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발전설비

제공

,
발전설비 (GG)

발전기 설비계획시 고려사항
발전기 분류
발전기 기동방식 비교
발전기 냉각방식
디젤발전기와 가스터빈 발전기 비교 설명
비상발전기 설계시 고려사항
가스터빈발전기
발전기 용량 산정방식
개정된 소방법 기준 용량산정 방법
소방전원우선보존형 발전기*
각국의 발전기용량 산정방식*
비상발전기 운전시 과전압
고압 비상발전기
비상발전기 계산문제

발전설비

R 동기발전기(병렬운전)

발전설비 (GG)

발전기 설비계획시 고려사항
발전기 분류
발전기 기동방식 비교
발전기 냉각방식
디젤발전기와 가스터빈 발전기 비교 설명
비상발전기 설계시 고려사항
가스터빈발전기
발전기 용량 산정방식
개정된 소방법 기준 용량산정 방법
소방전원우선보존형 발전기*
각국의 발전기용량 산정방식*
비상발전기 운전시 과전압
고압 비상발전기
비상발전기 계산문제

💯기출문제(발전기 설계 및 분류)

G01 마이크로 가스터빈 발전기를 설명하시오

모범답안 (마이크로 가스 터빈 GGG01)

5️⃣마이크로 가스 터빈

  • 가스터빈과 발전기, 제어장치가 하나의 패키지로 된
  • 일축구조의 출력 100[kW]이하인 가스터빈발전시스템

1)구성도

압축기, 연소기, 터빈, 발전기 재생 열교환기, 인버터

2)특징

열효율 향상

공기베어링 방식

윤활유 계통 불필요,소형 유지보수 용이

인버터사용

발전기 고주파 교류전력 발생→직류화→60[Hz]교류 변환

재생사이클 채용

배기가스 연도로 증기 생산→가스터빈+증기터빈 발전 가능

P02 비상발전기 환기량 산출방법중 디젤엔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발전기 소요 공기랑 WPG)

6️⃣발전기실 소요 공기량

\[ V=P\times0.6[㎥] \]
\[Q=Q_1+Q_2+Q_3 \]

Q : 총공기 소요량 Q1 : 연소 공기량
Q2 : 실온 상승억제 공기량 Q3 : 유지보수 인원필요 공기량

발전기실 고려사항

E03 건축물 내에 설치되는 비상발전기실 설계시 고려사항을 설명하시오

모범답안(비상발전기 설계시 고려사항 GGE03)

1️⃣발전기 용량

  • 정전 시 발전기가 전력을 공급해야 할 모든 부하를 검토
  • 소방 관련법 및 건축법 시행령에 의해서 요구되는 각종 비상용 전원과 산업현장에서 필수적인 부하의 출력과 그 효율을 고려

2️⃣발전기 대수

  • 1대로 단독운전을 할 것인지 아닌면, 2대 이상으로 병렬운전을 할 것인지를 결정
  • 병렬운전 시에는 각 발전기의 전압 및 주파수가 같아야 함은 물론이고 동기투입장치 필요

3️⃣회전수

  • 고속형(1,200[rpm]이상)은 체적이 작고 설치면적도 작아서 경제적이나, 소음 및 진동이 크고 수명이 짧다.
  • 저속형(900[rpm]이상)은 전압안정도가 좋고 소음및 진동이 작고 수명이 긴 장점이 있으나 가격이 비싸다
  • 고속기는 소용량, 고압에 유리하고, 저속기는 장기 운전, 저전압에 유리

4️⃣기동방식 및 기동에 요하는 시간

  • 기동에는 보통 전기식과 압축공기식의 두 가지가 사용되는데 전기식은 고속의 예열식에, 압축 공기식은 중속의 직접분사식에 많이 채용
  • 기동 시간은 일반적으로 10초 이내

5️⃣환경공해 문제

  • 소음 및 진동에 대한 대책
    • 소음기를 사용하고, 방음 커버로 차음하며 방음벽을 설치
    • 또한 방진고무, 방진 스프링을 사용하고, 발전기 설치용 콘크리트 패드와 바닥 본체 사이에 완충제를 삽입하여 발전기 진동이 건물의 다른 부분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
  • 대기오염 방지대책
    • 유황분이 적은 연료를 사용하여 SOx의 발생을 줄이고 배기중의 NOx를 분리, 제거하는 탈진장치를 고려

6️⃣열효율 및 연료 소비량

  • 열효율이 높아서 같은 출력이라도 연료 소비량이 작은 것을 선정

7️⃣설치 장소 및 발전기실의 크기

  • 발전기 설비에 요하는 면적은 대략 1.7√P[㎡](P는 원동기의 마력 수)로 계산하는데 이에 충분한 면적이 확보
  • 실내(지하실 등)에 설치할 때는 유지보수용 크레인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층고가 5[m]이상
  • 바닥의 기초는 엔진의 진동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 연료 및 냉각수 배관을 고려
  • 환기가 잘 되는 장소
  • 기기의 반 출입이 용이한 장소

8️⃣냉각방식

  • 디젤엔진의 경우 냉각방식은 수랭식은 단순 순환식, 냉각탑 순환식, 방류식 및 라디에이터 식 등
  • 라디에이터 방식은 소용량기에 사용되고 대용량기가 되면 냉각탑 순환식을 쓰며, 냉각수의 다량 보급이 가능한 경우에는 방류식을 채용

9️⃣건축 분야와의 관계

  • 발전기실은 중량물의 운반, 설치,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
  • 천장의 높이는 Overhead Crane의 설치와 배기관의 설치높이 등을 고려하여 충분한 높이가 확보
  • 출입구 및 통로는 기기의 반 출입에 지장이 없어야 한다
  • 엔진- 발전기의 기초는 건물 기초와 관계없는 장소를 택하고 공통대판과 엔진 사이에는 고무 또는 스프링으로 제작된 진동흡수장치(방진장치)를 설치해서 진동이 건물의 다른 부분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 배기관은 주위에 소음공해를 야기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

🔟부속기기의 위치

  • 배선반은 단전기 단자 측에 가깝고, 엔진의 운전 측으로부터 배전반의 계기들을 모두 볼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고, 주위에 보수점검을 위해 필요한 공간을 확보할 것
  • 공기압축기는 공기탱크 부근에 설치하고 분해조립을 할 수 있는 스페이스를 확보할 것
  • 연료탱크의 밑면은 연료펌프로부터 1[m] 이상 높게 설치할 것
  • 소음기를 천장에 매다는 경우는 천정과 소음기 사이에 방열장치를 설치할 것
  • 고층 건물의 경우 배기관은 일반 보일러용 연도에 연결하는 경우와 배기관을 옥상까지 연장하는 경우가 있는데 거리가 긴 경우에는 배압을 고려하여 관경을 정할 것
  • 환기장치를 천장 가까이 설치하고 그 반대쪽 바닥 가까이에 흡기구를 설치할 것
  • 냉각수 탱크는 엔진의 펌프 측에 설치할 것

●A04 동기발전기의 병렬운전 조건과 병렬운전 순서를 기술하시오

모범답안(발전기 병렬운전과정 GGR04)

병렬운전 과정

  1. 발전기 준비: 발전기를 기동하고, 속도를 서서히 증가시켜 계통 주파수와 일치시킵니다.
  2. 전압 조정: 여자기를 조절하여 발전기 전압을 계통 전압과 일치시킵니다.
  3. 위상 일치: 동기화 장치를 이용하여 발전기와 계통의 위상을 일치시킵니다.
  4. 병렬 연결: 위상이 일치하면 접속기를 닫아 발전기를 계통에 병렬 연결합니다.
  5. 부하 분담: 발전기의 출력을 조절하여 부하를 분담합니다.

