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D*

제공

,
피뢰 이상전압 BS

피뢰기
피뢰기 저항 계산
폴리머 피뢰기
피뢰기의 단로장치
서지흡수기
SPD
서지 보호소자 특성

KEC150(피뢰)
과전압의 종류
이상전압 및 대책

목차(서지보호기 BSS)

SPD

통합 공통접지방식/

1️⃣SPD(서지보호기)란

(Surge Protective Device)

  • 저압 배전선 및 전기설비 보호, 통신설비 등의 부근에 낙뢰에 의한 과전압과 설비 내의 기기에서 발생하는 개폐 과전압으로 부터 전기설비를 보호하는 것을 목적
\[\]

2️⃣서지(Surge)

1)서지의 정의

  • 급속히 증가 후 서서히 감소하는 전기적 전류, 전압의 과도특성

2)서지의 종류

  • 자연서지 : 직접뢰, 간접뢰, 유도뢰 등의 이상서지
  • 개폐서지 : 유도부하 차단시 발생하는 이상서지
  • 기동서지 : 발전기, 전동기 등의 기동 시 돌입 서지

3)서지의 영향

  • 전류형 서지
    • 부품의 과열파괴
  • 전압형 서지
    • 부품의 절연파괴

3️⃣서지환경의 분류

1)기기에 필요한 정격 및 임펄스 내전압

구분설비 인입구간선 및
분기회로기기
부하기기특별보호기기
카테고리IVIIIIII
110[V]4[kV]2.5[kV]1.5[kV]0.8[kV]
220/380[V]6[kV]4[kV]2.5[kV]1.5[kV]
SPD등급class Iclass IIclass III

2)SPD설치등급

  • 서지로 부터 기기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정격 임펄스 내전압보다 작은 사양의 SPD설치가 필요

4️⃣서지대책

5️⃣SPD의 분류

1)모드별

  • 선간 보호(Normal Mode)
    • 상과 상 사이에 발생하는 과전압을 보호
  • 선간-대지 간 보호(Common Mode)
    • 상과 대지 사이에 발생하는 과전압을 보호

4)SPD기능별

  • 스파크 갭형(SparkGapType 전압 스위치형):
    • 과전압이 일정 값을 넘어서면 스파크 갭이 방전되어 과전압을 흘려보냅
  • 클램핑형(ClampingType 전압 제한형):
    • 과전압이 발생하면 임피던스가 급격히 낮아져 과전압을 제한하는 방식
    • 일반적으로 배리스터나 억제 다이오드를 사용합
  • 복합형(CombinationType):
    • 클램핑형과 스파크 갭형의 장점을 결합한 형태

1)사용 용도별

  • 직격뢰용SPD : 전원용, 통신용
  • 유도뢰용SPD : 전원용, 통신용

2)구조별(포트 수)

  • 1포트 SPD: 
    • 1단자대 (또는 2단자)를 갖는 SPD
    • 보호 대상 기기에 대해 서지를 분류하도록 접속
  • 2포트 SPD: 
    • 2단자대(또는 4단자)를 갖는 SPD
    • 복합형의 기능을 가지며(통신,신호계통에 적용)
    • 선간과 선간-대지 간 보호를 동시에 수행

4)기타 분류

  • 반도체 SPD: 배리스터, TVS 다이오드 등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SPD입니다. 빠른 응답 속도와 높은 에너지 흡수 능력을 가지고 있습
  • 비반도체 SPD: 스파크 갭 등 비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SPD입니다. 반도체 SPD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지만 응답 속도가 느리고 에너지 흡수 능력이 낮습

3)SPD형 식별

SPD형식시험종류시험항목비고
Class I등급 I 시험\[I_{imp}I_n\]고피뢰 장소, 직격뢰 보호
Class II등급 II 시험\[I_{max}I_n\]저피뢰 장소, 유도뢰 보호
Class III등급 III 시험\[U_{OX}\]저피뢰 장소, 유도뢰 보호
\[I_{imp} : 임펄스전류시험(10/350[μs]임팩트전류)\] \[I_{max} : 최대 방전시험(8/20[μs]임펄스전류)\] \[I_n : 공칭방전시험(8/20[μs]임펄스전류)\] \[U_{ox} : 개회로시험(III등급시험에 대한 저항회로 전압)\]

