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명 설계

제공

,

J 부하설비

조명 설계 (JD)

A 건축화 조명의 종류
C 전반조명설계
B 조명설계
D 조명률
N 자연채광
E 조도측정방법
C 조명제어방식

조명 설계 (JD)

  • A 건축화 조명의 종류
    광천장조명, 루버조명,다운라이트조명,코퍼조명, 트로퍼조명, 라인라이트조명, 커브조명, 코너조명, 스카이라이트조명,인공창조명,밸런스조명
  • C 조명설계
    건축도서검토, 조도기준
    조명기구 선택, 조명기구선정, 조명기구 수량계산, 조명기구 배칭
    조도계산, 분기회로설계, 설계도서작성
    • B 전반조명설계
      ☑️전반조명설계(대광조치도방률감램광)
      대상물파악, 광원선택, 조명등기구선택, 조면기구의 간격과 배치
      필요조도결정, 방지수결정, 조명률의 결정, 감광보상률의결정
      램프 크기의 계산, 실내면의 광속발산도 계산
  • D 조명률
  • N 자연채광
  • E 조도측정방법
  • C 조명제어방식

기출문제

조명 설계 (JD)

A 건축화 조명의 종류
C 전반조명설계
B 조명설계
D 조명률
N 자연채광
E 조도측정방법
C 조명제어방식

💯기출문제

건축화 조명

A01 코브(Cove) 조명 방식을 설명하시오

모범답안(코브조명 JDA7️⃣)

7️⃣코브 조명(Cove Light)

정의

  • 천장면에 램프를 감추고 코브의 벽, 천장면을 이용하여 간접조명으로 만들어 그의 반사광을 채광하는 조명방식

특징

  • 천장과 벽이 2차 광원면이 되므로 반사율, 확산성이 높아야 한다
  • 효율면에서는 가장 뒤떨어지나 부드럽고 차분한 분의기

조명설계 시 고려사항

  • 코브의 치수는 방 크기 및 천장 높이에 따라 결정
  • 천장면의 균일한 조명
    • 한쪽 코브일때 : 마주보는 천장 구석을 향한다.
      H=(1/4)S
    • 양쪽 코브일때 : 천장 중앙면을 향한다.
      H=(1/6)S
  • 램프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방구석에서 램프가 보이지 않게 한다

A02 최근 건축물의 대형화, 고급화로 건축화 조명의 중요성이 크다. 종류를 들고 조명방식 및 적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10가지 이상).

광천장조명, 루버조명, 다운라이트조명, 코퍼조명, 트로퍼조명, 라인라이트조명, 코브조명, 코너조명, 스카이라이트조명,인공창조명,밸런스조명

A03 건축화조명(종류별 조명방식, 특징, 설계 시 고려사항)

☑️전반조명설계(대광조치도방률감램광) JDB

VDT

B04 사무실 조명의 명시성 향상을 위한 조명 요건을 들고 VDT(Visual Display Terminal) 작업에 효과적인 조명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좋은 조명 요건 JLD051️⃣)

1️⃣좋은 조명의 요건

편안한 시각은 생산성 향상, 작업 효율 증대, 그리고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요소

좋은 조명이란 눈의 피로도가 적고, 장시간 작업이나 활동을 해도 불편함이 없는 시각 상태를 의미

  • 조도:
    • 작업 종류와 환경에 맞는 적절한 조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너무 어둡거나 밝은 환경은 눈의 피로를 유발
    • 균일한 조도 분포: 조도가 고르게 분포되어야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다.
  • 눈부심:
    • 직접 눈부심과 반사 눈부심을 최소화
    • 광원의 위치, 크기, 밝기 등을 조절하여 눈부심을 줄일 수 있다.
  • 색온도:
    • 작업 종류에 맞는 적절한 색온도를 선택해야 합
    • 따뜻한 색온도(3000K 이하)는 편안하고 아늑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좋으며, 차가운 색온도(5000K 이상)는 집중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
  • 색 대비:
    • 글자와 배경의 색 대비가 충분해야 시인성이 확보
    • 너무 강한 색 대비는 눈의 피로를 유발할 수 있다.
  • 깜빡임:
    • 형광등과 같은 인공광원의 깜빡임은 눈의 피로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최소화
  • 시야각:
    • 작업 시 시야각이 편안해야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다.
    • 작업 거리와 글자 크기 등을 조절하여 적절한 시야각을 확보해야합