동기발전기병렬운전

☑️발전기 병렬운전조건(전주극위순)
  • 전압일치
  • 주파수일치
  • 극성일치
  • 위상일치
  • 순시전압

G05 건축물의 예비전원설비에 가스터빈발전기를 적용하고자 한다. 이때 가스터빈발전기의 구조 특징 선정시 검토사항 및 시공 시 고려할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가스터빈 발전기 GGG05)

1️⃣가스터빈발전기의 구조

  • 가스터빈발전기는 다음 그림의 단순사이클과 같이 발전기, 콤프레셔, 연소기, 가스터빈, 연료공급장치, 배기장치등으로 구성
  • 가스터빈의 배기가스는 통상 500[℃]이상의 고온이므로 그대로 대기중에 방출하면 열손실이 대단히 커진다.
  • 재생사이클에서는 다음 그림의 재생사이클과 같이 배기가스의 열로 연소기에 들어가기전의 공기를 배기가스와 열교환하야 예열함으로써 연소기에 투입되는 연료의 양을 절감시켜서 열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이용

2️⃣가스터빈발전기의 특징

  • 가스터빈엔진은 디젤엔진에 비해 열효율이 떨어지고 가격이 비싼 단점을 가지고 있으나, 소음이 작고 냉각수가 필요 없으며, 회전속도가 균일해서 발전되는 전기의 품질과 신뢰성이 높은 장점을 가짐
  • 압축기, 연소기, 터빈 연료공급장치, 배기장치 등으로 구성
  • 사용연료의 제한 없이 중유, 경유, LNG 등 어느 것이나 사용
  • 흡입→압축→연소→팽창→배기의 동작행정으로 회전속도가 연속적
  • 보통 1,000[kW]이상의 대용량에 사용
  • SOx나 NOx등의 공해물질의 배출이 디젤엔진보다 적다
  • 소음 및 진동이 작다
  • 가격은 디젤엔진의 2~4배 정도로 비싸다
  • 열효율은 디젤엔진에 비해 떨어진다
  • 동일 용량에 대해서 체적 및 중량은 디젤엔진에 비해 작다

3️⃣가스터빈발전기 선정 시 검토사항

  • 전압 변동률, 주파수 등의 전기품질과 신뢰도를 검토
  • 진동,소음, 대기오염 등의 환경 문제를 고려
  • 적정한 사용연료를 검토
  • 폐열을 난방 등에 이용하는 방안을 검토
  • 초기 설치비, 유지보수비, 발전 단가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LCC가 최소가 되도록 경제성을 검토
  • 잉여전력을 전력회사에 판매할 경우 계통 연계방안을 검토

4️⃣가스터빈발전기 시공 시 고려사항

  • 발전기 설치에 요하는 면적은 대략 1.7√P[㎡]로 계산하는데 이에 충분한 면적이 확보
  • 실내에 설치할 때는 유지보수용 크레인등을 설치할수 있도록 층고가 5[m]이상 확보
  • 바닥의 기초는 엔진의 진동에 충분히 견딜수 있어야 한다
  • 연료배관을 고려
  • 환기가 잘되는 장소
  • 기기의 반출입이 용이한 장소
  • 급기 및 배기를 원활히 할수 있도록 해야 한다.

G06 가스터빈발전기의 특징및 장단점을 설명하시오

모범답안(가스터빈 발전기 특징 GGG06)

2️⃣가스터빈발전기의 특징

  • 가스터빈엔진은 디젤엔진에 비해 열효율이 떨어지고 가격이 비싼 단점을 가지고 있으나, 소음이 작고 냉각수가 필요 없으며, 회전속도가 균일해서 발전되는 전기의 품질과 신뢰성이 높은 장점을 가짐
  • 압축기, 연소기, 터빈 연료공급장치, 배기장치 등으로 구성
  • 사용연료의 제한 없이 중유, 경유, LNG 등 어느 것이나 사용
  • 흡입→압축→연소→팽창→배기의 동작행정으로 회전속도가 연속적
  • 보통 1,000[kW]이상의 대용량에 사용
  • SOx나 NOx등의 공해물질의 배출이 디젤엔진보다 적다
  • 소음 및 진동이 작다
  • 가격은 디젤엔진의 2~4배 정도로 비싸다
  • 열효율은 디젤엔진에 비해 떨어진다
  • 동일 용량에 대해서 체적 및 중량은 디젤엔진에 비해 작다

●E07 예비전원설비로 자가용 발전설비를 설치할 경우 고려사항을 설명하시오

D08 비상발전기, 구동원으로 디젤엔진, 가스엔진, 가스터빈 방식에 대하여 발전효율, 시설비, 환경, 기동시간 , 부하변동에 따른 속응성, 소방용 비상전원으로 사용 시 고려사항등에 대하여 각각비교 설명하시오

모범답안(디젤발전기와 가스터빈발전기의 비교 GGD08)

1️⃣디젤발전기와 가스터빈발전기의 비교

1)일반적 특성

구분가스터빈디젤
경제성디젤의2~3배
냉각수불필요필요
소음[dB]80~90105~115
진동거의 없다방지대책 필요
작동원리연속 회전운동왕복 맥동운동
출력특성흡입공기온도가 높으면
출력 감소 및 수명에 악영향
주변 여건에 영향이 별로 없음
체적, 중량경량(디젤의 1/2배)무겁고, 체적이 크다

2)연료특성

3)급배기 특성

구분가스터빈디젤
급배기장치별도로 필요배기시 소음기설치
배기단열시공별도로필요기본단열로 가능
환경오염낮다높다

4)전기적 부하 특성

구분가스터빈디젤
과도전압변동률4[%]20 [%]
전압변동률1.5[%] 4[%]
주파수변동률0.4[%] 5[%]
기동시간20~40초5~40초
부하투입100[%] 투입가능단계별투입

2️⃣발전기 엔진 선정 및 적용

1)디젤엔진이 유리한 곳

  • 비상전원의 사용 빈도가 적고, 비상전원의 중요도가 중시되지 않는 설비
  • 냉각수 확보가 용이한곳
  • 장시간 가동 및 저압발전방식 채택설비
  • 저렴한 초기 투자 Cost에 의한 비상전원확보

