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장(단락 지락) BB
단락전류(기본이론)
→기여전류
→단락전류(종류)
단락전류(계산법 종류)
→대칭좌표법
단락용량 경감대책(수변전설비)
→계통연계기
→초전도 한류기
단락전류(계산)
→단락전류 계산(기본)
→1선지락전류 유효접지
→2선단락 3상단락
→3상단락(단락전류 단락용량)
→단락전류 계산(전동기)
→단락전류 계산(분산전원)
→단락전류 계산(한류리액터)
→단락전류 계산(1선지락전류 3상단락전류)
전기기초(소자) AB
전압, 전류 (AC1)
기준충격절연강도(BIL)
전압강하 (LMD)
변위전류 (AE)
패란티 현상 (QVF)
단락전자력 (LMMS)
이상전압 및 대책 (BS)
코로나 (AG)(LP)
코로나(임계전압식 유도⁕)
전력계통의 안정도 (AG)
저항 임피던스 리액턴()
특성임피던스 ()
전력 역률
무효전력
최대전력전달
목차(단락 전자력 LMN ABM)
단락 전자력
1️⃣단락 전자력
1)단락전류의 정의
전로의 절연파괴로 인해 전류가 부하로 흐르지 않고 접촉된 단락점을 통해서 흐르는 전류가 단자전류
- 단락 전자력: 전력선에 단락 사고가 발생하면 엄청난 크기의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 전류에 의해 도체 주변에 강한 자기장이 형성됩니다. 이 자기장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도체 간에 인력 또는 척력이 발생하는데, 이를 단락 전자력
- 단락 기계력: 단락 전자력에 의해 도체, 지지물 등에 작용하는 힘을 단락 기계력이라고 합니다. 이 힘은 설비의 기계적 강도를 초과할 경우 설비의 파손을 유발
2)단락전자력의 방향
- 동일 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경우 흡인력 발생
- 다른 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경우 반발력 발생
3)도체(케이블)상호 간에 발생하는 단락 전자력
F: 단락 전자력 [kg/m]
K: 케이블 배열에 따른 상수 (예: 삼각배열 시 0.866)
I: 단락 전류 최대값 (비대칭) [A]
m: 도체 길이 [m]
D: 도체 중심 간격 [m]
2️⃣단락 기계력
1)단락 기계력 계산 방법
단락 기계력은 단락 전자력을 기반으로 계산하며, 구조물의 형상, 재료, 지지 조건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정확한 계산을 위해서는 유한요소법과 같은 수치 해석 기법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
2)단락 기계력 계산 시 고려 사항:
- 구조물의 강도: 단락 기계력에 견딜 수 있는 구조물의 강도를 평가해야 합니다.
- 지지 조건: 지지물의 종류, 설치 방법 등에 따라 단락 기계력의 분포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진동: 단락 시 발생하는 진동이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합니다.
3)단락 전자력 및 단락 기계력 계산의 중요성
- 구조물 강도 보강: 단락 기계력에 견딜 수 있도록 구조물을 보강
- 지지물 설계: 안정적인 지지 조건을 확보하기 위해 지지물을 설계
- 보호 계전기 설정: 단락 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차단하기 위한 보호 계전기를 설정
- 절연 거리 확보: 단락 전압 상승에 대비하여 절연 거리를 확보
고장(단락 지락) BB
단락전류(기본이론)
→기여전류
→단락전류(종류)
단락전류(계산법 종류)
→대칭좌표법
단락용량 경감대책(수변전설비)
→계통연계기
→초전도 한류기
단락전류(계산)
→단락전류 계산(기본)
→1선지락전류 유효접지
→2선단락 3상단락
→3상단락(단락전류 단락용량)
→단락전류 계산(전동기)
→단락전류 계산(분산전원)
→단락전류 계산(한류리액터)
→단락전류 계산(1선지락전류 3상단락전류)
전기기초(소자) AB
전압, 전류 (AC1)
기준충격절연강도(BIL)
전압강하 (LMD)
변위전류 (AE)
패란티 현상 (QVF)
단락전자력 (LMMS)
이상전압 및 대책 (BS)
코로나 (AG)(LP)
코로나(임계전압식 유도⁕)
전력계통의 안정도 (AG)
저항 임피던스 리액턴()
특성임피던스 ()
전력 역률
무효전력
최대전력전달
🌐V1005S24 / ABM
답글 남기기