편안한 시각 평가 방법

  • 자기 진단:
    • 눈의 피로도, 두통, 어깨 결림 등을 통해 스스로 시각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 시력 검사:
    • 안과 전문의에게 정기적으로 시력 검사를 받아 시력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한 교정을 받는 것이 중요
  • 조도 측정:
    • 조도계를 이용하여 작업 공간의 조도를 측정하고, 적정 조도 기준과 비교하여 평가
  • 눈부심 평가:
    • 눈부심 평가 기준을 활용하여 눈부심 정도를 측정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

편안한 시각을 위한 환경 조성

  • 자연광 활용:
    • 자연광은 눈의 피로를 줄이고 심리적인 안정감을 제공
  • 인공조명의 적절한 사용:
    • 작업 종류와 환경에 맞는 조명 기구를 선택하고, 밝기와 색온도를 조절하여 편안한 시각 환경을 조성
  • 휴식:
    • 장시간 작업 시에는 주기적으로 눈을 쉬어주는 것이 중요
  • 안경 착용:
    • 시력이 좋지 않은 경우에는 안경을 착용하여 시력을 교정해야합

VDT 작업에 효과적인 조명 방안 JLG2️⃣

2️⃣VDT 작업에 효과적인 조명 방안

VDT 작업은 눈의 피로를 유발하기 쉽기 때문에, 조명 설계 시 특별한 주의가 필요

  • 모니터 위치 조절: 모니터를 눈높이보다 약간 아래에 위치시키고, 키보드는 모니터보다 약간 아래에 위치시켜 자세를 바르게 유지
  • 반사 방지: 모니터 화면에 주변 환경이 반사되지 않도록 조명을 설치하고, 블라인드 등을 이용하여 빛을 차단해야함
  • 눈부심 방지: 직접광이 눈에 들어오지 않도록 조명 기구를 설치하고, 간접조명을 활용하여 눈부심을 최소화해야함
  • 휴식 공간 조성: VDT 작업 중간중간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자연광을 활용하여 눈의 피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해야함
  • 조도 제어: 개인별로 조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명 기구를 설치하고, 필요에 따라 조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해야함

VDT

사무실 조명의 명시성 향상을 위한 조명 요건

사무실에서의 명시성이란 업무에 필요한 정보를 정확하고 빠르게 인지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명시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명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적절한 조도: 업무 종류에 따라 필요한 조도가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사무 작업에는 500lux 이상의 조도가 권장됩니다.
  • 균일한 조도 분포: 조도가 너무 밝거나 어두운 부분 없이 균일하게 분포되어야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습니다.
  • 직접 휘도: 눈부심을 유발하는 직접 휘도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특히, 모니터 화면과 주변 환경의 휘도 차이를 줄여야 합니다.
  • 수평면 조도: 책상 위와 같은 수평면의 조도가 충분해야 서류 작업 시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습니다.
  • 연직면 조도: 벽면의 조도도 충분해야 공간감을 확보하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 색온도: 일반적으로 사무 공간에는 4000K~5000K의 중성 색온도가 적합하며, 집중력을 요하는 작업에는 5000K 이상의 쿨 화이트 색온도가 효과적입니다.
  • 연색성: 사물의 색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높은 연색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VDT 작업에 효과적인 조명 방안

VDT 작업은 눈의 피로를 유발하기 쉽기 때문에, 조명 설계 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모니터 위치 조절: 모니터를 눈높이보다 약간 아래에 위치시키고, 키보드는 모니터보다 약간 아래에 위치시켜 자세를 바르게 유지해야 합니다.
  • 반사 방지: 모니터 화면에 주변 환경이 반사되지 않도록 조명을 설치하고, 블라인드 등을 이용하여 빛을 차단해야 합니다.
  • 눈부심 방지: 직접광이 눈에 들어오지 않도록 조명 기구를 설치하고, 간접조명을 활용하여 눈부심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 휴식 공간 조성: VDT 작업 중간중간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자연광을 활용하여 눈의 피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조도 제어: 개인별로 조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명 기구를 설치하고, 필요에 따라 조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B05 업무용 빌딩의 좋은 조명의 조건을 들고, VDT(Visual Display Terminal) 조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좋은 조명 요건 JLD051️⃣)