2)가스터빈엔진이 유리한 곳

  • 비상전원의 의존도가 높고, 양질의 전원이 요구되는 설비
  • 냉각수 확보가 어렵고, 진동방지용 별도의 기초가 어려운 장소
  • 열병합 발전 시스템 채택이나 피크컷 겸용 부하설비
  • 공해문제가 대두되는 장소
  • 건축물을 현대화 하는 경우

C09 발전기 시동방식에서 전기식과 공기식에 대하여 특성, 시설, 관리 및 장단점 비교 설명

모범답안(발전기 시동방식 GGT09)

1️⃣시동방식에 따른 분류

1)전기식 기동

  • 엔진용 구동모터에 의한 방식으로 DC24[V]축전지에 접속시킨 구동 모터와 피니언 기어를 연결시켜 엔진기관의 플라이휠 기어를 맞물리게 하여 기동하는 방식

2)공기식 기동

  • 공기탱크에 공기를 압축시켜 압축된 공기를 이용하여 5회 이상 연속기동이 가능하도록 한 방식
  • 설치면적과 설치비용이 고가인 관계로 방폭 등의 특별한 용도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는 방식

2️⃣발전기 기동방식 비교

H10 건축물에 고압용 비상발전기 적용 시 고려사항

모범답안(고압용 비상발전기 GGH10)

1️⃣고압 발전기 설치기준

  • 발전기 가까운 곳에 개폐기, 과전류차단기, 전압계, 전류계를 시설해야 한다
  • 각 극에 개폐기 및 과전류차단기를 설치할 것
  • 전류계는 중성선을 제외한 각상의 전류를 읽을 수 있도록 시설할것
  • 발전기의 철대, 금속제 외함 및 금속 프레임은 접지해야 한다

2️⃣저압, 고압 발전기의 비교

구분저압발전기고압발전기
장점별도의 변압기 필요없음
초기 설치비가 저렴
유지보수가 용이
소용량 근거리 배선에 적합
원거리면 전류가 작으므로 전력손실이 적다
대용량 원거리 배선에 적합
단점원거리이면 손실이 크다
용량이 크면 전선이 굵어 배선비가 많다
별도의 변압기 필요
초기 설치비가 비싸다
유지보수가 어렵다
고압 차단기를 사용해야 한다
각종 계측, 보호계전 시스템이 복잡하다

○11 동기발전기의 병렬운전 조건과 병렬운전법

J12 건축물의 비상발전기 운전 시 과전압의 발생원이 및 대책

(비상발전기 운전 시 과전압)

과전압의 발생원인

  • AVR노후로 인한소손
  • AVR오결선 및 진동
  • 고조파나 비선형 부하에 의한 전압 왜곡
  • 사이리스터 위상제어불능
  • 진상부하 시 전기자 반작용
  • ATS절체시 전기적 위상차이
  • ATS N상이 선입지절 불능

발전기 과전압 사고 예방대책

  • 고조파나 비선형 부하에 의해 과전압 발생대책
  • 자기전압조정기의 점검
  • 발전기 무부하운전 시 정상 출력 확인 후 부하운전 실기
  • 진상부하에 의한 과전압 방지대책
  • ATS절체 시 과전압 사고 예방대책
  • 과전압 보호계전기

●J13 건축물 열병합 발전기와 전력회사 계통과 병렬운전시

1)터빈발전기 기기자체에 발생손상
2)손상방지 위한 동기투입조건 4가지와 이조건 불만족 시 문제점

●14 자가발전기와 무정전전원장치를 조합하여 운전할 때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5 2대의 동기발전기가 기전력과 위상이 다른 경우 병렬운전 했을때 나타나는 현상을 각각 설명하시오

●16 비상용 동기발전기에서 부하가 순수 저항부하, 순수 유도성부하일 때 부하전류에 따른 단자전압의 특성을 각각 식과 그래프를 이용하여 설명하시오

💯기출문제(발전기 용량 선정)

Z17 건축물의 비상발전기 용량 산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발전기 단상부하 GGZ19)

1)단상부하

  • 발전기에 단상부하를 접속 연결하면 발전기의 부하에 √3배의 부하를 접속한 것과 같이 되어 부하용량의 이용률이 줄어든다
  • 이상현상
    • 전압의 불평형
    • 파형의 찌그러짐 현상
    • 이상진동의 원인
  • 대책
    • 3상이 평형을 이루도록 부하를 골고루 분배하여 설계 및 운영
    • 스콧변압기 설치
    • 불평형을 10%이내로 유지
\[불평형률=\frac{각상 단상부하의 최대와 최소의 차}{총부하설비의 용량\times 1/3}\times 100[\%]\]

Z18 비상발전기에 투입되는 유도전동기 1000[kW]를 안정되게 운전할수 있는 발전기 용량을 설계하시오

Z19 발전기 용량결정시 단상부하의 영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발전기 단상부하 GGZ19)

1)단상부하

  • 발전기에 단상부하를 접속 연결하면 발전기의 부하에 √3배의 부하를 접속한 것과 같이 되어 부하용량의 이용률이 줄어든다
  • 이상현상
    • 전압의 불평형
    • 파형의 찌그러짐 현상
    • 이상진동의 원인
  • 대책
    • 3상이 평형을 이루도록 부하를 골고루 분배하여 설계 및 운영
    • 스콧변압기 설치
    • 불평형을 10%이내로 유지
\[불평형률=\frac{각상 단상부하의 최대와 최소의 차}{총부하설비의 용량\times 1/3}\times 100[\%]\]

Z20 Rg계수에 의한 발전기 용량 산정에 대해 설명하시오

  • RG₁ 정상부하 출력계수
  • RG₂ 허용 전압강하 출력계수
  • RG₃ 기저부하 출력계수
  • RG₄ 허용 역상전류 출력계수
모범답안(비상발전기RG방식 GGZ20)

3)RG방식(기설설비적용)

일본 내연력협회에서 PG방식을 개선하여 개정된 산정방식으로 기존 기설설비에 적용가능

\[발전기용량=R_G계수\times K\]

RG계수[kVA/kW]
K : 부하출력 합계[kW]

  • RG₁
    정상부하 출력계수
\[R_{G1}-1.47\times D\times S_f\]

D : 부하수용률
Sf : 불평형 전류에 의한 선전류 증가계수

  • RG₂
    허용 전압강하 출력계수
\[R_{G2}=\frac{1-\Delta V}{\Delta V}\times X’_d\times\frac{K_s}{Z_m}\times\frac{M_2}{K}\]

Ks :시동계수
Zm : 시동임피던스
M : 최대부하출력[kW]
K₂ : 부하출력합계[kW]
ΔV : 허용 전압강하

  • RG₃
    기저부하 출력계수
\[R_{G3}=0.98d+(\frac{K_s}{1.5Z_m}-0.98d)\times\frac{M3}{K}\]