6️⃣SPD의 선정

1)선정 Flow

2)SPD선정시 고려사항

1. SPD의 종류 및 특성(뇌 예방여부 결정)

  • Mode: 선간 보호(Normal Mode)와 선간-대지 간 보호(Common Mode)로 나뉩니다. 설치 환경에 따라 적절한 Mode를 선택
  • 반응 시간: 낙뢰가 발생했을 때 빠르게 반응하여 과전압을 제한해야합
  • 보호 레벨: 보호 대상 기기의 임펄스 내전압을 고려하여 적절한 보호 레벨을 가진 SPD를 선택해야합
  • 에너지 방출 능력: 흡수할 수 있는 에너지의 크기를 확인하여 충분한 보호가 가능하도록 해야합

2. 설치 위치

  • 주배전반: 건물의 주요 전원 공급 지점에 설치하여 광범위한 보호를 제공
  • 분전반: 개별 기기 또는 회로에 대한 선택적인 보호를 제공
  • 기기 내부: 민감한 전자 기기 내부에 설치하여 직접적인 보호를 제공

3. 설치환경의 확인

  • SPD는 설치환경의 전압을 고려하여 최대 연속동작전압(V₀=저압계통의 상전압)결정
  • SPD는 사고로 인한 순간 과전압(Vtov)에 견딜 것(Vtov<V₀)

4. 고장모드의 추정

  • 종류 : 단락회로 개방회로
  • 서지와 과전압의 형태에 따라 좌우
  • SPD의 최대 방전전류(Imax)고려, 보조장치의 필요성 검토
  • Imax > In(공칭방전전류 5[kA],8/20[μs],3상(20[kA]), 단상(20[kA]))

5. SPD와 다른 기기와의 상호관계

  • 보호대상 기기의 서지 내력과 계통의 공칭전압 고려, 전압보호수준(Vp)결정
  • 정상시 위험 상태, 타 기기에 영향 없도록 연속동작전류(Ic)결정

6. 선정된 SPD와 다른 SPD 간의 협조

  • 에너지 내력에 따라 두 개의 SPD간에 허용 스트레스를 분담하기 위해 협조 필요
  • 2개의 SPD간 임피던스 고려 i₂값을 허용 레벨까지 감소하기 위해 SPD 선정
  • SPD₂의 과도설계를 피할것
  • SPD 간 에너지 협조 확인

7. SPD규격선정

SPD의형식Class I: 임펄스전류가 부분적으로 전파되는 고피뢰 장소
Class II, III: 일반적인 저피뢰 장소
SPD의정격SPD형식에 따른 임펄스전류, 공칭방전전류, 개회로전압, 최대 연속사용전압, 저압보호 수준 등 결정

7️⃣SPD 시설

1)설치장소

  • SPD는 설비 인입구 또는 건축물 인입구와 가까운 장소에 설치할것
  • 건축물 내에 LPZ(뇌보호 영역)가 변화되는 경계점에 SPD를 설치할 것
  • 설비 인입구 또는 그 부근에서 중성선이 보호도체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또는 중성선이 없는 경우에는 SPD를 선도체와 주접지 단자 간 또는 보호도체 간에 설치할것

2)SPD설치

  • 설치방법 일반적으로 선간-대지간 보호노이즈(Common mode)가 선간보호 노이즈(Normal Mode)보다 크므로 선간-대지 간 보호(Common mode)가 주로 적용
  • 계통구성에 따른 SPD 설치
  • 진동현상 억제
    • 가능한 기기에 근접 설치
    • 보호기기와 SPD의 거리가 먼 경우 Vp의 2배 이상 전압 유도 가능
    • 일반적으로 진동은 10[m]이내 거리에서 발생하지 않는다
  • SPD연결전선
    • 연결전선의 길이는 가능한 짧아야 한다 (a+b<0.5[m])
    • 어떠한 접속도 없어야 한다
  • 접지선의 단면적
    • 설비의 인입선 부근에서SPD접지선은 4[㎟]이상
    • 낙뢰에대한보호계통이 있다면 16[㎟]이상
  • 누전차단기의 추가 보호
    • 내전압이 상당히 낮은 기기
    • 인입구에 설치된 SPD와 피보호기가 상당히 떨어졌을때
    • 뇌 방전과 내부교란의 원인에 의해 구조물 내부에 자계 생성시
  • SPD와 누전차단기(RCD)의 시설최소 3[kV] 8/20[μs]에 견디는 RDC적용 (SPD가 잔류장치의 부하측에 위치시)

8️⃣SPD의 보호장치 설치

1)보호장치 설치

2)SPD 보호장치 설치 기준

  • 뇌전류가 통과 시 용단, 용착, 오동작하지 말아야 함
  • SPD가 고장시 신속히 회로로부터 분리
  • 퓨즈 사용시 뇌전류에 대한 용단특성을 검토하여 선정
  • SPD에 흐르는 단락전류를 신속 정확하게 차단
  • 보호장치와 상위 차단기와의 협조
  • 퓨즈, 차단기, 누전차단기, 전용장치 설치