1️⃣좋은 조명의 요건

편안한 시각은 생산성 향상, 작업 효율 증대, 그리고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요소

좋은 조명이란 눈의 피로도가 적고, 장시간 작업이나 활동을 해도 불편함이 없는 시각 상태를 의미

  • 조도:
    • 작업 종류와 환경에 맞는 적절한 조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너무 어둡거나 밝은 환경은 눈의 피로를 유발
    • 균일한 조도 분포: 조도가 고르게 분포되어야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다.
  • 눈부심:
    • 직접 눈부심과 반사 눈부심을 최소화
    • 광원의 위치, 크기, 밝기 등을 조절하여 눈부심을 줄일 수 있다.
  • 색온도:
    • 작업 종류에 맞는 적절한 색온도를 선택해야 합
    • 따뜻한 색온도(3000K 이하)는 편안하고 아늑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좋으며, 차가운 색온도(5000K 이상)는 집중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
  • 색 대비:
    • 글자와 배경의 색 대비가 충분해야 시인성이 확보
    • 너무 강한 색 대비는 눈의 피로를 유발할 수 있다.
  • 깜빡임:
    • 형광등과 같은 인공광원의 깜빡임은 눈의 피로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최소화
  • 시야각:
    • 작업 시 시야각이 편안해야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다.
    • 작업 거리와 글자 크기 등을 조절하여 적절한 시야각을 확보해야합

편안한 시각 평가 방법

  • 자기 진단:
    • 눈의 피로도, 두통, 어깨 결림 등을 통해 스스로 시각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 시력 검사:
    • 안과 전문의에게 정기적으로 시력 검사를 받아 시력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한 교정을 받는 것이 중요
  • 조도 측정:
    • 조도계를 이용하여 작업 공간의 조도를 측정하고, 적정 조도 기준과 비교하여 평가
  • 눈부심 평가:
    • 눈부심 평가 기준을 활용하여 눈부심 정도를 측정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

편안한 시각을 위한 환경 조성

  • 자연광 활용:
    • 자연광은 눈의 피로를 줄이고 심리적인 안정감을 제공
  • 인공조명의 적절한 사용:
    • 작업 종류와 환경에 맞는 조명 기구를 선택하고, 밝기와 색온도를 조절하여 편안한 시각 환경을 조성
  • 휴식:
    • 장시간 작업 시에는 주기적으로 눈을 쉬어주는 것이 중요
  • 안경 착용:
    • 시력이 좋지 않은 경우에는 안경을 착용하여 시력을 교정해야합

VDT 작업에 효과적인 조명 방안 JLG2️⃣

2️⃣VDT 작업에 효과적인 조명 방안

VDT 작업은 눈의 피로를 유발하기 쉽기 때문에, 조명 설계 시 특별한 주의가 필요

  • 모니터 위치 조절: 모니터를 눈높이보다 약간 아래에 위치시키고, 키보드는 모니터보다 약간 아래에 위치시켜 자세를 바르게 유지
  • 반사 방지: 모니터 화면에 주변 환경이 반사되지 않도록 조명을 설치하고, 블라인드 등을 이용하여 빛을 차단해야함
  • 눈부심 방지: 직접광이 눈에 들어오지 않도록 조명 기구를 설치하고, 간접조명을 활용하여 눈부심을 최소화해야함
  • 휴식 공간 조성: VDT 작업 중간중간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자연광을 활용하여 눈의 피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해야함
  • 조도 제어: 개인별로 조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명 기구를 설치하고, 필요에 따라 조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해야함