M₃ : 최대부하출력
d : 기존부하수용률

  • RG₄
    허용 역상전류 출력계수
\[R_{G4}=\frac{1}{K_{G4}}\times\sqrt K_1\]

KG₄ : 허용역상전류 출력계수
K₁ : 고조파계수

  • RG방식 선정 시 고려사항
    • RG₁~RG₄ 중 가장 큰 값을 선택
    • RG값이 실용상 바람직한 범위는 1.47D ≤ RG < 2.2
    • RG₂~RG₃ 에 의하여 과대한 RG값이 산출된 경우에는 기존방식을 바꾸어 실용상 범위에 맞춘다
    • RG₄가 크게 산출될 경우에는 특별한 발전기를 선정하여 실용상 범위에 맞춘다

Z21 자가발전설비의 부하 및 운전형태에 따른 발전기의 용량 산정시 고려할 사항을 설명하시오

모범답안(발전기 용량산정시 고려사항 GGZ21)

1️⃣발전기 용량산정시 고려사항

1)단상부하

  • 발전기에 단상부하를 접속 연결하면 발전기의 부하에 √3배의 부하를 접속한 것과 같이 되어 부하용량의 이용률이 줄어든다
  • 이상현상
    • 전압의 불평형
    • 파형의 찌그러짐 현상
    • 이상진동의 원인
  • 대책
    • 3상이 평형을 이루도록 부하를 골고루 분배하여 설계 및 운영
    • 스콧변압기 설치
    • 불평형을 10%이내로 유지
\[불평형률=\frac{각상 단상부하의 최대와 최소의 차}{총부하설비의 용량\times 1/3}\times 100[\%]\]

2)감전압 시동기

  • 전동기 기동 시 감전압 시동을 채택하면 시동 돌입전류가 감소하여 발전기 용량이 줄지만 토크도 같이 감소
  • 전동기가 충분한 속도에 도달하기 전에 감전압으로 전환하면 순시전압강하를 발생하므로 전환되는 시간 설정을 충분한 검토필요

3)고조파 부하

  • 원인
    • 사이리스터, UPS, MOTOR
    • 인버터 승강기
    • 축전지 충전장치
  • 영향
    • 전기의 손실 및 온도 증가의 원인
    • 전기의 댐퍼권선의 온도 상승, 손실 증가
    • 자동전압조정기의 불안정
  • 대책
    • 부하 측 정류상수 증가
    • 리액터 설치하여 공진
    • 고조파 필터 설치
    • 발전기 용량을 부하보다 2배 이상 크게 설치

Z22 비상용 발전기의 용량산정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비상발전기 용량산정 GGZ22)

2️⃣일반부하 발전기 용량산정방식

1)수용 부하운전 시 용량

\[발전기 용량[kVA]=부하의 입력 합계 \times 수용률\]

2)기동 부하전류 중 최대 기동용량

\[발전기 정격[kVA]=\frac{1}{허용 전압강하-1}\times X”_d\times 시동[kVA]\]

X”d : 발전기 과도 리액턴스(0.2~0.25),
허용전압강하 : 0.2~0.25

3️⃣소방부하용 용량 산정방식

1)GP방식 (21년6월14일 이후 기준)

전기설비설계기준 KDS 31 60 20 : 2021

\[GP=[\Sigma P+(\Sigma P_m-PL)\times a +(PL\times a \times c)]\times k\]

GP : 발전기 용량[kVA]
ΣP : 전동기 이외 부하의 입력용량 합계[kVA]
ΣPm : 전동기 부하용량 합계[kW]
PL : 전동기 부하 중 기동용량이 가장 큰 전동기 부하용량[kW]
다만, 동시에 기동될 경우에는 이들을 더한 용량으로 함
a : 전동기의 kW당 입력용량 계수 (추천값 : 고효율 1.38, 표준형 1.45)
다만, 전동기 입력용량은 각 전동기별 효율, 역률을 적용하여 입력용량을 환산 가능
c : 전동기 기동계수 (KESC 발췌_전기안전공사 자료)
k :발전기 정수와 허용전압강하율을 고려한 계수
(명확하지 않은 경우 1.07~1.13)

ΣP : 전동기 이외 부하의 입력용량 합계[kVA]

가. 입력용량(고조파발생부하 제외)

\[P=\frac{부하용량[kW]}{부하효율\times역률}\cdot\cdot\cdot(4.1-2)\]


나. 고조파발생부하의 입력용량 합계(kVA)
㉮ UPS의 입력용량

\[P=(\frac{UPS출력[kVA]}{UPS효율}\times\lambda)+축전지충전용량\cdot\cdot\cdot4.1-3\]

(※축전지충전용량은 UPS용량의 6~10% 적용)
㉯ 입력용량(UPS 제외)

\[P=[\frac{부하용량[kW]}{효율\times역률}]\times\lambda\cdot\cdot\cdot4.1-4\]


(※(THD 가중치)는 KS C IEC 61000-3-6의 표
6을 참고한다. 다만, 고조파저감장치를 설치할 경
우에는 가중치 1.25를 적용할 수 있다.

c : 전동기 기동계수 (KESC 발췌_전기안전공사 자료)

k :발전기 정수와 허용전압강하율을 고려한 계수

2)PG방식(기설설비적용)

일본 내연력협회에서 제정한 방법으로 기존 기설설비에 적용

  • PG₁
    정격운전 상태에서 부하설비의 가동에 필요한 발전기 용량[kVA]
\[P_{G1}=\frac{\sum P_L}{\eta_L\times\cos\theta_L}\times\alpha[kVA]\]

∑PL : 부하의 합계[kW]
α 수용률, 부하율을 고려한 계수
ηL:부하의 종합표율(불분명한 경우 0.85 적용)
cosθ:부하역률(0.8적용)

  • PG₂
    부하 중 최대값(시동[kVA])을 갖는 전동기를 시동할 때의 허용 전압강하를 고려한 발전기 용량[kVA]
\[P_{G2}=P_m\times\beta\times C\times X”\times\frac{1-\Delta V}{\Delta V}\]

Pm : 가장 큰 전동기 출력[kW]
β : 전동기 출력 1[kW]에 대한 시동[kVA](0.72)
C : 시동방식에 따른 계수
X”d : 발전기 과도 리액턴스[%]
ΔV : 발전기 부하로 Pm을 투입할때 허용 전압강하율[%]
(일반적으로 0.25이하, 비상용승강기 : 0.2이하 적용)

  • PG₃
    부하 중 최대값을 갖는 전동기 또는 전동기군을 기동 순서상 마지막으로 시동을 할 때 필요한 발전기 용량
\[P_{G3}=\frac{\sum P_L-P_m}{\eta_L}+P_m\times \beta\times C\times\cos\theta_L\times\frac{1}{\cos\theta_G}\]

