃣1️⃣엔트로피의 변화
압력이 0.1[MPa], 온도가 27[°C]인 증기 1[kg]이 PVn=C(일정)이고 n=1.3인 폴리트로픽 변화를 거쳐 300[℃]가 되었을 때 엔트로피[kcal/K]변화를 계산하시오. (단, 비열비k=1.4, 정적비열 Cv=0.17[kcaI/kg K], 압력은 절대압력이다.)
I 오르사트법 분석기
보일러 연도에서 배기가스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기 내부의 성분 흡수제에 흡수시켜 체적변화를 측정하여 CO₂ – O₂ – CO 순서로 분석하는 분석기 명칭을 쓰시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