업무용 빌딩의 조명은 단순히 밝기뿐만 아니라, 직원들의 업무 효율과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좋은 조명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적절한 조도: 업무 종류에 따라 필요한 조도가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사무 작업에는 500lux 이상의 조도가 권장됩니다.
  • 균일한 조도 분포: 조도가 너무 밝거나 어두운 부분 없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눈의 피로를 줄여야 합니다.
  • 직접 휘도: 눈부심을 유발하는 직접 휘도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특히, 모니터 화면과 주변 환경의 휘도 차이를 줄여야 합니다.
  • 수평면 조도: 책상 위와 같은 수평면의 조도가 충분해야 서류 작업 시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습니다.
  • 연직면 조도: 벽면의 조도도 충분해야 공간감을 확보하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 색온도: 일반적으로 사무 공간에는 4000K~5000K의 중성 색온도가 적합하며, 집중력을 요하는 작업에는 5000K 이상의 쿨 화이트 색온도가 효과적입니다.
  • 연색성: 사물의 색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높은 연색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VDT 조명

VDT(Visual Display Terminal) 작업은 눈의 피로를 유발하기 쉽기 때문에, 조명 설계 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VDT 작업에 효과적인 조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모니터와의 조화: 모니터 화면의 밝기와 주변 환경의 밝기 차이를 최소화하여 눈의 피로를 줄여야 합니다.
  • 눈부심 방지: 직접광이 눈에 들어오지 않도록 조명 기구를 설치하고, 간접조명을 활용하여 눈부심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 균일한 조도: 작업 공간 전체에 균일한 조도를 유지하여 눈의 피로를 줄이고 집중력을 높여야 합니다.
  • 자연광 활용: 가능한 한 자연광을 활용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고, 눈의 피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조도 조절: 개인별로 조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명 기구를 설치하고, 필요에 따라 조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VDT 조명 설계 시 고려 사항

  • 모니터 위치: 모니터를 눈높이보다 약간 아래에 위치시키고, 키보드는 모니터보다 약간 아래에 위치시켜 자세를 바르게 유지해야 합니다.
  • 반사 방지: 모니터 화면에 주변 환경이 반사되지 않도록 조명을 설치하고, 블라인드 등을 이용하여 빛을 차단해야 합니다.
  • 휴식 공간: VDT 작업 중간중간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자연광을 활용하여 눈의 피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전반조명설계

B06 옥내 전반조명 설계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전반조명설계(대광조치도방률감램광)

대상물의파악
광원의결정
조명기구의선택
조명기구의 간격과 배치
필요조도의 결정
방지수의결정
조명률의 결정
유지율(감광보상률의 결정)
광원의 크기 계산
실내면의 광속발산도 계산

B07 전반조명설계의 흐름을 설명하고 그 안에 나오는 용어를 설명하시오

☑️전반조명설계(대광조치도방률감램광)

대상물의파악
광원의결정
조명기구의선택
조명기구의 간격과 배치
필요조도의 결정
방지수의결정
조명률의 결정
유지율(감광보상률의 결정)
광원의 크기 계산
실내면의 광속발산도 계산

B08 실내조명 설계 시 에너지 보존법칙을 응용한 광속법(Lumen Method)을 이용하여 조명설계를 하려고 한다. 광속법에 의한 설계순서에 따라 정리하고 과정별로 설명하시오

☑️전반조명설계(대광조치도방률감램광)

대상물의파악
광원의결정
조명기구의선택
조명기구의 간격과 배치
필요조도의 결정
방지수의결정
조명률의 결정
유지율(감광보상률의 결정)
광원의 크기 계산
실내면의 광속발산도 계산

B09 좋은 조명의 조건일반적인 조명설계의 순서를 열거하고 각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좋은 조명 요건 JLD051️⃣)

1️⃣좋은 조명의 요건

편안한 시각은 생산성 향상, 작업 효율 증대, 그리고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요소