Pfm : Pm전동기 시동시 역률(0.4)
cosθG : 발전기 역률(0.8)

  • PG₄
    부하 중 고조파를 감안한 경우
\[P_{G4}=P_{G1}+P_c\times(2.0\sim2.5)\]

Pc : 고조파 발생부하[kW]

  • PG방식 선정 시 고려사항
    • PG₁~PG₃중 가장 큰 값 선택
    • 고조파에 대한 부분 미반영(PG₄는 임시적 개념)
    • 신규 모터 기동에 의한 β, C 계수값이 없다

3)RG방식(기설설비적용)

일본 내연력협회에서 PG방식을 개선하여 개정된 산정방식으로 기존 기설설비에 적용가능

\[발전기용량=R_G계수\times K\]

RG계수[kVA/kW]
K : 부하출력 합계[kW]

  • RG₁
    정상부하 출력계수
\[R_{G1}-1.47\times D\times S_f\]

D : 부하수용률
Sf : 불평형 전류에 의한 선전류 증가계수

  • RG₂
    허용 전압강하 출력계수
\[R_{G2}=\frac{1-\Delta V}{\Delta V}\times X’_d\times\frac{K_s}{Z_m}\times\frac{M_2}{K}\]

Ks :시동계수
Zm : 시동임피던스
M : 최대부하출력[kW]
K₂ : 부하출력합계[kW]
ΔV : 허용 전압강하

  • RG₃
    기저부하 출력계수
\[R_{G3}=0.98d+(\frac{K_s}{1.5Z_m}-0.98d)\times\frac{M3}{K}\]

M₃ : 최대부하출력
d : 기존부하수용률

  • RG₄
    허용 역상전류 출력계수
\[R_{G4}=\frac{1}{K_{G4}}\times\sqrt K_1\]

KG₄ : 허용역상전류 출력계수
K₁ : 고조파계수

  • RG방식 선정 시 고려사항
    • RG₁~RG₄ 중 가장 큰 값을 선택
    • RG값이 실용상 바람직한 범위는 1.47D ≤ RG < 2.2
    • RG₂~RG₃ 에 의하여 과대한 RG값이 산출된 경우에는 기존방식을 바꾸어 실용상 범위에 맞춘다
    • RG₄가 크게 산출될 경우에는 특별한 발전기를 선정하여 실용상 범위에 맞춘다

Z23 비상발전기의 출력용량을 결정시 전동기의 기동특성을 고려한 산정식을 제시하고 설명하시오

모범답안(비상발전기 용량산정 GGZ22)

2️⃣일반부하 발전기 용량산정방식

1)수용 부하운전 시 용량

\[발전기 용량[kVA]=부하의 입력 합계 \times 수용률\]

2)기동 부하전류 중 최대 기동용량

\[발전기 정격[kVA]=\frac{1}{허용 전압강하-1}\times X”_d\times 시동[kVA]\]

X”d : 발전기 과도 리액턴스(0.2~0.25),
허용전압강하 : 0.2~0.25

3️⃣소방부하용 용량 산정방식

1)GP방식 (21년6월14일 이후 기준)

전기설비설계기준 KDS 31 60 20 : 2021

\[GP=[\Sigma P+(\Sigma P_m-PL)\times a +(PL\times a \times c)]\times k\]

GP : 발전기 용량[kVA]
ΣP : 전동기 이외 부하의 입력용량 합계[kVA]
ΣPm : 전동기 부하용량 합계[kW]
PL : 전동기 부하 중 기동용량이 가장 큰 전동기 부하용량[kW]
다만, 동시에 기동될 경우에는 이들을 더한 용량으로 함
a : 전동기의 kW당 입력용량 계수 (추천값 : 고효율 1.38, 표준형 1.45)
다만, 전동기 입력용량은 각 전동기별 효율, 역률을 적용하여 입력용량을 환산 가능
c : 전동기 기동계수 (KESC 발췌_전기안전공사 자료)
k :발전기 정수와 허용전압강하율을 고려한 계수
(명확하지 않은 경우 1.07~1.13)

ΣP : 전동기 이외 부하의 입력용량 합계[kVA]

가. 입력용량(고조파발생부하 제외)

\[P=\frac{부하용량[kW]}{부하효율\times역률}\cdot\cdot\cdot(4.1-2)\]


나. 고조파발생부하의 입력용량 합계(kVA)
㉮ UPS의 입력용량

\[P=(\frac{UPS출력[kVA]}{UPS효율}\times\lambda)+축전지충전용량\cdot\cdot\cdot4.1-3\]

(※축전지충전용량은 UPS용량의 6~10% 적용)
㉯ 입력용량(UPS 제외)

\[P=[\frac{부하용량[kW]}{효율\times역률}]\times\lambda\cdot\cdot\cdot4.1-4\]


(※(THD 가중치)는 KS C IEC 61000-3-6의 표
6을 참고한다. 다만, 고조파저감장치를 설치할 경
우에는 가중치 1.25를 적용할 수 있다.

c : 전동기 기동계수 (KESC 발췌_전기안전공사 자료)

k :발전기 정수와 허용전압강하율을 고려한 계수

2)PG방식(기설설비적용)

일본 내연력협회에서 제정한 방법으로 기존 기설설비에 적용

  • PG₁
    정격운전 상태에서 부하설비의 가동에 필요한 발전기 용량[kVA]
\[P_{G1}=\frac{\sum P_L}{\eta_L\times\cos\theta_L}\times\alpha[kVA]\]

∑PL : 부하의 합계[kW]
α 수용률, 부하율을 고려한 계수
ηL:부하의 종합표율(불분명한 경우 0.85 적용)
cosθ:부하역률(0.8적용)

  • PG₂
    부하 중 최대값(시동[kVA])을 갖는 전동기를 시동할 때의 허용 전압강하를 고려한 발전기 용량[kVA]
\[P_{G2}=P_m\times\beta\times C\times X”\times\frac{1-\Delta V}{\Delta V}\]

Pm : 가장 큰 전동기 출력[kW]
β : 전동기 출력 1[kW]에 대한 시동[kVA](0.72)
C : 시동방식에 따른 계수
X”d : 발전기 과도 리액턴스[%]
ΔV : 발전기 부하로 Pm을 투입할때 허용 전압강하율[%]
(일반적으로 0.25이하, 비상용승강기 : 0.2이하 적용)

  • PG₃
    부하 중 최대값을 갖는 전동기 또는 전동기군을 기동 순서상 마지막으로 시동을 할 때 필요한 발전기 용량
\[P_{G3}=\frac{\sum P_L-P_m}{\eta_L}+P_m\times \beta\times C\times\cos\theta_L\times\frac{1}{\cos\theta_G}\]

Pfm : Pm전동기 시동시 역률(0.4)
cosθG : 발전기 역률(0.8)