3)SPD를 누전차단기 부하 측에 설치하는 경우

  • SPD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누전차단기가 동작할수 있으므로 임펄스 부동작형 누전차단기를 사용
  • 방전갭을 사용하지 않고 SPD를 충전선과 접지단자 사이에 직접접속하면 SPD고장의 경우 노출 도전성 부분에 위험한 접촉전압이 나타나며 전원측 배선용 차단기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 SPD접속형식 CT₁
    • 상도체와 주접지단자 또는 보호도체 사이
    • 중성선과 주접지단자 또는 보호도체 사이

4)SPD를 누전차단기 전원 측에 설치할 경우

  • SPD고장 시 계통으로부터 분리하는 상용주파수 전류의 차단능력이 있어야 함
  • SPD전원 측의 전원회로에 배선용 차단기가 있는 경우 배선용차단기의 동작전류가 보호장치의 동작전류보다 적으면 배선용 차단기가 먼저 동작되므로 보호장치는 유지관리용으로 개폐기능만 있으면 가능함
  • SPD접속형식 CT₂
    • 상도체와 중성선 사이
    • 중성선과 주접지단자 또는 보호도체 사이 : 방전갭용 SPD

9️⃣임펄스전류, 공칭방전전류

1)I등급 SPD의 보호모드별 임펄스전류(limp)

  • 임펄스전류값은 각 보호모드에 대해 12.5[kA] 10/350[μs]이상
보호모드단상CT₁단상CT₂3상CT₁3상CT₂
각상전선과 중성선 사이12.5[kA]12.5[kA]
각상전선과 PE선 사이12.5[kA]12.5[kA]
중성선과 PE선 사이12.5[kA]25[kA]12.5[kA]50[kA]

CT₁은 누전차단기의 부하 측에 설치하는 경우
CT₂는 누전차단기의 전원 측에 설치하는 경우

2)II등급 SPD의 보호모드별 임펄스전류(ln)

  • 공칭방전전류는 각 보호모드에 대해 5[kA] 8/20[μs]이상
보호모드단상CT₁단상CT₂3상CT₁3상CT₂
각상전선과 중성선 사이5[kA]5[kA]
각상전선과 PE선 사이5[kA]5[kA]
중성선과 PE선 사이5[kA]10[kA]5[kA]20[kA]

CT₁은 누전차단기의 부하 측에 설치하는 경우
CT₂는 누전차단기의 전원 측에 설치하는 경우

🔟SPD의 보호장치

  • 고장 시 안전성 확보
  • 개방모드 : 동작표시기
  • 단락모드 : SPD분리기

피뢰 이상전압 BS

피뢰기
피뢰기 저항 계산
폴리머 피뢰기
피뢰기의 단로장치
서지흡수기
SPD
서지 보호소자 특성

KEC150(피뢰)
과전압의 종류
이상전압 및 대책

목차(서지보호기 / BSS)

SPD

💯기출문제

○52.건축물에 설치하는 저압 SPD의 기본적인 요건과 전원장해에 대한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3.저압 SPD의 선정 및 설치시 고려사항

○54.서지보호장치의 형식 설명

●55.SPD의 선정을 위한 공정도를 작성하고 설명하시오

●56.SPD의 설계시 주요 검토사항

●57.SPD의 단자형태와 기능 분류

○58.서지 보호기의 에너지 협조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9.저압계통 전기설비 및 기기 임펄스 내압 레벨기준을 설명하시오

○60.SPD고장 시 전원공급 연속성과 보호의 연속성 보장을 위한 SPD분리 위한 개폐장치의 설치방식

○61.피뢰시스템 구성요소(피뢰침, 인하도선, 접지극, 서지보호장치)

●62.저압 배전계통에서 SPD의 접속형식과 I등급, II등급 SPD의 보호모드별 공칭방전전류와 임펄스 전류

AFS1.저압설비에서 서지보호장치(SPD)에 대하여 다음사항을 설명하시오

1)서지보호장치 동작 기능에 따른 분류
2)외부분리기
3)서지보호장치의 개별접지와 1점 접지방식의 차이점

피뢰 이상전압 BS

피뢰기
피뢰기 저항 계산
폴리머 피뢰기
피뢰기의 단로장치
서지흡수기
SPD
서지 보호소자 특성

KEC150(피뢰)
과전압의 종류
이상전압 및 대책

목차(서지보호기 BSS)

SPD

🌐V0929C244 / BSS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