좋은 조명이란 눈의 피로도가 적고, 장시간 작업이나 활동을 해도 불편함이 없는 시각 상태를 의미

  • 조도:
    • 작업 종류와 환경에 맞는 적절한 조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너무 어둡거나 밝은 환경은 눈의 피로를 유발
    • 균일한 조도 분포: 조도가 고르게 분포되어야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다.
  • 눈부심:
    • 직접 눈부심과 반사 눈부심을 최소화
    • 광원의 위치, 크기, 밝기 등을 조절하여 눈부심을 줄일 수 있다.
  • 색온도:
    • 작업 종류에 맞는 적절한 색온도를 선택해야 합
    • 따뜻한 색온도(3000K 이하)는 편안하고 아늑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좋으며, 차가운 색온도(5000K 이상)는 집중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
  • 색 대비:
    • 글자와 배경의 색 대비가 충분해야 시인성이 확보
    • 너무 강한 색 대비는 눈의 피로를 유발할 수 있다.
  • 깜빡임:
    • 형광등과 같은 인공광원의 깜빡임은 눈의 피로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최소화
  • 시야각:
    • 작업 시 시야각이 편안해야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다.
    • 작업 거리와 글자 크기 등을 조절하여 적절한 시야각을 확보해야합

편안한 시각 평가 방법

  • 자기 진단:
    • 눈의 피로도, 두통, 어깨 결림 등을 통해 스스로 시각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 시력 검사:
    • 안과 전문의에게 정기적으로 시력 검사를 받아 시력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한 교정을 받는 것이 중요
  • 조도 측정:
    • 조도계를 이용하여 작업 공간의 조도를 측정하고, 적정 조도 기준과 비교하여 평가
  • 눈부심 평가:
    • 눈부심 평가 기준을 활용하여 눈부심 정도를 측정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

편안한 시각을 위한 환경 조성

  • 자연광 활용:
    • 자연광은 눈의 피로를 줄이고 심리적인 안정감을 제공
  • 인공조명의 적절한 사용:
    • 작업 종류와 환경에 맞는 조명 기구를 선택하고, 밝기와 색온도를 조절하여 편안한 시각 환경을 조성
  • 휴식:
    • 장시간 작업 시에는 주기적으로 눈을 쉬어주는 것이 중요
  • 안경 착용:
    • 시력이 좋지 않은 경우에는 안경을 착용하여 시력을 교정해야합

☑️전반조명설계(대광조치도방률감램광)

대상물의파악
광원의결정
조명기구의선택
조명기구의 간격과 배치
필요조도의 결정
방지수의결정
조명률의 결정
유지율(감광보상률의 결정)
광원의 크기 계산
실내면의 광속발산도 계산

B10 옥내조명설비 설계 시 고려할 사항을 설명하시오

☑️전반조명설계(대광조치도방률감램광)

대상물의파악
광원의결정
조명기구의선택
조명기구의 간격과 배치
필요조도의 결정
방지수의결정
조명률의 결정
유지율(감광보상률의 결정)
광원의 크기 계산
실내면의 광속발산도 계산

B11 조명설계절차 흐름도 작성

☑️전반조명설계(대광조치도방률감램광)

대상물의파악
광원의결정
조명기구의선택
조명기구의 간격과 배치
필요조도의 결정
방지수의결정
조명률의 결정
유지율(감광보상률의 결정)
광원의 크기 계산
실내면의 광속발산도 계산

N12 자연채광 시스템의 종류 및 설계 시 고려사항

모범답안(자연채광의 종류 JDN123️⃣)

3️⃣자연채광의 종류

스카이라이트조명
스카이라이트조명

1)전통적인 방법

  • 스카이 라이트형
  • 경사지붕형
  • 수직창에 의한 채광

2)광덕트형 자연채광

  • 가장 대표적인 채광장치
  • 집광부, 도광부, 산광부로 구성
  • 경제적이므로 많이 사용
  • 환기형으로 제작이 가능
  • 대용량 채광에 유리

3)프리즘시스템

  • 프리즘 시스템
    • 반사거울 시스템은 태양고도에 따라 채광량의 변화가 발생하여 이를 보완한 시스템이 프리즘 시스템
    • 2장의 평판 프리즘을 조합하여 수집된 자연광을 바로 밑으로 굴절시킬 수 있는 채광시스템
    • 비교적 채광량이 큰 장점이 있다
    • 우천이나 담천공 시 부족한 자연광을 보완하기 위하여 조광기능을 부착