  • PG₄
    부하 중 고조파를 감안한 경우
\[P_{G4}=P_{G1}+P_c\times(2.0\sim2.5)\]

Pc : 고조파 발생부하[kW]

  • PG방식 선정 시 고려사항
    • PG₁~PG₃중 가장 큰 값 선택
    • 고조파에 대한 부분 미반영(PG₄는 임시적 개념)
    • 신규 모터 기동에 의한 β, C 계수값이 없다

3)RG방식(기설설비적용)

일본 내연력협회에서 PG방식을 개선하여 개정된 산정방식으로 기존 기설설비에 적용가능

\[발전기용량=R_G계수\times K\]

RG계수[kVA/kW]
K : 부하출력 합계[kW]

  • RG₁
    정상부하 출력계수
\[R_{G1}-1.47\times D\times S_f\]

D : 부하수용률
Sf : 불평형 전류에 의한 선전류 증가계수

  • RG₂
    허용 전압강하 출력계수
\[R_{G2}=\frac{1-\Delta V}{\Delta V}\times X’_d\times\frac{K_s}{Z_m}\times\frac{M_2}{K}\]

Ks :시동계수
Zm : 시동임피던스
M : 최대부하출력[kW]
K₂ : 부하출력합계[kW]
ΔV : 허용 전압강하

  • RG₃
    기저부하 출력계수
\[R_{G3}=0.98d+(\frac{K_s}{1.5Z_m}-0.98d)\times\frac{M3}{K}\]

M₃ : 최대부하출력
d : 기존부하수용률

  • RG₄
    허용 역상전류 출력계수
\[R_{G4}=\frac{1}{K_{G4}}\times\sqrt K_1\]

KG₄ : 허용역상전류 출력계수
K₁ : 고조파계수

  • RG방식 선정 시 고려사항
    • RG₁~RG₄ 중 가장 큰 값을 선택
    • RG값이 실용상 바람직한 범위는 1.47D ≤ RG < 2.2
    • RG₂~RG₃ 에 의하여 과대한 RG값이 산출된 경우에는 기존방식을 바꾸어 실용상 범위에 맞춘다
    • RG₄가 크게 산출될 경우에는 특별한 발전기를 선정하여 실용상 범위에 맞춘다

Z24 건축물에서 소방부하와 비상부하를 구분하고 소방부하 전원공급용 발전기의 용량 산정방법과 발전기 용량을 감소하기 위한 부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시오

모범답안(비상발전기 용량산정 GGZ22)

2️⃣일반부하 발전기 용량산정방식

1)수용 부하운전 시 용량

\[발전기 용량[kVA]=부하의 입력 합계 \times 수용률\]

2)기동 부하전류 중 최대 기동용량

\[발전기 정격[kVA]=\frac{1}{허용 전압강하-1}\times X”_d\times 시동[kVA]\]

X”d : 발전기 과도 리액턴스(0.2~0.25),
허용전압강하 : 0.2~0.25

3️⃣소방부하용 용량 산정방식

1)GP방식 (21년6월14일 이후 기준)

전기설비설계기준 KDS 31 60 20 : 2021

\[GP=[\Sigma P+(\Sigma P_m-PL)\times a +(PL\times a \times c)]\times k\]

GP : 발전기 용량[kVA]
ΣP : 전동기 이외 부하의 입력용량 합계[kVA]
ΣPm : 전동기 부하용량 합계[kW]
PL : 전동기 부하 중 기동용량이 가장 큰 전동기 부하용량[kW]
다만, 동시에 기동될 경우에는 이들을 더한 용량으로 함
a : 전동기의 kW당 입력용량 계수 (추천값 : 고효율 1.38, 표준형 1.45)
다만, 전동기 입력용량은 각 전동기별 효율, 역률을 적용하여 입력용량을 환산 가능
c : 전동기 기동계수 (KESC 발췌_전기안전공사 자료)
k :발전기 정수와 허용전압강하율을 고려한 계수
(명확하지 않은 경우 1.07~1.13)

ΣP : 전동기 이외 부하의 입력용량 합계[kVA]

가. 입력용량(고조파발생부하 제외)

\[P=\frac{부하용량[kW]}{부하효율\times역률}\cdot\cdot\cdot(4.1-2)\]


나. 고조파발생부하의 입력용량 합계(kVA)
㉮ UPS의 입력용량

\[P=(\frac{UPS출력[kVA]}{UPS효율}\times\lambda)+축전지충전용량\cdot\cdot\cdot4.1-3\]

(※축전지충전용량은 UPS용량의 6~10% 적용)
㉯ 입력용량(UPS 제외)

\[P=[\frac{부하용량[kW]}{효율\times역률}]\times\lambda\cdot\cdot\cdot4.1-4\]


(※(THD 가중치)는 KS C IEC 61000-3-6의 표
6을 참고한다. 다만, 고조파저감장치를 설치할 경
우에는 가중치 1.25를 적용할 수 있다.

c : 전동기 기동계수 (KESC 발췌_전기안전공사 자료)

k :발전기 정수와 허용전압강하율을 고려한 계수

2)PG방식(기설설비적용)

일본 내연력협회에서 제정한 방법으로 기존 기설설비에 적용

  • PG₁
    정격운전 상태에서 부하설비의 가동에 필요한 발전기 용량[kVA]
\[P_{G1}=\frac{\sum P_L}{\eta_L\times\cos\theta_L}\times\alpha[kVA]\]

∑PL : 부하의 합계[kW]
α 수용률, 부하율을 고려한 계수
ηL:부하의 종합표율(불분명한 경우 0.85 적용)
cosθ:부하역률(0.8적용)

  • PG₂
    부하 중 최대값(시동[kVA])을 갖는 전동기를 시동할 때의 허용 전압강하를 고려한 발전기 용량[kVA]
\[P_{G2}=P_m\times\beta\times C\times X”\times\frac{1-\Delta V}{\Delta V}\]

Pm : 가장 큰 전동기 출력[kW]
β : 전동기 출력 1[kW]에 대한 시동[kVA](0.72)
C : 시동방식에 따른 계수
X”d : 발전기 과도 리액턴스[%]
ΔV : 발전기 부하로 Pm을 투입할때 허용 전압강하율[%]
(일반적으로 0.25이하, 비상용승강기 : 0.2이하 적용)

  • PG₃
    부하 중 최대값을 갖는 전동기 또는 전동기군을 기동 순서상 마지막으로 시동을 할 때 필요한 발전기 용량
\[P_{G3}=\frac{\sum P_L-P_m}{\eta_L}+P_m\times \beta\times C\times\cos\theta_L\times\frac{1}{\cos\theta_G}\]

Pfm : Pm전동기 시동시 역률(0.4)
cosθG : 발전기 역률(0.8)

  • PG₄
    부하 중 고조파를 감안한 경우
\[P_{G4}=P_{G1}+P_c\times(2.0\sim2.5)\]

Pc : 고조파 발생부하[kW]