4)반사거울 시스템

  • 반사거울 시스템은 평면 또는 곡면의 반사거울을 이용하여 태양광을 전달하는 방식이며 2차 반사거울이 필요
  • 빛의 직진성을 이용하여 공중전송 방식으로 빛을 전달
  • 정밀한 조사위치의 조절이 어려워 전송거리는 30[m] 이내

5)광파이프형 자연채광(프리즘 방식)

  • 파이프에 빛전달 필름을 넣어 물이 흐르듯 빛을 흘려 전달하는 방식
  • 광원 가까운 곳에 적은 빛 광원 먼 곳에 많은 빛을 전달
  • 여러 층에 사용이 가능

6)하이브리드 자연채광

  • 다기능 자연태광 장치로 실내환기, 야간의 가로등, 주간 자연채광을 할 수 있는 시스템
  • 자연환기는 연돌효과를 이용하여 에너지 손실이 없다
  • 낮에는 자연채광을 하고 밤에는 LED등을 설치하여 보안등 기능

7)광섬유 자연채광

  • 광섬유를 이용하는 방법
  • 집광부, 도광부, 산광부로 이루어진다
  • 집광렌즈, 추적장치(광센서,GPS), 광감지센서, 동력장치 등으로 구성
  • 100[m] 이상 설치 가능
  • 감쇄율이 0.06[%/m]로 매우 작다
  • 설계가 자유롭다

8)방탄유리형 자연채광

  • 광덕트의 돌출 문제를 보완하여 집광부를 평평하게 설치하는 방식
  • 보행의 불편을 최소화
  • 광덕트와 설치 방법이 같다

9)광선반형 자연채광

  • 선반형태를 이용하여 태양광이 실내 깊숙이 들어올 수 있도록 설계한 것
  • 구조가 간단하고 시공 및 경제성이 우수
  • 태양광의 각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조도를 얻을 수 있다

10)태양동력형

  • 태양을 추미하면서 원하는 장소에 태양광을 보내는 채광장치
  • 가장 능동적인 방법으로 여러 층의 채광이 가능
  • 다수의 HRS이 필요

R13 건축물 조명설계 시 보수율의 구성요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보수율 JDD139️⃣)

4)보수율(M)

  • 조도계산 시 조도감소를 예상하여 전광 속에 여유를 주는 것을 의미
\[M=M_1×M_2×M_3×M_4\]

M₁: 램프노화에 따른계수
M₂: 기구노화에 따른 계수
M₃: 램프 조명기구 오염에 따른 계수
M₄: 실내면 오염에 따른 계수

조명률에 영향을 주는 요소

R14 조명률에 관련되는 요소

모범답안(조명률에 관련되는요소 JDR141️⃣)

❗조명률 정의

  • 조명률이란 광원의 전광속이 피조면(작업면, 바닥면)에 도달하는 유효광속의 비율
  • U=작업면에 입사하는 광속/램프의 전광속

1️⃣조명률의 영향 요소

1)조명기구의 배광

  • 협조형 조명기구가 광조형 조명기기보다 직접비가 크고 조명률이 높다

2)기구효율

\[\epsilon=\frac{F}{F_0}\]
  • 동일배광 조명기구를 사용 하였을 때 기구 효율이 높은 조명기구가 조명률이 높다

3)실지수

\[실지수=\frac{XY}{H(X+Y)}\]
  • 천장과 실지수와의 관계 : 천장이 낮을수록 실지수가 커지며, 천장이 높을수록 실지수는 낮아진다
  • 실지수가 클수록 조명률이 높다

4)조명기구의 설치 간격과 설치 높이와의 비(S/H비)

  • 실지수가 같고 동일 배광 조명기구를 사용할 때 S/H 비가 클수록 조명률이 높아진다

5)실내 표면의 반사율

  • 실내 표면의 반사율이 높을 수록 조명률이 높아진다.

D15 건축물에서 구역공간법으로 평균조도를 계산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공간비율

모범답안(구역공간법 JDR152️⃣)

구역공간법은 건축물 내부의 평균조도를 계산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특히, 실내 공간을 여러 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각 구역에서의 조도 기여도를 계산하여 전체 공간의 평균조도를 산출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법은 조명 설계 시, 조명기구의 종류, 개수, 배치 등을 결정하는 데 활용됩니다.

공간비율이란?

공간비율은 구역공간법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실내 공간의 형태와 크기를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비율들을 고려합니다.

  • 길이비(Length ratio): 실의 길이와 폭의 비율
  • 높이비(Height ratio): 실의 높이와 폭의 비율
  • 반사율(Reflectance): 천장, 벽, 바닥 등의 표면 재료에 따른 빛의 반사율

공간비율이 평균조도 계산에 미치는 영향

공간비율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평균조도 계산에 영향을 미칩니다.

  • 조명기구에서 나온 빛이 실내 공간에 분포되는 방식: 공간비율에 따라 빛이 천장, 벽, 바닥 등에 반사되는 정도가 달라지고, 이는 곧 작업면에 도달하는 빛의 양에 영향을 미칩니다.
  • 조명기구의 효율: 공간비율에 따라 조명기구의 효율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천장이 높은 공간에서는 조명기구의 효율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 균제도: 공간비율에 따라 조도의 균제도가 달라집니다. 즉, 공간의 어떤 부분은 밝고, 어떤 부분은 어두울 수 있습니다.

평균조도 계산 시 고려해야 할 사항

  • 조명기구의 종류: 형광등, LED 등 조명기구의 종류에 따라 광분포 곡선이 다르므로, 이를 고려하여 계산해야 합니다.
  • 조명기구의 배치: 조명기구의 배치에 따라 조도 분포가 달라지므로, 적절한 배치를 선택해야 합니다.
  • 작업면의 높이: 작업면의 높이에 따라 필요한 조도가 달라집니다.
  • 주변 환경: 창문의 크기, 위치, 방향 등 주변 환경에 따라 자연광의 기여도가 달라지므로, 이를 고려해야 합니다.

D16 옥내조명의 조도계산 시 적용하는 감광 보상률과 광손실률

모범답안(감광 보상률 JDB161️⃣)

8)유지율(감광보상률의 결정)

  • 감광보상률: 옥내조명 설계 시, 처음 설계한 조도를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는 감광 보상률광손실률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 두 요소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명 시스템의 효율이 감소하는 것을 보정하기 위한 값
  • 광손실률: 조명 기구의 효율, 반사면의 반사율, 램프의 광속 유지율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빛이 손실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이는 조명 시스템의 전체적인 효율을 나타내는 지표

왜 감광 보상률과 광손실률을 고려해야 할까요?

  • 조도 유지: 시간이 지나도 설계된 조도를 유지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고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에너지 효율: 불필요한 광원 설치를 방지하여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 유지보수 계획: 정기적인 청소 및 램프 교체 등 유지보수 계획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감광 보상률과 광손실률을 적용하는 이유

  • 조명 기구 및 반사면의 오염: 시간이 지나면 조명 기구나 반사면에 먼지 등이 쌓여 빛의 투과율이 감소합니다.
  • 램프의 광속 감소: 램프의 수명이 다해감에 따라 광속이 감소합니다.
  • 램프의 온도 변화: 주변 온도에 따라 램프의 광속이 변화할 수 있습니다.
  • 조명 기구의 효율: 조명 기구의 종류와 설치 방식에 따라 효율이 달라집니다.
  • 반사면의 반사율: 천장, 벽, 바닥 등의 재료에 따라 빛의 반사율이 다릅니다.

감광 보상률과 광손실률 계산

감광 보상률과 광손실률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지므로, 정확한 계산을 위해서는 관련된 표준이나 설계 기준을 참고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요소를 고려하여 계산합니다.