  • PG방식 선정 시 고려사항
    • PG₁~PG₃중 가장 큰 값 선택
    • 고조파에 대한 부분 미반영(PG₄는 임시적 개념)
    • 신규 모터 기동에 의한 β, C 계수값이 없다

3)RG방식(기설설비적용)

일본 내연력협회에서 PG방식을 개선하여 개정된 산정방식으로 기존 기설설비에 적용가능

\[발전기용량=R_G계수\times K\]

RG계수[kVA/kW]
K : 부하출력 합계[kW]

  • RG₁
    정상부하 출력계수
\[R_{G1}-1.47\times D\times S_f\]

D : 부하수용률
Sf : 불평형 전류에 의한 선전류 증가계수

  • RG₂
    허용 전압강하 출력계수
\[R_{G2}=\frac{1-\Delta V}{\Delta V}\times X’_d\times\frac{K_s}{Z_m}\times\frac{M_2}{K}\]

Ks :시동계수
Zm : 시동임피던스
M : 최대부하출력[kW]
K₂ : 부하출력합계[kW]
ΔV : 허용 전압강하

  • RG₃
    기저부하 출력계수
\[R_{G3}=0.98d+(\frac{K_s}{1.5Z_m}-0.98d)\times\frac{M3}{K}\]

M₃ : 최대부하출력
d : 기존부하수용률

  • RG₄
    허용 역상전류 출력계수
\[R_{G4}=\frac{1}{K_{G4}}\times\sqrt K_1\]

KG₄ : 허용역상전류 출력계수
K₁ : 고조파계수

  • RG방식 선정 시 고려사항
    • RG₁~RG₄ 중 가장 큰 값을 선택
    • RG값이 실용상 바람직한 범위는 1.47D ≤ RG < 2.2
    • RG₂~RG₃ 에 의하여 과대한 RG값이 산출된 경우에는 기존방식을 바꾸어 실용상 범위에 맞춘다
    • RG₄가 크게 산출될 경우에는 특별한 발전기를 선정하여 실용상 범위에 맞춘다

Z25 PG방식과 RG방식

모범답안(RG방식 PG방식 GGZ25)

2)PG방식(기설설비적용)

일본 내연력협회에서 제정한 방법으로 기존 기설설비에 적용

  • PG₁
    정격운전 상태에서 부하설비의 가동에 필요한 발전기 용량[kVA]
\[P_{G1}=\frac{\sum P_L}{\eta_L\times\cos\theta_L}\times\alpha[kVA]\]

∑PL : 부하의 합계[kW]
α 수용률, 부하율을 고려한 계수
ηL:부하의 종합표율(불분명한 경우 0.85 적용)
cosθ:부하역률(0.8적용)

  • PG₂
    부하 중 최대값(시동[kVA])을 갖는 전동기를 시동할 때의 허용 전압강하를 고려한 발전기 용량[kVA]
\[P_{G2}=P_m\times\beta\times C\times X”\times\frac{1-\Delta V}{\Delta V}\]

Pm : 가장 큰 전동기 출력[kW]
β : 전동기 출력 1[kW]에 대한 시동[kVA](0.72)
C : 시동방식에 따른 계수
X”d : 발전기 과도 리액턴스[%]
ΔV : 발전기 부하로 Pm을 투입할때 허용 전압강하율[%]
(일반적으로 0.25이하, 비상용승강기 : 0.2이하 적용)

  • PG₃
    부하 중 최대값을 갖는 전동기 또는 전동기군을 기동 순서상 마지막으로 시동을 할 때 필요한 발전기 용량
\[P_{G3}=\frac{\sum P_L-P_m}{\eta_L}+P_m\times \beta\times C\times\cos\theta_L\times\frac{1}{\cos\theta_G}\]

Pfm : Pm전동기 시동시 역률(0.4)
cosθG : 발전기 역률(0.8)

  • PG₄
    부하 중 고조파를 감안한 경우
\[P_{G4}=P_{G1}+P_c\times(2.0\sim2.5)\]

Pc : 고조파 발생부하[kW]

  • PG방식 선정 시 고려사항
    • PG₁~PG₃중 가장 큰 값 선택
    • 고조파에 대한 부분 미반영(PG₄는 임시적 개념)
    • 신규 모터 기동에 의한 β, C 계수값이 없다

3)RG방식(기설설비적용)

일본 내연력협회에서 PG방식을 개선하여 개정된 산정방식으로 기존 기설설비에 적용가능

\[발전기용량=R_G계수\times K\]

RG계수[kVA/kW]
K : 부하출력 합계[kW]

  • RG₁
    정상부하 출력계수
\[R_{G1}-1.47\times D\times S_f\]

D : 부하수용률
Sf : 불평형 전류에 의한 선전류 증가계수

  • RG₂
    허용 전압강하 출력계수
\[R_{G2}=\frac{1-\Delta V}{\Delta V}\times X’_d\times\frac{K_s}{Z_m}\times\frac{M_2}{K}\]

Ks :시동계수
Zm : 시동임피던스
M : 최대부하출력[kW]
K₂ : 부하출력합계[kW]
ΔV : 허용 전압강하

  • RG₃
    기저부하 출력계수
\[R_{G3}=0.98d+(\frac{K_s}{1.5Z_m}-0.98d)\times\frac{M3}{K}\]

M₃ : 최대부하출력
d : 기존부하수용률

  • RG₄
    허용 역상전류 출력계수
\[R_{G4}=\frac{1}{K_{G4}}\times\sqrt K_1\]

KG₄ : 허용역상전류 출력계수
K₁ : 고조파계수

  • RG방식 선정 시 고려사항
    • RG₁~RG₄ 중 가장 큰 값을 선택
    • RG값이 실용상 바람직한 범위는 1.47D ≤ RG < 2.2
    • RG₂~RG₃ 에 의하여 과대한 RG값이 산출된 경우에는 기존방식을 바꾸어 실용상 범위에 맞춘다
    • RG₄가 크게 산출될 경우에는 특별한 발전기를 선정하여 실용상 범위에 맞춘다

Z26 소방부하 겸용 발전기 용량산정 시 적용하는 수용률 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Z27 전기소방설비에서 비상전원의 종류 및 용량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Z28 건축물의 비상발전기 용량산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Z135-3 국가건설기준 KDS 32 30 30에 따른 예비전원설비 중 자가발전설비 용량산정 방법을 설명하시오.