  • 조명 기구의 종류: 형광등, LED 등 조명 기구의 종류에 따른 광속 유지율
  • 램프의 종류: 백열등, 할로겐 램프, LED 램프 등 램프의 종류에 따른 광속 유지율
  • 반사면의 재질: 천장, 벽, 바닥의 재질에 따른 반사율
  • 실내 환경: 먼지 발생량, 온도, 습도 등
  • 유지보수 주기: 조명 기구 청소 및 램프 교체 주기

○D17 조도계산 시 광손실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D18 전반조명 설계순서 및 항목별 검토사항

☑️전반조명설계(대광조치도방률감램광)

대상물의파악
광원의결정
조명기구의선택
조명기구의 간격과 배치
필요조도의 결정
방지수의결정
조명률의 결정
유지율(감광보상률의 결정)
광원의 크기 계산
실내면의 광속발산도 계산

N19 자연채광과 인공조명설계

○D20 조명설계에서 조명시뮬레이션의 입력데이터와 출력 결과물

○D21 휘도측정방법(Ks C 7613)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1) 측정 목적
2) 측정기준점의 높이 및 측정 휘도각
3) 각 작업에서의 눈의 위치

R22 조명설비설계에 대하여 아래의 내용을 설명하시오.

1) 전반조명설계(광속법) 절차
2) 명시적 조명과 장식적 조명 비교
3) 평균조도 계산방법 중 3배광법과 ZCM(구역공간법) 비교

☑️전반조명설계(대광조치도방률감램광)
  • 대상물의파악
  • 광원의결정
  • 조명기구의선택
  • 조명기구의 간격과 배치
  • 필요조도의 결정
  • 방지수의결정
  • 조명률의 결정
  • 유지율(감광보상률의 결정)
  • 광원의 크기 계산
  • 실내면의 광속발산도 계산

모범답안(명시조명과 분위기 조명의 차이점 JLV02)

명시조명과 분위기 조명의 차이점

구분명시조명분위기 조명
목적특정 공간이나 물체를 밝혀 시각적인 정보를 명확하게 전달공간의 분위기를 연출하고,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는 것을 목표
조도높음낮음
광원직접광간접광
조도 분포균일불균일
색온도중립적인 색온도다양한 색온도
예시사무실, 공장, 병원 수술실 등호텔 로비, 레스토랑, 주거 공간 등

우수한 명시조명 설계를 위한 고려 사항

명시조명은 작업 효율성을 높이고 시각적인 피로를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하여 설계

1. 조도

  • 작업 종류에 따른 적정 조도: 작업의 정밀도, 난이도에 따라 필요한 조도가 다름
  • 균일한 조도 분포: 눈부심을 방지하고 시각적인 피로를 줄이기 위해 균일한 조도를 유지
  • 눈부심 방지: 직접광원이나 반사광에 의한 눈부심은 작업 효율을 저하시키므로, 눈부심 방지 기구를 사용하거나 설치 각도를 조절

2. 색온도

  • 작업 종류에 따른 적정 색온도: 차가운 백색광은 집중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며, 따뜻한 백색광은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좋음
  • 연색성: 물체의 색을 자연스럽게 보여주는 연색성이 높은 광원을 선택해야 합니다. 특히 색상 구분이 중요한 작업에서는 고연색성 광원이 필요

3. 광원 배치

  • 작업 면에 집중: 작업 면에 충분한 빛을 공급하여 그림자를 최소화
  • 균일한 배치: 광원을 균일하게 배치하여 조도를 균일하게 유지
  • 눈부심 방지: 광원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여 눈부심을 방지

4. 그림자

  • 작업 방해 최소화: 그림자는 작업 시야를 방해하므로 최소화
  • 조명 방식: 직접광보다는 간접광을 활용하여 그림자를 줄일 수 있다.

5. 유지 관리

  • 주기적인 청소: 조명 기구의 먼지나 오염물질은 빛의 투과를 방해하므로 주기적으로 청소해야함
  • 램프 교체: 램프 수명이 다하면 즉시 교체하여 밝기를 유지해야함

추가 고려 사항

  • 에너지 효율: 에너지 효율이 높은 LED 조명을 사용하여 에너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안전: 안전 기준을 준수하여 설치하고, 정기적인 안전 점검을 실시해야함
  • 미관: 조명은 공간의 미관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인테리어와 조화를 이루도록 설계해야함

모범답(조명률 계산법 JDR222️⃣)

2️⃣조명률 계산법

  • CIE법 : 국제조명위원희 추천방법
  • 3배광법 : 현재 잘 사용하지 않음
  • 구역공간법(ZCM) : 미국조명학회 추천방법
  • 영국구대법(BZM) : 영국조명학회 추천방법

🌐V1007T24 / JD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