모범답안(비상발전기 용량산정 GGZ22)

2️⃣일반부하 발전기 용량산정방식

1)수용 부하운전 시 용량

\[발전기 용량[kVA]=부하의 입력 합계 \times 수용률\]

2)기동 부하전류 중 최대 기동용량

\[발전기 정격[kVA]=\frac{1}{허용 전압강하-1}\times X”_d\times 시동[kVA]\]

X”d : 발전기 과도 리액턴스(0.2~0.25),
허용전압강하 : 0.2~0.25

3️⃣소방부하용 용량 산정방식

1)GP방식 (21년6월14일 이후 기준)

전기설비설계기준 KDS 31 60 20 : 2021

\[GP=[\Sigma P+(\Sigma P_m-PL)\times a +(PL\times a \times c)]\times k\]

GP : 발전기 용량[kVA]
ΣP : 전동기 이외 부하의 입력용량 합계[kVA]
ΣPm : 전동기 부하용량 합계[kW]
PL : 전동기 부하 중 기동용량이 가장 큰 전동기 부하용량[kW]
다만, 동시에 기동될 경우에는 이들을 더한 용량으로 함
a : 전동기의 kW당 입력용량 계수 (추천값 : 고효율 1.38, 표준형 1.45)
다만, 전동기 입력용량은 각 전동기별 효율, 역률을 적용하여 입력용량을 환산 가능
c : 전동기 기동계수 (KESC 발췌_전기안전공사 자료)
k :발전기 정수와 허용전압강하율을 고려한 계수
(명확하지 않은 경우 1.07~1.13)

ΣP : 전동기 이외 부하의 입력용량 합계[kVA]

가. 입력용량(고조파발생부하 제외)

\[P=\frac{부하용량[kW]}{부하효율\times역률}\cdot\cdot\cdot(4.1-2)\]


나. 고조파발생부하의 입력용량 합계(kVA)
㉮ UPS의 입력용량

\[P=(\frac{UPS출력[kVA]}{UPS효율}\times\lambda)+축전지충전용량\cdot\cdot\cdot4.1-3\]

(※축전지충전용량은 UPS용량의 6~10% 적용)
㉯ 입력용량(UPS 제외)

\[P=[\frac{부하용량[kW]}{효율\times역률}]\times\lambda\cdot\cdot\cdot4.1-4\]


(※(THD 가중치)는 KS C IEC 61000-3-6의 표
6을 참고한다. 다만, 고조파저감장치를 설치할 경
우에는 가중치 1.25를 적용할 수 있다.

c : 전동기 기동계수 (KESC 발췌_전기안전공사 자료)

k :발전기 정수와 허용전압강하율을 고려한 계수

2)PG방식(기설설비적용)

일본 내연력협회에서 제정한 방법으로 기존 기설설비에 적용

  • PG₁
    정격운전 상태에서 부하설비의 가동에 필요한 발전기 용량[kVA]
\[P_{G1}=\frac{\sum P_L}{\eta_L\times\cos\theta_L}\times\alpha[kVA]\]

∑PL : 부하의 합계[kW]
α 수용률, 부하율을 고려한 계수
ηL:부하의 종합표율(불분명한 경우 0.85 적용)
cosθ:부하역률(0.8적용)

  • PG₂
    부하 중 최대값(시동[kVA])을 갖는 전동기를 시동할 때의 허용 전압강하를 고려한 발전기 용량[kVA]
\[P_{G2}=P_m\times\beta\times C\times X”\times\frac{1-\Delta V}{\Delta V}\]

Pm : 가장 큰 전동기 출력[kW]
β : 전동기 출력 1[kW]에 대한 시동[kVA](0.72)
C : 시동방식에 따른 계수
X”d : 발전기 과도 리액턴스[%]
ΔV : 발전기 부하로 Pm을 투입할때 허용 전압강하율[%]
(일반적으로 0.25이하, 비상용승강기 : 0.2이하 적용)

  • PG₃
    부하 중 최대값을 갖는 전동기 또는 전동기군을 기동 순서상 마지막으로 시동을 할 때 필요한 발전기 용량
\[P_{G3}=\frac{\sum P_L-P_m}{\eta_L}+P_m\times \beta\times C\times\cos\theta_L\times\frac{1}{\cos\theta_G}\]

Pfm : Pm전동기 시동시 역률(0.4)
cosθG : 발전기 역률(0.8)

  • PG₄
    부하 중 고조파를 감안한 경우
\[P_{G4}=P_{G1}+P_c\times(2.0\sim2.5)\]

Pc : 고조파 발생부하[kW]

  • PG방식 선정 시 고려사항
    • PG₁~PG₃중 가장 큰 값 선택
    • 고조파에 대한 부분 미반영(PG₄는 임시적 개념)
    • 신규 모터 기동에 의한 β, C 계수값이 없다

3)RG방식(기설설비적용)

일본 내연력협회에서 PG방식을 개선하여 개정된 산정방식으로 기존 기설설비에 적용가능

\[발전기용량=R_G계수\times K\]

RG계수[kVA/kW]
K : 부하출력 합계[kW]

  • RG₁
    정상부하 출력계수
\[R_{G1}-1.47\times D\times S_f\]

D : 부하수용률
Sf : 불평형 전류에 의한 선전류 증가계수

  • RG₂
    허용 전압강하 출력계수
\[R_{G2}=\frac{1-\Delta V}{\Delta V}\times X’_d\times\frac{K_s}{Z_m}\times\frac{M_2}{K}\]

Ks :시동계수
Zm : 시동임피던스
M : 최대부하출력[kW]
K₂ : 부하출력합계[kW]
ΔV : 허용 전압강하

  • RG₃
    기저부하 출력계수
\[R_{G3}=0.98d+(\frac{K_s}{1.5Z_m}-0.98d)\times\frac{M3}{K}\]

M₃ : 최대부하출력
d : 기존부하수용률

  • RG₄
    허용 역상전류 출력계수
\[R_{G4}=\frac{1}{K_{G4}}\times\sqrt K_1\]

KG₄ : 허용역상전류 출력계수
K₁ : 고조파계수

  • RG방식 선정 시 고려사항
    • RG₁~RG₄ 중 가장 큰 값을 선택
    • RG값이 실용상 바람직한 범위는 1.47D ≤ RG < 2.2
    • RG₂~RG₃ 에 의하여 과대한 RG값이 산출된 경우에는 기존방식을 바꾸어 실용상 범위에 맞춘다
    • RG₄가 크게 산출될 경우에는 특별한 발전기를 선정하여 실용상 범위에 맞춘다

💯기출문제(기타)

K29 건축물에 정전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 비상발전기의 기동시간이 문제되거나 기동 실패가 일어날 경우를 대비하기 위한 대책을 설명하시오

●30 건축물에 설치하는 비상발전기의 출력전압 선정 시 저압과 고압의 장단점을 비교 설명하시오

●31 비상저압발전기가 설치된 수용가에 발전기 부하측 지락이나 누전을 대비하여 지락 과전류계전기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불필요한 OCGR동작을 예방할 수있는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2 비상용 디젤엔진 예비발전장치의 트러블 진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3 지하2층에 1000[kVA]디젤발전기를 설치하였다. 준공검사에 필요한 전기와 건축계적인 점검사항을 설명하시오

●34 건축물에 시설하는 디젤엔진 비상발전기의 보호계전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V1003T24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